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천주교 서울 대교구 혜화동 교회에 있는, 도봉산을 배경으로 한국인 103위 순교 복자를 그린 성화. 1976년에 박희봉(朴喜奉)[이시도로] 천주교 서울 대교구 혜화동 교회 주임 신부가 「103위 순교 복자 성화[103位殉敎福者聖畵]」를 화가 문학진[토마스]에게 의뢰하였다. 문학진은 10개월 동안 전례·역사·복식 전문가들에게서 자문을 얻어 1977년에 그림을 완성하였는데, 한국적 주...
-
서울특별시 도봉구 수유동[현재 강북구 수유동]에서 ‘가오리’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궁궐에서 5리를 더 가라」는 성종 대왕의 어명에 따라 5리(里)를 더 가서 장사를 지냈다고 하여 ‘가오리(可五里)’라고 불렀다는 지명 유래담이다. 1980년 한국 정신문화 연구원에서 발행한 『한국 구비 문학 대계』1-1 서울특별시 도봉구편에 「가오리 마을 유래」라는 제목으로 수록되어 있...
-
시인 고광헌이 늦은 가을, 도봉산에 오르는 감회를 형상화한 시. 고광헌[1955~ ]의 「가을, 도봉에 올라」는 고광헌의 시집 『시간은 무겁다』[창작과 비평사, 2011]에 수록되어 있다. 시인은 「가을, 도봉에 올라」에서 어느 가을, 도봉산에 올라 발아래 펼쳐진 풍경을 보며 자신의 삶을 되돌아보고 있다. 「가을, 도봉에 올라」는 전체 2연으로, 1연은 4행, 2연은 11행으로 구...
-
백사 이항복이 1614년 가을 노원에 우거할 당시 도봉산을 찾아 노닐며 지은 오언 율시의 한시. 백사(白沙) 이항복(李恒福)[1556~1618]은 1613년(광해군 5) 인목 대비(仁穆大妃)[1584~1632]의 아버지인 김제남(金悌男)이 영창 대군(永昌大君)[1606~1614]을 옹립하려 하였다는 무고로 사사된 김제남 옥사 사건과 그 여파로 일기 시작한 폐모론, 영창 대군 사사...
-
1673년 우암 송시열의 「제도봉서원」을 차운하여 농암 김창협이 지은 칠언 절구의 한시. 도봉서원(道峯書院)은 1573년(선조 6년)에 조광조(趙光祖)를 기리기 위해서, 조광조가 자주 찾았던 도봉산 자락의 영국사(寧國寺) 터에 설립한 서원으로, 설립과 동시에 사액(賜額)되었다. 우암(尤庵) 송시열(宋時烈)의 경우 도봉 서원에 머물며 강학을 한 인연으로 1696년(숙종 22)에 병향...
-
1615년 무렵 이정구가 도봉 서원을 방문하고 감회를 읊은 칠언 율시의 한시. 「과도봉서원유감(過道峯書院有感)」은 1615년(광해군 7) 무렵 월사(月沙) 이정구(李廷龜)[1564~1635]가 백사(白沙) 이항복(李恒福)[1556~1618] 등과 함께 도봉 서원을 방문하고 나서 느낀 감흥을 적은 한시이다. 「과도봉서원유감」은 이정구의 시문집 『월사집(月沙集)』 권 17에 수록되어...
-
서울특별시 도봉구 수유동[현재 강북구 수유동]에서 ‘가오리’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궁궐에서 5리를 더 가라」는 성종 대왕의 어명에 따라 5리(里)를 더 가서 장사를 지냈다고 하여 ‘가오리(可五里)’라고 불렀다는 지명 유래담이다. 1980년 한국 정신문화 연구원에서 발행한 『한국 구비 문학 대계』1-1 서울특별시 도봉구편에 「가오리 마을 유래」라는 제목으로 수록되어 있...
-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 1동에서 무수옹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근심 걱정이 없는 노인」은 무수옹(無愁翁) 노인을 시험하려 했던 임금이 계책으로 구슬을 잃어버렸지만, 우연히 얻게 된 잉어로부터 잃어버린 구슬을 찾게 되어 다시 걱정 근심이 사라지게 되었다는 효행담이자 우행담이며, 지명 유래담이다. 도봉동 104번지 일대를 약 500여 년 전에는 수철동(水鐵洞), 일명 ‘무...
-
1974년 황동규가 도봉산에 있는 김수영 무덤을 찾은 일을 소재로 쓴 추모의 시. 「김수영 무덤」은 시인 황동규가 어느 가을비 내리는 저녁, 도봉산 골짜기에 있는 김수영(金洙映)[1921~1968]의 무덤을 찾은 후 김수영을 추모하기 위해 쓴 시이다. 「김수영 무덤」은 크게 첫째 갈피와 둘째 갈피의 두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첫째 갈피에서는 차가운 가을비와 바람에 흔들리는 풀의...
-
1975년 김영태가 시인 김수영을 추모하기 위하여 지은 시. 「김수영을 추모하는 저녁 미사곡」은 1975년 김영태(金榮泰)[1936~2007]가 시인 김수영(金洙映)[1921~1968]의 제일(祭日)에 도봉산에 있는 무덤을 찾아간 후 그를 추모하고 애도하기 위해 쓴 시이다. 김영태는 문학 청년기를 김수영의 영향 아래 보냈으며, 후에 김수영을 주제로 한 시를 몇 편 발표했다. 「김수...
