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900353
한자 韓致禮神道碑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비
지역 서울특별시 도봉구 방학동 산64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이민아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관련 인물 생년 시기/일시 1441년 - 한치례 출생
관련 인물 몰년 시기/일시 1499년 - 한치례 사망
건립 시기/일시 1500년연표보기 - 한치례 신도비 건립
현 소재지 한치례 묘 - 서울특별시 도봉구 방학동 산64지도보기
성격 신도비
양식 이수 방부형
관련 인물 한치례(韓致禮)|어세겸(魚世謙)|임사홍(任士洪)
높이 87㎝[이수]|74㎝[비신]|128㎝[비좌]
너비 34㎝[이수]|24㎝[비신]|85㎝[비좌]
두께 54㎝[이수]|140㎝[비신]|69㎝[비좌]

[정의]

서울특별시 도봉구 방학동에 있는 조선 전기의 무신 한치례의 신도비.

[개설]

한치례(韓致禮)[1441~1499]는 좌의정 한확(韓確)의 셋째 아들로, 어머니는 이조 판서를 지낸 홍여방(洪汝方)의 딸이다. 아버지는 세조(世祖)의 즉위를 도운 공신이었으며, 누이는 세조의 아들인 덕종(德宗)과 혼인하여 훗날 인수 대비(仁粹大妃)가 되었다. 큰 고모는 명나라 성조(成祖)의 후궁으로 뽑혀 여비(麗妃)가 되었고, 작은 고모는 성조의 뒤를 이은 선종의 후궁이 되면서 명나라 황실과도 긴밀한 관계를 이어 갔다. 부인은 연창위(延昌尉) 안맹담(安孟聃)의 딸이며, 슬하에 1남 2녀를 두었다.

[위치]

한치례 신도비한치례가 죽은 지 1년 뒤인 1500년(연산군 6)에 한치례의 장손인 한세창이 건립하였다. 한치례 묘로 들어가는 입구 오른쪽[현 서울특별시 도봉구 방학동 산64번지]에 있다.

[형태]

이수형 비석으로 이수(螭首)와 비신(碑身)이 한 돌이다. 이수 방부형으로 이수는 거의 반원형이다. 이수에는 전면과 후면에 각각 쌍룡이 가운데의 여의주를 맞잡아 바라보며 다투는 형상이다. 여의주 위로는 불꽃무늬를 조각하였으며, 이무기 주변에는 구름무늬를 장식하였다. 비좌(碑座) 윗면에는 복련, 전면에는 두 열로 안상을 새기고, 그 안에 초문을 새겨 넣었다. 규모는 이수 87㎝×34㎝×54㎝, 비신 74㎝×24㎝×140㎝, 비좌 128㎝×85㎝×69㎝이다.

[금석문]

전액은 ‘장간 한공 신도비 명(莊簡韓公神道碑銘)’이고, 비제는 ‘유명 조선국 순성좌리공신 보국숭록대부 영□녕□□□□□□□□□ 시 장간□공 신도비명 병서(有明朝鮮國純誠佐理功臣輔國崇祿大夫領□寧□□□□□□□□□諡莊簡□公神道碑銘幷序)’이다. 비문은 한치례의 사촌형이자 당시 좌의정이었던 청성군(淸城君) 한치형(韓致亨)이 홍귀달(洪貴達)에게 부탁하여 지었다.

[현황]

한치례 신도비는 2면 비로 비문은 마모가 심하여 일부 글자를 판독하기 어렵다. 그러나 조선 전기 비석 양식을 잘 보여 주어 능묘 조각 연구 자료로도 매우 귀중하다.

[참고문헌]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15.06.12 내용 수정 국조인물고 참조하여 어세겸이 짓고 임사홍이 썼다를 홍귀달이 지었다로 수정(2015.6.12)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