디렉토리분류

표범장지뱀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900251
한자 豹-
분야 지리/동식물
유형 동물/동물
지역 서울특별시 도봉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조신혜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93년 - 표범장지뱀 멸종 위기 동식물 2급으로 지정
성격 파충류
학명 Eremias arigus
생물학적 분류 동물계〉척색동물문〉파충류〉뱀목〉장지뱀과
서식지 강변의 풀밭이나 모래|돌 밑|흙속
몸길이 몸길이 15~20㎝|꼬리 길이 7㎝
새끼(알) 낳는 시기 7~8월

[정의]

서울특별시 도봉구 초안산에서 서식하는 멸종 위기 장지뱀과의 뱀.

[개설]

도마뱀과 도마뱀붙이, 장지뱀 등 도마뱀류는 파충류 중에서 가장 잘 알려진 무리이다. 과거에는 도마뱀류를 전형적인 파충류로 생각하였기 때문에 박물학자들은 중생대의 거대한 파충류 화석이 발견되면 그것이 커다란 도마뱀일 것이라고 추측하였다. 그러나 실제로 도마뱀류는 골격의 특징이 있어서 공룡이나 다른 파충류와는 분명이 다르다. 무엇인가를 뚫어지게 보는 듯한 툭 불거진 눈을 가진 도마뱀류가 잘 알려지게 된 이유 중 하나는 종류가 매우 많을 뿐만 아니라 분포 지역이 폭넓기 때문이다. 대부분이 열대에 살지만 온대에도 많이 분포되어 있다.

또 다른 이유는 대부분의 도마뱀이 인간과 마찬가지로 땅위에서 살며 낮에 활동하기 때문이다. 야행성인 도마뱀붙이도 낯익은 동물이 되었으며, 도마뱀류 중 일부는 열대 지방에서 애완동물로 사랑받기도 한다. 도마뱀아목에는 도마뱀류 외에도 장지뱀류가 속해 있다. 세계적으로 2,300여 종이 있으며 그중 장지뱀류는 200여 종이다. 흔히 장지뱀류를 통칭해 도마뱀이로 부르는데, 도마뱀과 장지뱀은 형태적·발생학적 측면에서 볼 때 엄격히 다른 종이다.

장지뱀류는 중생대 초기에 나타나 중생대의 마지막인 백악기[약 1억 3600만 년 전~6500만 년 전]까지 번성하여 제3기[약 6500만 년~250만 년 전]에 뚜렷하게 분화된 종으로, 종류가 다양하고 그 수가 많으며 분포 지역 또는 넓어서 도마뱀류와 더불어 파충류 중에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장지뱀류는 각질의 피부가 접혀 비늘이 된 동물로 뱀과 같이 유린류(有鱗類)에 속한다. 이들 대부분은 주로 유럽·아프리카·아시아의 전 지역에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열대 지방에 더 많은 종이 살며 극지방을 제외한 하대·아열대·사막에서도 쉽게 발견할 수 있다.

[형태]

표범장지뱀 은 몸길이 15~20㎝, 꼬리 길이 7㎝이다. 등 면의 비늘이 작고 알맹이 모양이며, 표면이 평활하다. 등 쪽은 호랑이 무늬 모양으로 얼룩 반점이 8~14개 나 있고, 네 다리에도 동그란 얼룩무늬가 퍼져 있다. 그래서 표범장지뱀이라 한다. 윗입술판은 8개이고, 아랫입술판은 6개이다. 머리 양쪽에는 황색의 가는 줄이 있다. 비늘에는 용골이 없다. 발톱은 끝이 날카롭고 잘 발달되어 있다. 서혜인공(鼠蹊鱗孔)[뒷다리의 사타구니에 페로몬을 분비하는 구멍]은 좌우 11쌍이다. 몸통 비늘 줄은 46~62개이며, 전항판(前肛板)은 불규칙한 모양으로 작으며 여러 개가 있다.

[생태 및 사육법]

주로 강변의 풀밭, 해안가의 모래사장, 돌 밑 혹은 흙속에 구멍을 파고 생활한다. 행동이 민첩하며 소형 곤충을 포식한다. 몸을 모래 속에 파묻고 머리만 밖으로 내밀고 있다가 앞을 지나가는 작은 곤충을 사냥한다. 표범 무늬를 빼면, 몸 색깔이 모래 색깔과 흡사하여 모래밭을 기어 다닐 때는 눈에 잘 띄지 않는다. 산란기는 7~8월이며 모래 속에 4~5개의 알을 낳는다. 알은 태양열로 생긴 모래의 열기에 의해 45일 정도가 지나면 부화된다. 햇볕을 아주 좋아하기 때문에 일찍 겨울잠에 들어가고, 다른 장지뱀보다는 적응력이 떨어진다.

[현황]

표범장지뱀 은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만주, 몽골, 중국 북부 등지에 분포한다. 우리나라에는 모래땅으로 된 넓은 경작지, 해안 사구 등지에서 드물게 발견된다. 지금까지지 경기도 포천시 영중면과 충청남도 태안군 신두리 해안 사구 지역에서만 발견되었을 뿐이며, 거의 멸종 단계에 놓인 종이다.

2006년 9월 13일 서울 환경 연합에서는 “4월과 7~8월 두 차례에 걸쳐 생태 조사를 한 결과 서울특별시 노원구와 도봉구에 걸쳐 있는 초안산에서 표범장지뱀이 발견됐다”며 “멸종 위기종인 맹꽁이와 서울특별시 보호종무당개구리, 땅강아지, 제비 등도 함께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고 밝혔다. 이들은 초안산표범장지뱀이 서식할 수 있는 이유로 “조선 시대 궁인들의 묘가 산재해 양지바른 곳을 좋아하는 표범장지뱀이 서식하기 좋으며, 배회성 거미 등 표범장지뱀의 먹이가 풍부”한 점을 꼽았다.

양서 파충류 전문가 이상철은 “내륙 지역에 사는 표범장지뱀은 일반적으로 서해안에서 발견되는 표범장지뱀과 다른 유전적 특징이 있을 것으로 예상돼 생태적, 학술적으로 매우 귀중한 자원이다”고 말하였다. 2006년 조사 후 10월 서울 환경 연합은 초안산을 생태 보전 지역 2호로 선정하며 초안산 진입로 네 곳에 ‘표범장지뱀을 지켜 주세요’란 안내판을 설치하고 지역 단체 및 주민들과 함께 초안산표범장지뱀을 지키고 보호하려는 노력을 하였으나 6년이 지난 지금 초안산은 여전히 개발로 몸살을 앓고 있어서 표범장지뱀이 아직 서식하고 있는지는 미지수이다. 표범장지뱀은 1993년 멸종 위기 동식물 2급으로 지정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