-
서울특별시 도봉구 쌍문동에서 효자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쌍문동 효자 이야기」는 250년 전에 남궁지(南宮遲)와 그의 부인 하동 정씨(河東鄭氏), 그리고 그들의 아들 남궁조(南宮鋽)의 효행으로 인하여 이 마을에 두 개의 정려문을 세우게 되고, 자연스럽게 이것이 쌍문동(雙門洞)이라는 동명(洞名)으로 불리게 되었다는 효행담이자 지명 유래담이다. 이를 「남궁지 이야기」라고도...
-
1668년 박세당이 도봉서원을 찾아가 조여길의 시에 차운하여 지은 한시. 「사예 조여길이 도봉서원에 있다는 소식을 도중에 듣고서 가서 유숙하고, 이어 그 시에 차운하다」는 박세당(朴世堂)[1629~1703]이 사예(司藝) 조여길(趙汝吉)이 도봉서원(道峯書院)에 있다는 소식을 도중에 듣고 가서 유숙하고, 이어 조여길의 시에 차운한 시이다. 도봉서원은 왜란으로 소실된 도봉산 영국사(寧...
-
시인 박몽구가 잔설이 남아 있는 4월의 도봉산을 배경으로 하여 지은 자유시. 「다락 능선에서」는 잔설이 남아 있는 4월의 도봉산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다락 능선에서」에서 시인은 잔설이 남아 있어 등산객들에게는 위험한 도봉산 다락 능선과 그 능선을 지나자 빨갛게 피어 등산객을 맞고 있는 진달래의 모습을 통해, 씨앗을 퍼뜨리기 위해 한파의 시련도 이겨 내는 사랑의 힘에 대해서 이야...
-
시인 장영수가 도봉산의 모습을 형상화한 자유시. 장영수[1947. 10. 15~ ]의 「도봉 Ⅰ」은 연작이라고 할 수 있는 「도봉 Ⅱ」, 「도봉 Ⅳ」와 함께 시집 『메이비』[문학과 지성사, 1977]에 수록되어 있는 작품으로, 도봉구 도봉동에 위치하고 있는 도봉산의 높이 솟은 봉우리의 모습을 통해 인간 삶의 방식을 반추하고 있는 시이다. 「도봉 Ⅰ」은 전체 2연 10행으로 구성되어...
-
시인 장영수가 도봉산 일대에 자리를 잡고 살아가는 직업여성들의 일생을 형상화한 자유시. 장영수[1947. 10. 15~ ]의 「도봉 Ⅳ」는 「도봉 Ⅰ」, 「도봉 Ⅱ」와 함께 시집 『메이비』[문학과 지성사, 1977]에 수록되어 있는 ‘도봉’ 연작의 마지막 작품으로, 도봉산과 인접 지역인 경기도 의정부시와 동두천시 등지에 어린 나이에 돈을 벌 요량으로 흘러들었다가 나이를 먹은 후 도...
-
조선 후기의 선비 화가 이인상이 도봉산을 유람하고 그린 진경 산수화. 「도봉계류도(道峯 溪流圖)」는 조선 후기의 화가 이인상(李麟祥)[1710~1760]이 지난 날 절친한 벗 이윤영(李胤永)[1714~1759]과 도봉산(道峰山)에 있던 민문흔(閔文欣)의 거처를 방문하고 진경을 그렸던 것을 회고하는 내용의 화제(畵題)를 특유의 서체로 기록한 작품이다. 이인상은 조선 후기의 대표적인...
-
시인 권혁웅이 도봉근린공원을 배경으로 하여 각양각색의 주민들을 묘사한 자유시. 권혁웅[1976. 3. 7~ ]의 「도봉 근린공원」은 2011년에 발간된 『열린 시학』 겨울호에 실린 작품이다. 시 전체가 하나의 연으로 이루어진 자유시에 해당하며, 도봉근린공원의 오후 시간을 배경으로 하여 공원을 이용하는 주민들의 모습과 주변의 풍경을 묘사하고 있다. 「도봉근린공원」은 전체가 하나의 연...
-
시인 류근택이 도봉산을 오르며 느낀 아름다움을 산수도에 빗대어 형상화한 자유시. 류근택[1943~ ]의 시 「도봉산수도」는 제22회 동국 문학상 수상 작품으로 도봉산의 아름다움을 노래하고 있다. 작가는 도봉산을 오르는 과정에서 만나는 도봉산의 능선과 백운대 등의 아름다운 풍경을 산수도에 빗대어 표현하고 있다. 「도봉산수도」는 전체 5연 16행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봉산수도」 전문...
-
산의 시인이라고 불리는 이성부가 도봉산~삼각산을 종주한 일을 중심 사건으로 하여 쓴 수필. 이성부[1942~2012.2.28]의 「도봉 삼각산 종주」는 산을 주제로 한 이성부의 수필집 『산길』[책 만드는 집, 2010]에 수록되어 있는 작품이다. 전체 4부로 구성되어 있는 수필집에서 「도봉 삼각산 종주」는 2부인 ‘삼각산 이야기’에 수록되어 있다. 도봉산에서 우연히 만난 산꾼이 이...
