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고려시대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900291
한자 高麗時代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서울특별시 도봉구
시대 고려/고려
집필자 김우택

[정의]

고려시대 서울특별시 도봉구 지역의 역사와 문화.

[연혁]

고려시대는 고려가 건국된 918년부터 조선이 건국되는 1392년 이전까지의 역사를 말한다. 고려시대에 서울특별시 도봉구 일대에 대한 가장 직접적인 호칭은 숙종 대에 남경(南京)에 도읍을 설치하려 조사하는 과정에서 그 후보지 중에 ‘노원역(盧原驛)·해촌(海村)·용산(龍山)’이 거론되었던 기록을 참조할 수 있다. 조선 시대의 지도를 참조하면, 위의 ‘해촌’이 현재의 서울특별시 도봉구 지역을 지칭하는 것인데, 도봉구 지역은 조선 시대에 ‘해등촌면(海等村面)’으로, ‘해촌’이라 불리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와 관련된 더 이상의 자료는 찾아지지 않는다. 현재의 도봉구 일대를 포함한 고려시대의 행정 구역은 대체로 ‘양주(楊州)’, ‘남경’, ‘한양부(漢陽府)’ 등의 명칭으로 불렸다. 아래에서 이에 대하여 좀 더 자세히 보자.

서울특별시 도봉구 일대는 고려시대에 처음에는 양주에 속하였다. 양주는 995년(성종 14) 해주(海州)와 함께 관내도(關內道)에 속하였다가 1000년(현종 3) 이 제도가 폐지되면서 안무사(按撫使)로 바뀌었다. 1018년에는 지주사(知州事)로 내려갔으나, 1067년(문종 21)에 남경으로 승격되어 유수관(留守官)이 설치되었다.

당시 남경의 위치는 대개 지금의 경복궁(景福宮) 일대로 추정된다. 그러나 문종(文宗)은 얼마 후 다시 이 지역을 양주로 환원시켰던 것으로 보인다. 이곳이 다시 남경으로 승격되는 것은 숙종 대로, 바로 이때 현재의 도봉구 일대도 도읍의 중심지 후보 중 하나로 검토되었던 것이다. 그러나 결국 남경 궁궐은 지금의 사대문 안쪽에 지어졌던 것으로 추정된다. 대개 지금의 경복궁 일대로 비정하고 있다. 노원역이 남경의 관할인 것으로 미루어 보아, 현재의 도봉구 일대도 남경의 관할 영역에 포함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이후 충선왕(忠宣王) 대에 전국의 지방 제도를 개편하면서 남경은 한양부로 개편되었다. 그리고 한양부는 기존의 남경에 비해 관할 지역이 축소되었다. 교하군(交河郡), 견주(見州), 포주(抱州), 행주(幸州), 봉성현(峯城縣), 고봉현(高峯縣), 심악현(深嶽縣), 풍양현(豊壤縣), 사천현(沙川縣)만이 한양부의 관할에 포함되었다.

공민왕 대에 잠시 다시 남경으로 바뀌기도 하였으나 곧 한양부로 재편되었고, 조선 개국 이전인 우왕(禑王)·공양왕(恭讓王) 대에 한양으로의 일시적인 천도가 이루어졌다. 그리고 조선이 개국되면서 이 지역이 도읍으로 승격되었다. 현재의 도봉구 지역은 조선 시대에도 일부는 한성부(漢城府)의 영역에 속하고, 일부는 그 외곽 경기도 양주에 소속되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지리]

현재의 서울특별시 도봉구 일대를 포함하였던 고려의 양주 일대는 수도 개경(開京)의 턱밑인 장단현(長湍縣)과 견주로 이어지고, 또 광주(廣州)로 이어져 삼남 지방으로 내려갈 수 있는 핵심 간선로의 길목이었다. 고려 전기에 개경 남쪽 방면으로의 핵심 간선로로 ‘장단 도로(長湍渡路)’가 성립되었는데, 이는 개경에서 양주 등을 거쳐 한강(漢江)의 양진(楊津)에 이르는 주로이었다.

이곳은 적어도 11세기 전반까지 개경에서 남방으로 향하는 제일의 핵심 간선로 기능을 수행하였다. 거란의 2차 침략 당시 현종(顯宗)이 남쪽으로 피난하면서 이 지역을 통과한 것이 좋은 예라 할 수 있다. 거란군이 고려군을 격파하고 수도 개경을 향해 남하하자, 현종은 급히 남쪽으로 피난을 떠나야 하였다. 황급히 시작된 피난이었기에 신하들도 뿔뿔이 흩어져, 왕 주변에는 극소수의 신하만 남은 상태이었다.

이때 현재의 서울특별시 도봉구 일대에 있었던 사원으로 추정되는 도봉사(道峰寺)에서 현종하공진(河拱辰) 등 주요 신하들과 합류할 수 있었다. 이러한 모습을 통해 당시 이 지역이 지리적으로 중요한 길목이었음을 볼 수 있다.

[문화]

고려시대에 현재의 서울특별시 도봉구 일대는 불교문화와 깊은 관련이 있었다. 그 대표적인 예로 ‘고달사 원종 대사 혜진 탑비(高達寺元宗大師慧眞塔碑)’에 등장하는 도봉원(道峰院)을 들 수 있다. 이 기록에 따르면 고려 초에 도봉원은 고달원(高達院)·희양원(曦陽院)과 함께 매우 중요한 사찰 중 한 곳으로 손꼽혔다고 한다. 현재 이곳의 정확한 위치나 전후 내력을 알기는 어려우나, 앞서 언급한 도봉사 혹은 역시 도봉산에 있었던 것으로 전하는 영국사(寧國寺)와의 관련성이 추정되곤 한다.

또한 ‘양주 도봉산 보문사지(楊州道峯山普門寺誌)’를 통해 11세기 초에 관월 운개(觀月雲開)라는 승려가 신라 시대에 세워졌다고 하는 원통사(圓通寺)를 중창하고 머물렀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원통사는 그 뒤로도 여러 차례 중창되며 현재의 보문사(普門寺)로 이어진 유서 깊은 사찰이다. 또한 신라 시대에 의상(義湘)이 세웠다고 전하는 옥천암(玉泉庵)이 명종(明宗)영국사로 개칭되었다가, 다시 조선 시대에 천축사(天竺寺)로 이름이 바뀌어 현재까지 전하고 있다. 이렇듯 현재의 도봉구 지역은 고려시대에 여러 불교 사찰들이 존재하며 문화적으로 풍성하였던 곳이라 할 수 있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