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901583
한자 時祀
이칭/별칭 사시제,시제,시향,절사,묘제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의례/평생 의례와 세시 풍속
지역 서울특별시 도봉구
집필자 육민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세시 풍속
의례 시기/일시 한식 |음력 10월

[정의]

서울특별시 도봉구 지역에서 한식 또는 음력 10월에 5대조 이상의 조상 묘에서 지내는 제사.

[개설]

시사(時祀) 는 일반적으로 4대 봉사가 끝나 기제(忌祭)를 잡수시지 못하는 조상을 위하여 사당이나 집안이 아닌 묘에서 5대조 이상의 조상에게 올리는 제사이다. 한식 또는 10월에 정기적으로 묘제를 지낸다고 하여 시제(時祭)[시사]라고 불리는데, 사시제(四時祭), 시향(時享), 절사(節祀), 묘제(墓祭) 등이라고도 한다. 시사에 필요한 경비는 과거에는 매 신위마다 제위토가 있어 그 땅에서 추수한 것으로 비용을 충당하였으나 지금은 자손들이 서로 추렴하는 경우도 많다.

[연원 및 변천]

시사 는 ‘사시제’와 ‘묘제’로 나뉘는데, 오늘날 관습상 묘제를 대부분이 ‘시제’라고 칭한다. 사시제는 『주자가례(朱子家禮)』에 따르면 2, 5, 8, 11월의 길일에 지내며 4대친(四代親), 즉 부모에서 고조까지를 제사 대상으로 삼는다. 사당에 모신 4대친의 신주를 안채나 사랑채의 대청으로 옮겨 지냈다. 모든 제사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한 제사였다.

묘제는 음력 3월이나 10월 중에 길일을 택하여 지내며, 5대조 이상의 조상을 일 년에 한 번 그 묘소에서 받드는 제사이다. 묘제는 원래 고려 시대부터 중시되었는데, 조선 중기까지는 한식, 단오, 한가위[추석], 중양(重陽)에 지냈고, 이후 지방에 따라 한식과 추석에 두 차례, 혹은 추석이나 중양에 한 차례 행하였는데, 먼저 집에서 절사(節祀)를 행하고 다음날 성묘를 하였다. 3월이나 한식, 10월 초하루의 경우에는 4대친을 포함하여 모든 조상의 묘제를 지냄으로써 시사로 인식하게 된 듯하다.

[절차]

서울특별시 도봉구에서는 음력 10월 날을 정하여 5대조 이상의 조상에게 묘에서 제사를 지낸다. 종손이 시사에 참석하였으면 종손의 주도 하에 잔을 올리는 헌관(獻官)을 선출하며, 참석하지 않은 경우에는 참석한 사람들의 의견을 종합하여 헌관을 뽑는다. 구체적 절차는 다음과 같다.

먼저 묘소 앞에 제물을 차리는데, 이때 토지신(土地神)에게 올릴 제물도 함께 차려 토지신에게 먼저 제사를 지내고 다음에 묘소에 제사한다. 축관이 축판을 봉안하고 초헌관이 분향재배(焚香再拜)한다. 초헌관이 강신(降神) 잔을 모사 그릇에 세 번 따르고 재배하고 물러난 후 모든 사람이 재배한다. 탕, 갈납, 회, 메, 탕국, 편, 면 등을 올리고 초헌례를 한다. 메 그릇의 뚜껑을 열고 적을 올린 후 독축(讀祝)을 한다. 그리고 아헌례와 종헌례를 진행하고 이후 첨작을 한다. 초헌관이 밥그릇에 수저를 꽂는 삽시를 하고 재배 후 물러나면 모든 사람이 10분 동안 시립한다. 이후 국그릇과 숭늉 그릇을 바꾸고 숭늉 그릇에 세 번 밥을 떠 넣고 다시 5분 동안 시립한 후 숟가락, 젓가락을 거두고 메 뚜껑을 덮는다. 모든 사람이 재배하고 축문을 태운 후 음복하고 상을 치운다.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시사 때에는 자손들이 묘소를 벌초하고 묘의 주위를 깨끗하게 청소한다. 이후 조상 묘뿐만 아니라 산신(山神)이나 토지신에게도 제사를 지낸다. 토지신에 대한 제사는 간단하게 제물을 차리고 강신, 참신(參神)[신주 앞에서 절을 함], 삼헌(三獻)[술을 세 번 부어 올림, 초헌·아헌·종헌], 사신(辭神)[두 번 절하고 지방과 축문을 불사름] 등의 순서로 행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