-
조선 후기의 문신 이경석이 도봉서원의 강당 중건을 기념하여 지은 상량문. 「도봉서원 강당중건상량문(道峯書院講堂重建上樑文)」은 조선 후기의 문신 백헌(白軒) 이경석(李景奭)[1595~1671]이 상량식 할 때에 강당의 성대함과 유도(儒道)의 엄중함을 내용으로 지은 사륙변려문(四六騈麗文)으로 된 상량을 축복하는 글이다. 정확한 창작 연대는 알 수 없으나 본문에 병자호란에 관한 언급이...
-
1839년 심승택이 지은 도봉서원에 사액을 하면서 제사를 지낼 때 쓴 제문. 도봉서원(道峯書院)은 1573년(선조 6년)에 조광조(趙光祖)를 기리기 위해서 조광조가 자주 찾았던 도봉산 자락의 영국사(寧國寺) 터에 설립한 서원으로, 설립과 동시에 사액(賜額)되었다. 우암(尤庵) 송시열(宋時烈)의 경우 도봉 서원에 머물며 강학을 한 인연으로 1696년(숙종 22)에 병향되었는데, 17...
-
1630년 윤순거가 도봉 서원의 돌 받침을 가공하여 석지를 조성하고 지은 기문. 「도봉서원 석지기(道峯書院石池記)」는 1630년(인조 8) 조선 후기의 문신 동토(童土) 윤순거(尹舜擧)[1596~1668]가 도봉서원에 있는 돌 받침[石洀]에 구멍을 내어 석지(石池)를 조성하고 그것에 부친 기문(記文)이다. 「도봉서원 석지기」는 윤순거의 시문집 『동토집(童土集)』 권5에 수록되어 있...
-
조선 후기의 문신 이경석이 도봉서원의 존경각에 부친 상량문. 「도봉서원 존경각상량문(道峯書院尊經閣上樑文)」은 조선 후기의 문신 백헌(白軒) 이경석(李景奭)[1595~1671]이 성현의 경전을 보관하는 존경각(尊經閣)의 상량을 축복하는 글이다. 「도봉서원 존경각상량문」은 이경석의 시문집 『백헌집(白軒集)』 권15에 수록되어 있다. 정확한 창작 연대는 알 수 없으나 이경석이 병자호란...
-
1792년 9월 12일 정조가 도봉서원에서 제사를 올리게 하며 지은 제문. 「도봉서원 치제문(道峯書院致祭文)」은 1792년(정조 16) 9월 10일, 정조(正祖)[1752~1800]가 광릉(光陵)에 참배하러 간 일이 있는데, 이틀 뒤 도성으로 돌아오는 길에 도봉서원을 지날 때 승지를 보내 제사를 지내게 하며 직접 지은 제문(祭文)이다. 「도봉서원 치제문」은 정조의 시문집인 『홍재전...
-
1579년 무렵 이이가 도봉서원이 건립된 경위에 대해 쓴 기문. 「도봉서원기(道峯書院記)」는 율곡(栗谷) 이이(李珥)[1536~1584]가 도봉서원이 건립된 경위는 물론 서원(書院)의 규약과 건립 비용 등에 대해 비교적 자세히 언급하고 있는 기문(記文)이다. 「도봉서원기」는 이이의 시문집 『율곡전서(栗谷全書)』 권13에 수록되어 있다. 이이의 자는 숙헌(叔獻), 호는 율곡·석담(石...
-
조선 후기 도봉서원을 소재로 심사정이 그린 것으로 추정되는 진경 산수화. 「도봉서원도(道峰書院圖)」는 도봉서원(道峯書院)을 제재로 그린 진경 산수화로, 화가는 확실치 않지만 선비 화가 심사정(沈師正)[1707~1769]의 작품으로 추측되고 있다. 도봉산(道峰山) 계곡에 위치한 도봉서원은 1573년에 조광조(趙光祖)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였으며, 서울의 관료는 물론이고...
-
조선 후기 겸재 정선이 도봉서원을 개성적인 화풍으로 그린 진경 산수화. 도봉서원(道峯書院)은 정암(靜庵) 조광조(趙光祖)와 우암(尤庵) 송시열(宋時烈)을 배향한 서원으로 도봉산(道峰山)의 우이동 계곡에 위치하고 있다. 「도봉서원도(道峰書院圖)」를 그린 정선(鄭敾)[1676~1759]의 본관은 광산(光山), 자는 원백(元伯), 호는 겸재(謙齋) 또는 난곡(蘭谷)이다. 몰락한 양반가에...
-
1614년 가을 무렵 백사 이항복이 도봉서원에 묵으며 지은 칠언 절구의 한시. 도봉서원(道峯書院)은 1573년(선조 6년)에 조광조(趙光祖)를 기리기 위해서 조광조가 자주 찾았던 도봉산 자락의 영국사(寧國寺) 터에 설립한 서원으로, 설립과 동시에 사액(賜額)되었다. 뒤에 우암(尤庵) 송시열(宋時烈)이 도봉 서원에 머물며 강학을 한 인연으로 송시열도 추가로 배향되었다. 백사(白沙)...
-
1673년 무렵 송시열이 도봉 서원을 소재로 지은 칠언 절구의 한시. 「도봉서원에 쓰다[題道峯書院]」는 1673년(현종 14) 무렵 우암(尤庵) 송시열(宋時烈)[1607~1689]이 도봉서원의 경관과 수학하는 선비들의 모습을 보고 느낀 감회를 적은 한시이다. 「도봉 서원에 쓰다」는 송시열의 시문집 『송자대전(宋子大典)』 권2에 수록되어 있다. 『송자대전』의 시들은 먼저 시체별(詩體...
