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유도봉서원기」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901700
한자 遊道峯書院記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유형 작품/문학 작품
지역 서울특별시 도봉구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구본현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저자 생년 시기/일시 1564년 - 「유도봉서원기」 저자 이정구 출생
저술|창작|발표 시기/일시 1615년연표보기 - 「유도봉서원기」 창작
저자 몰년 시기/일시 1635년 - 「유도봉서원기」 저자 이정구 사망
편찬|간행 시기/일시 1688년 - 「유도봉서원기」가 수록된 『월사집』 간행
배경 지역 도봉산 -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동지도보기
성격 기문
작가 이정구

[정의]

1615년 이정구이항복 등과 함께 도봉 서원을 방문하고 나서 쓴 기문.

[개설]

「유도봉서원기(遊道峯書院記)」는 1582년(선조 15)에 수몽(守夢) 정엽(鄭曄)[1563~1625]과 함께 도봉 서원에 머물면서 독서한 적이 있었던 월사(月沙) 이정구(李廷龜)[1564~1635]가 1615년(광해군 7)에 백사(白沙) 이항복(李恒福)[1556~1618] 등과 함께 다시 도봉 서원을 유람하고 지은 기문(記文)이다. 「유도봉서원기」이정구의 시문집 『월사집』 권35에 수록되어 있다.

이정구의 자는 성징(聖徵), 호는 월사·보만당(保晩堂)·치암(癡菴)·추애(秋崖)·습정(習靜) 등이며, 본관은 연안(延安)이다. 윤근수(尹根壽)[1537~1616]의 문인으로, 1590년(선조 23) 증광 문과에 병과로 급제한 후 병조 판서·예조 판서와 우의정·좌의정·대제학 등의 벼슬을 지냈다. 중국어에 능하여 명나라 사신이나 지원군의 접대에 활약하기도 하였다. 치군택민(致君澤民)의 이상과 이문화국(以文華國)의 관인 문학을 실천하여 정통적인 사대부 문학의 전범(典範)을 보인 결과 상촌(象村) 신흠(申欽)[1566~1628], 계곡(谿谷) 장유(張維)[1587~1638], 택당(澤堂) 이식(李植)[1584~1647] 등과 함께 조선 중기 한문 사대가로 칭해졌다. 문집으로는 『월사집』이 전하며, 시호는 문충(文忠)이다.

[구성]

작자 이정구가 처음 도봉산과 인연을 맺게 된 계기, 1615년에 이항복 등과 함께 도봉 서원에 가게 된 경위, 도봉 서원에 이르러 사당에 참배하고 침류당에 묵으면서 동행인들과 벌인 흥취로운 장면 등에 대해 차례로 서술하고 있다.

[내용]

서울 근교의 명산을 말할 때면 반드시 도봉산삼각산을 칭한다고 하고, 처음 도봉산과 인연을 맺게 된 계기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즉 1582년에 작자 이정구정엽과 함께 영국 서원(寧國書院)에서 독서를 하였는데, 그때 도봉산과 수락산을 유람한 적이 있었다. 그때는 약관이 되지 않은 나이여서 위험을 무릅쓰고 끝까지 두루 둘러보았는데, 그때의 유람을 이후 30년이 넘도록 잊은 적이 없다고 했다.

1615년(광해군 7) 가을에 백사 이항복이 탄핵을 입고 교외의 노원(蘆原)에 우거하고 있었는데 윤해(尹瀣), 작자의 아들 이명한(李明漢)[1595~1645]과 함께 그를 찾았다. 대화 도중에 이정구가 수락산과 도봉산의 승경에 대해 이야기하면서 그곳에 가 보면 어떻겠냐고 하자, 이항복은 수락산은 늘 가는 곳이니 도봉산에 가 보고 싶다고 하였다. 그 즉시 행장을 차리고 당나귀를 타고 나서게 된다.

도봉동구(道峯洞口)로 들어서니 이미 별세계가 펼쳐졌다 하면서 이때부터 본 도봉산의 경관을 다양한 비유를 통해 세세히 묘사하고 있다. 드디어 도봉 서원에 이르러 사당에 절을 하고 침류당에 앉았다가 이어서 밤이 되어 침류당에서 자면서 있었던 일화에 대해 서술하고 있다. 즉 밤이 되자 물소리가 세차서 마치 꿈속에서 장강(長江)의 삼협(三峽)을 건너는 듯하였는데, 갑자기 이항복이정구를 깨워 술을 마시고 동행한 아들 이명한에게 노래를 부르도록 하였다. 이명한은 소동파의 「적벽부(赤壁賦)」를 읊조렸고, 이 분위기로 인하여 자신이 마치 신선이 된 듯한 생각이 들었다고 했다. 이날의 맑은 정치(情致)를 기억하기 위해 이 글을 쓴다는 말로 글을 맺고 있다.

[특징]

일반적인 유기문에서 확인할 수 있는 여정, 경관 묘사, 감회 등을 모두 포함하고 있으면서도 특히 「유도봉서원기」는 정취(情趣)에 대한 묘사가 두드러진다는 특징이 있다. 또 작자 이정구가 한문 사대가의 한 사람인 만큼 이 글 또한 순정한 고문투로 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의의와 평가]

「유도봉서원기」는 1582년에 이정구정엽과 함께 ‘영국 서원’에 머물면서 독서했다는 언급이 있다. 1582년이면 이미 도봉 서원이 창건된 이후이므로 창건 이후 한동안은 도봉 서원을 ‘영국 서원’이라고도 칭했음을 확인할 수 있는 좋은 자료이다. 또 이항복의 행적과 관련하여, 그가 노원에 머물면서 자주 수락산에 오르내렸다는 언급 역시 주목된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