-
시인 김경미가 서울특별시립 도봉 도서관을 배경으로 하여 봄의 풍경을 묘사한 자유시. 김경미[1959~ ]의 시 「도봉 시립 도서관에서」는 김경미의 시집 『이기적인 슬픔들을 위하여』[창작과 비평사, 1995]에 수록된 작품이다. 「도봉 시립 도서관에서」는 서울특별시 도봉구 쌍문동에 위치한 서울특별시립 도봉 도서관과 그 일대를 배경으로 하고 있는 작품으로, 늦은 오후 도서관 안에까지...
-
시인 김경미가 서울특별시립 도봉 도서관을 배경으로 하여 봄의 풍경을 묘사한 자유시. 김경미[1959~ ]의 시 「도봉 시립 도서관에서」는 김경미의 시집 『이기적인 슬픔들을 위하여』[창작과 비평사, 1995]에 수록된 작품이다. 「도봉 시립 도서관에서」는 서울특별시 도봉구 쌍문동에 위치한 서울특별시립 도봉 도서관과 그 일대를 배경으로 하고 있는 작품으로, 늦은 오후 도서관 안에까지...
-
조선 후기 화가 이인문이 도봉산 계곡 안에 있는 원장의 풍경을 그린 진경 산수화. 「도봉원장(道峰苑莊)」은 18세기 후반 산수화가로서 이름이 높았던 이인문(李寅文)[1745~1821]이 그린 진경 산수화이다. 이인문의 본관은 해주(海州)이고, 자는 문욱(文郁), 호는 유춘(有春) 혹은 고송유수관도인(古松流水舘道人)이다. 도화서 화원으로 활약하였으며 벼슬은 첨사를 지냈다. 『동국문헌...
-
조선 후기 박세당이 도봉산에서 문신 남구만의 시에 차운한 칠언 율시의 한시. 박세당(朴世堂)[1629~1703]은 조선 후기의 실학자로 1660년(현종 1) 문과에 장원 급제한 뒤 벼슬길에 나아가 예조 좌랑, 홍문관 교리, 홍문관 수찬 등을 역임하였으나 당시의 정치 현실에 실망하여 1668년(현종 9) 양주 석천동[현재의 도봉산 아래 다락원]에 은거하였다. 「도봉산 운로의 시에 차...
-
18세기 겸재 정선이 도봉산과 도선사의 가을 경치를 그린 진경산수화. 「도봉추색도(道峰秋色圖)」는 도봉산에 있는 도선사를 중심으로 주변의 가을 경치를 그린 작품이다. 그림의 오른쪽 위에는 화가 정선(鄭敾)[1676~1759]이 직접 쓴 ‘도봉 추색(道峰秋色)’이란 화제(畵題)가 희미하게 남아 있고 화풍의 특징도 정선 화풍을 잘 드러내고 있어서 정선의 작품임을 알 수 있다. 그림을...
-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산에 올라 박두진이 지은 시 「도봉」에 노래를 붙인 가곡. 「도봉」은 1946년 을유 문화사에서 발행된 박목월, 조지훈, 박두진 3인의 공동 시집인 『청록집』에 실려 있다. 일제의 암흑을 통해 해방의 구원을 드러내고자 하는 「도봉」은 이후 몇몇 작곡자의 손을 거쳐 가곡으로 만들어졌다. 『매일 경제』 1985년 9월 18일자 문화 행사 코너에는 MBC 주최 제1...
-
1940년 무렵 박두진이 도봉산에 올라 암담한 현실에 대해 느낀 심경을 읊은 서정시. 「도봉」은 1940년 무렵 박두진(朴斗鎭)[1916~1998]이 민족적 외로움과 자신의 외로움을 달래느라 도봉산에 줄곧 다닐 때에 지은 10연(聯)의 시이다. 「도봉」은 박두진의 초기 시로, 밤과 낮의 순환적 질서를 바탕으로 절망적인 민족적 현실과 새로운 시대에 대한 그리움을 노래하고 있다. 이후...
-
1668년 조선 후기 학자 박세당이 벼슬을 그만두고 물러나 석천에 거처한 이후 도봉산의 정경을 노래한 칠언 절구의 한시. 1669년(현종 10) 조선 후기 학자 박세당(朴世堂)[1629~1703]은 연경에서 관등놀이를 구경하였다는 명목으로 대간의 탄핵을 받고 석천(石泉)으로 들어왔다. 박세당은 석천으로 들어오면서 세상과 완전하게 등을 돌린 것은 아니지만, 더 이상 명예와 이익 때문...
-
일제 강점기 이병기가 도봉산을 오른 체험을 소재로 하여 쓴 4연의 연시조. 「도봉」은 일제 강점기에 가람(嘉藍) 이병기(李秉岐)[1891~1968]가 도봉산을 오른 실제 체험을 바탕으로 한 기행 시조로서 화자의 체험이 드러나면서도 표현하고자 하는 대상의 풍경을 세밀하게 묘사하고 있는 작품이다. 「도봉」은 총 5부로 구성되어 있는 『가람 시조집』의 제1부에 수록되어 있다. 『가람 시...
-
1708년 김창업이 도봉산을 유람하고 지은 오언 배율의 한시. 「도봉기유(道峯紀遊)」는 1708년(숙종 34) 조선 후기의 문신 노가재(老稼齋) 김창업(金昌業)[1658~1721]이 도봉산을 노닌 것에 대하여 지은 기행 한시이다. 김창업의 자는 대유(大有), 호는 가재(稼齋) 또는 노가재, 본관은 안동(安東)이다. 병자호란 때 주전파였던 김상헌(金尙憲)[1570~1652]의 손자이...
-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동 안골에서 느티나무 신목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도봉동 안골의 영험담」은 안골 마을에서 중요한 신격으로 모시고 있는 신목(神木)인 느티나무의 영험으로 인하여 공동체와 개인의 위기 때마다 마을과 개인의 안녕이 유지되고 있다는 당신화(堂神話)[마을신과 관련된 이야기]의 신이담이다. 일반적인 설화와 달리 신앙이 밑바탕 되어 있다는 것이 큰 특징이다....
-
1792년 정조가 도봉산 만장봉 부근에 이르러 동행한 황승원에게 지어 준 칠언 절구의 한시. 「도봉로차증장주(道峯路次贈長洲)」는 1792년(정조 16) 9월 10일, 정조(正祖)[1752~1800]가 광릉(光陵)으로 가기 위해 흥인문(興仁門)을 나서 미아리와 도봉산 아래를 지날 때 당시 행차에 대사간으로 동행한 황승원(黃昇源)[1732~1807]에게 지어 준 한시이다. ‘장주(長洲...
-
조선 후기 오억령이 도봉 서원의 사우를 두고 지은 상량문. 「「도봉사우상량문」(道峯祠宇上樑文)」은 조선 후기의 문신 만취(晚翠) 오억령(吳億齡)[1552~1618]이 정암(靜菴) 조광조(趙光祖)[1482~1519]의 위패를 모신 도봉 서원의 사우(祠宇)의 상량을 축복하는 글이다. 「도봉사우 상량문」은 오억령의 시문집 『만취집』 권5에 수록되어 있다. 오억령의 자는 대년(大年), 호...
-
시인 박몽구가 도봉산 망월사에서 만난, 때 이른 진달래를 보며 깨달은 바를 노래한 자유시. 박몽구[1956. 3. 15~ ]의 「도봉산 망월사에 가서」는 시집 『자끄린느 뒤프레와 함께』[문학과 경계사, 2004]에 수록되어 있는 자유시이다. 작가는 「도봉산 망월사에 가서」에서 황사를 피하기 위해 오른 도봉산 망월사(望月寺)의 모습과 그곳에 피어 있는 때 이른 진달래의 모습을 통해...
-
시인 안광태가 한여름 도봉산 계곡의 아름다움을 형상화한 자유시. 안광태[1945~]의 「도봉산별곡」은 시집 『초록 벌레』[시 문학사, 2011]에 수록되어 있는 작품으로, 작가는 한여름을 맞이한 도봉산과 그 속에 흐르는 도봉산 계곡의 풍성함과 아름다움을 노래하고 있다. 「도봉산별곡」은 전체 1연 12행으로 구성되어 있는 자유시이다. 「도봉산별곡」 한여름 도봉산 계곡은/ 넉넉...
-
1962년 박봉우가 도봉산에 핀 4월의 늦진달래를 소재로 4·19 혁명의 좌절에 대한 안타까움을 노래한 시. 「도봉산 시초: 나의 숙에게」는 박봉우가 도봉산과 천축사를 배경으로 1960년에 일어난 4·19 혁명의 좌절과 이때 희생된 사람들에 대한 감정을 노래한 작품이다. 4·19 혁명의 과정에서 희생된 사람들의 고통과 혼자서 살아남았다는 것에 대한 죄책감, 혁명의 이상을 지켜 가야...
-
도봉산의 여름 풍경을 소재로 화가 박고석이 1972년에 그린 유화. 두껍고 빠른 붓질과 단순한 형태의 모던한 화풍을 구사하였던 박고석(朴古石)[1917~2002]은 1970년대부터 산을 소재로 한 풍경화를 주로 그렸다. 1950년대 중반경에 북한산(北漢山)과 도봉산(道峰山)이 보이는 정릉(貞陵)에 터를 잡고 호젓한 산중 생활을 즐기다가 1968년부터 본격적으로 산행을 시작하면서 ‘...
-
조선 초기의 문인이자 학자인 서거정이 도봉산 영국사에서 읊은 칠언 율시의 한시. 서거정(徐居正)[1420~1488]은 조선 초기의 문신이자 학자로서 1444년(세종 26) 문과에 급제한 뒤 벼슬길에 나아가 집현전 박사, 대사헌, 대제학, 좌찬성 등을 역임하였다. 『경국대전(經國大典)』, 『동국통감(東國通鑑)』,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 등의 편찬에 참여하였고, 문집인 『사가집...
-
조선 후기 박세당이 도봉산에서 문신 남구만의 시에 차운한 칠언 율시의 한시. 박세당(朴世堂)[1629~1703]은 조선 후기의 실학자로 1660년(현종 1) 문과에 장원 급제한 뒤 벼슬길에 나아가 예조 좌랑, 홍문관 교리, 홍문관 수찬 등을 역임하였으나 당시의 정치 현실에 실망하여 1668년(현종 9) 양주 석천동[현재의 도봉산 아래 다락원]에 은거하였다. 「도봉산 운로의 시에 차...
-
시인 정진규가 진달래가 무성하게 피어 있는 도봉산의 모습을 시적으로 형상화한 작품. 작가 정진규(鄭鎭圭)는 경기도 안성 출생으로, 호는 장산(長山)이다. 1964년 고려대학교 국어 국문학과를 졸업하였다. 1960년 시 「나팔 서정(抒情)」으로 『동아 일보』 신춘문예에 입선하여 문단에 등장하였다. 2009년 제2회 이상 시 문학상을 수상하였다. 산문시를 많이 쓰는 현대의 원로 시인이...
-
시인 정진규가 진달래가 무성하게 피어 있는 도봉산의 모습을 시적으로 형상화한 작품. 작가 정진규(鄭鎭圭)는 경기도 안성 출생으로, 호는 장산(長山)이다. 1964년 고려대학교 국어 국문학과를 졸업하였다. 1960년 시 「나팔 서정(抒情)」으로 『동아 일보』 신춘문예에 입선하여 문단에 등장하였다. 2009년 제2회 이상 시 문학상을 수상하였다. 산문시를 많이 쓰는 현대의 원로 시인이...
-
시인 안광태가 어느 여름날 도봉산에 오른 감회를 형상화한 자유시. 안광태[1945~ ]의 「도봉산」은 안광태의 시집 『초록 벌레』[시 문학사, 2011]에 수록되어 있는 ‘도봉산’ 시편의 하나로, 여름 아침 도봉산에 올라 만난 선인봉과 만장봉, 자운봉 등의 아름다움을 노래하고 있는 자유시이다. 「도봉산」은 전체가 1연 9행으로 구성되어 있는 자유시이다. 맑은 여름날 고요한 도봉산에...
-
산을 주로 그린 현대 화가 박고석이 도봉산을 소재로 1994년에 제작한 석판화. 박고석(朴古石)[1917~2002]은 한국의 산, 특히 설악산(雪嶽山)과 도봉산(道峰山)을 소재로 하여 많은 그림을 남겼다. 1950년대 중반경부터 북한산(北漢山)과 도봉산이 보이는 정릉(貞陵)에 터를 잡고 호젓한 산중 생활을 즐겼고, 1968년부터 본격적으로 산행을 시작하여, 1970년부터 ‘산’ 시...
-
시인 안광태가 어느 여름날 도봉산에 오른 감회를 형상화한 자유시. 안광태[1945~ ]의 「도봉산」은 안광태의 시집 『초록 벌레』[시 문학사, 2011]에 수록되어 있는 ‘도봉산’ 시편의 하나로, 여름 아침 도봉산에 올라 만난 선인봉과 만장봉, 자운봉 등의 아름다움을 노래하고 있는 자유시이다. 「도봉산」은 전체가 1연 9행으로 구성되어 있는 자유시이다. 맑은 여름날 고요한 도봉산에...
-
산을 주로 그린 화가 박고석이 도봉산의 봄 풍경을 소재로 1977년에 그린 유화. ‘산의 화가’로 불리는 박고석은 한국의 산, 특히 설악산(雪嶽山)과 도봉산(道峰山)을 소재로 사계절의 변화무쌍한 풍경을 즐겨 다루었다. 1950년대 중반경부터 북한산(北漢山)과 도봉산이 보이는 정릉(貞陵)에 터를 잡고 호젓한 산중 생활을 즐겼으며, 1968년부터 본격적으로 산행을 시작하여, 1970년...
-
시인 윤재철이 멀리 바라다보이는 도봉산의 한결같은 모습을 통해 인생에 대한 깨달음을 얻는 과정을 형상화한 자유시. 윤재철[1953~ ]의 「도봉산」은 시집 『그래 우리가 만난다면』[창작과 비평사, 1992]에 수록되어 있는 자유시로, 서울특별시 성북구 석관동에 살고 있는 한 화자가 멀리 바라다보이는 도봉산을 보면서 자신의 삶과 동일시하는 과정을 통해 삶의 깨달음을 얻는다는 내용을...
-
1651년 이민구가 도봉산가를 지어서 한오상에게 준 칠언 배율의 한시. 「도봉산가 기한오상(道峯山歌寄韓五相)」은 1651년(효종 2) 조선 후기의 문신 동주(東洲) 이민구(李敏求)[1589~1670]가 ‘도봉산가’를 지어서 당시에 이름난 효자였던 한오상(韓五相)[1606~1672]에게 주었던 한시이다. 「도봉산가 기한오상」은 이민구의 시문집 『동주집(東州集)』 권17에 수록되어 있...
-
1651년 이민구가 도봉산가를 지어서 한오상에게 준 칠언 배율의 한시. 「도봉산가 기한오상(道峯山歌寄韓五相)」은 1651년(효종 2) 조선 후기의 문신 동주(東洲) 이민구(李敏求)[1589~1670]가 ‘도봉산가’를 지어서 당시에 이름난 효자였던 한오상(韓五相)[1606~1672]에게 주었던 한시이다. 「도봉산가 기한오상」은 이민구의 시문집 『동주집(東州集)』 권17에 수록되어 있...
-
풍경화를 주로 그린 화가 천칠봉이 1970년대 중반에 도봉산 기슭을 그린 유화. 인적이 없는 고요한 계곡과 산을 주로 그린 풍경화가 천칠봉(千七峰)[1920~1984]은 1963년 구상 화가(具象畫家)들의 단체인 목우회 공모전에서 문교부 장관상을 수상하면서 본격적으로 화단 활동을 시작하였으며, 목우회의 중요 회원으로 초대 작가 및 심사 위원으로 활동하였고, 대한민국 미술 전람회 초...
-
1697년 봄 농암 김창협이 도봉 서원을 방문하는 길에 도봉산의 풍광을 읊은 오언 율시의 한시. 『농암집(農巖集)』 「연보」에 따르면 농암(農巖) 김창협(金昌協)은 47세가 되던 해인 1697년(숙종 23)에 동지경연사(同知經筵事)와 부제학을 사직하고 한강의 미음(渼陰)으로 돌아와, 그해 윤3월에는 여러 문생들과 도봉 서원(道峯書院)을 다녀왔다는 내용이 나온다. 김창협은...
-
조선 초기의 문인이자 학자인 서거정이 도봉산 영국사에서 읊은 칠언 율시의 한시. 서거정(徐居正)[1420~1488]은 조선 초기의 문신이자 학자로서 1444년(세종 26) 문과에 급제한 뒤 벼슬길에 나아가 집현전 박사, 대사헌, 대제학, 좌찬성 등을 역임하였다. 『경국대전(經國大典)』, 『동국통감(東國通鑑)』,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 등의 편찬에 참여하였고, 문집인 『사가집...
-
조선 후기 문신 박세당이 도봉산을 바라보며 지은 칠언 율시의 한시. 박세당(朴世堂)[1629~1703]은 조선 후기의 실학자로 1660년(현종 1) 문과에 장원 급제한 뒤 벼슬길에 나아가 예조 좌랑, 홍문관 교리, 홍문관 수찬 등을 역임하였으나 당시의 정치 현실에 실망하여 1668년(현종 9) 양주 석천동[현재의 도봉산 아래 다락원]에 은거하였다. 「도봉산을 바라보며 짓다」는 박세...
-
시인 박몽구가 초여름 도봉산에 올랐다가 내려오는 과정을 형상화한 자유시. 「도봉에 올라 1」은 시집 『자끄린느 뒤프레와 함께』[문학과 경계사, 2004]에 수록되어 있는 자유시로, 「도봉에 올라 2」와 함께 도봉산 산행을 다룬 연작시에 해당한다. 작가인 시인 박몽구[1956. 3. 15~ ]는 「도봉에 올라 1」에서 도봉산에 올랐다가 하산하기까지의 과정을 다락 능선, 포대 능선,...
-
시인 박몽구가 도봉산 산행을 통해 삶의 깨달음을 얻게 되었음을 밝히고 있는 자유시. 「도봉에 올라 2」는 「도봉에 올라 1」과 함께 도봉산 산행을 다루고 있는 자유시로, 시집 『자끄린느 뒤프레와 함께』[문학과 경계사, 2004]에 수록되어 있다. 시인 박몽구[1956. 3. 15~ ]는 「도봉에 올라 2」에서 거대한 자본의 논리에 억눌린 삶을 위로받기 위해 만만하게 오른 도봉산 산...
-
1792년 정조가 도봉산 만장봉 부근에 이르러 동행한 황승원에게 지어 준 칠언 절구의 한시. 「도봉로차증장주(道峯路次贈長洲)」는 1792년(정조 16) 9월 10일, 정조(正祖)[1752~1800]가 광릉(光陵)으로 가기 위해 흥인문(興仁門)을 나서 미아리와 도봉산 아래를 지날 때 당시 행차에 대사간으로 동행한 황승원(黃昇源)[1732~1807]에게 지어 준 한시이다. ‘장주(長洲...
-
1943년 이병주가 도봉산의 양홍근 별장을 찾아간 일을 소재로 쓴 수필. 「도봉정화」는 이병주(李炳注)[1921~1992]가 자신의 도봉산 관련 체험을 밝힌 수필이다. 도봉산에 있었던 양홍근의 별장을 소재로 대학 시절에 알게 된 양홍근과의 인연, 1943년의 암울했던 분위기와 청년들의 절망, 양홍근과 그 하인의 딸과의 비련의 이야기 등을 담고 있다. 양홍근의 별장에 대한 체험은 이...
-
조선 후기 문신 박세당이 도봉산을 바라보며 지은 칠언 율시의 한시. 박세당(朴世堂)[1629~1703]은 조선 후기의 실학자로 1660년(현종 1) 문과에 장원 급제한 뒤 벼슬길에 나아가 예조 좌랑, 홍문관 교리, 홍문관 수찬 등을 역임하였으나 당시의 정치 현실에 실망하여 1668년(현종 9) 양주 석천동[현재의 도봉산 아래 다락원]에 은거하였다. 「도봉산을 바라보며 짓다」는 박세...
-
조선 후기 박세당이 도봉산을 바라보며 지은 칠언 율시의 한시. 「망도봉작(望道峯作)」은 조선 후기의 문신 박세당(朴世堂)[1629~1703]이 도봉산의 경치를 바라보며 느낀 감흥을 적은 한시이다. 박세당은 그의 나이 19세 무렵 형 박세후(朴世垕)[1627~1651]와 자주 도봉 서원에 가서 독서하면서 도봉산과 인연을 맺게 되었다. 「망도봉작」은 박세당의 시문집 『서계집(西溪集)』...
-
서울특별시 도봉구 미아 1동에서 효자, 효부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머리카락을 팔아 시아버지를 봉양한 며느리」는 숙종대왕이 평민복을 입고 궁 밖의 민심을 살피기 위하여 순행하다가 아들은 노래 부르고, 머리카락을 팔아 여승의 모습이 된 며느리가 춤을 추어 시아비를 봉양하는 모습에 상을 내렸다는 효행담이자 효부담이다. 1980년 한국 정신문화 연구원에서 발행한 『한국 구비...
-
1981년 김영태가 시인 김수영을 추모하기 위하여 지은 시. 「멀리 있는 무덤」은 1981년 김영태(金榮泰)[1936~2007]가 시인 김수영(金洙映)[1921~1968]의 기일(忌日)에 도봉산에 있는 그의 무덤을 찾아가지 못하고 대신 그의 누이에게 시집을 보낸 일을 소재로 쓴 시이다. 화자는 김수영이 떠난 이후 자신의 삶을 회고하고 고백하는 형식으로 시상을 전개하고 있다. 「멀리...
-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 1동에서 무수옹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근심 걱정이 없는 노인」은 무수옹(無愁翁) 노인을 시험하려 했던 임금이 계책으로 구슬을 잃어버렸지만, 우연히 얻게 된 잉어로부터 잃어버린 구슬을 찾게 되어 다시 걱정 근심이 사라지게 되었다는 효행담이자 우행담이며, 지명 유래담이다. 도봉동 104번지 일대를 약 500여 년 전에는 수철동(水鐵洞), 일명 ‘무...
-
서울특별시 도봉구 방학동에서 용바위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방학동 용바위」는 현재 천주교 공동묘지 자리에 바위가 있었는데 용이 승천하는 바위라고도 하고, 용이 승천하다가 꼬리로 바위를 치고 가 용바위가 생겼다고 하는 암석 유래담이다. 1994년 서울특별시에서 간행한 『서울 민속 대관』6-구전 설화편의 64~65쪽에는 도봉구 방학동 주민 윤주열[남, 60]에게서 채록한...
-
수필가이자 소아과 의사인 오세윤이 수령 600여 년의 거목 방학동 은행나무를 보고 나무와 인간의 삶과 더불어 스승을 떠올리며 쓴 수필. 「방학동 은행나무」는 수필가이자 소아과 의사인 오세윤[1939~ ]의 수필집 『등받이』[수필과 비평사, 2011]에 수록되어 있는 작품이다. 도봉구 방학동에 위치하고 있는 서울특별시 지정 보호수 제1호인 수령 800여 년의 거목 방학동 은행나무를...
-
시인 박희진이 서울특별시 지정 보호수 제1호로 지정된 수령 600년의 방학동 은행나무를 보고 느낀 감정을 형상화한 자유시. 「방학동 은행나무」는 시인 박희진[1931. 12. 4~ ]이 수령 800년의 서울특별시 지정 보호수 제1호인 도봉구 방학동에 위치한 은행나무를 보고 느낀 감정을 시적으로 형상화한 자유시이다. 2011년에 발간된 시집 『까치와 시인』[뿌리 깊은 나무]에 수록되...
-
시인 김영탁이 방학동의 지명에 착안하여 쓴 자유시. 시 「방학동」은 김영탁[1960~ ]이 지은 작품으로 시집 『새소리에 몸이 절로 먼 산 보고 인사하네』[도서 출판 황금알, 2005]에 수록되어 있다. 「방학동」은 도봉구의 방학동이라는 지명의 유래, 그러니까 방학동 지역의 지형이 학이 알을 품고 있는 것과 같다 하여 이름 붙여졌다는 사실에 착안하여 쓰였다. 화자는 자신이 살고 있...
-
시인 황학주가 서울특별시 도봉구 방학동의 반지하방에서 생활하는 화자의 고달픈 삶을 형상화한 자유시. 황학주의 시 「방학동」은 2009년 『시인 세계』 가을호에 발표된 작품으로, 시집 『노랑 꼬리 연』[서정시학, 2010]에 수록되어 있는 자유시이다. 지면과 눈높이가 같은 도봉구 방학동의 반지하방에서 시를 쓰며 살아가는 화자의 고단한 삶과 슬픔을 담고 있다. 「방학동」은 전체 5연...
-
서울특별시 도봉구 방학동에서 동명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방학동의 유래」는 학(鶴)과 관련되어 방학동이라는 동명(洞名)이 생겨났다는 지명 유래담이자 풍수담이다. 방학동은 조선 시대에는 경기도 양주목 해등촌면 지역이었고, 1914년 노해면 방학리로 되었다. 1963년 서울시 성북구에 편입되면서 방학동으로 되었고, 1973년 도봉구 관할로 되었다. 1975년 도봉동에서 분...
-
서울특별시 도봉구 방학동에서 하마비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방학동의 하마비」는 도봉구 방학동에 있는 ‘하마들[下馬野]’과 ‘하마평(下馬坪)’ 등은 사람은 누구나 말에서 내려야 한다[大小人員皆下馬]는 하마비(下馬碑)에 관련하여 붙여진 지명 유래담이다. 1999년 서울특별시 도봉구에서 간행한 『도봉 구지』에 수록되어 있다. 도봉산 방학동에는 ‘하마들’이라는 지역이 있다....
-
1779년 이엽이 북한산과 도봉산을 유람하고 그 여정을 적은 기문. 「북한도봉산유기(北漢道峯山遊記)」는 1779년(정조 3) 4월 15일 농은(農隱) 이엽(李燁)[1729~1788]이 사간(司諫) 기언정(奇彦鼎)[1716~?], 정언(正言) 유광천(柳匡天)[1732~?]과 함께 3일 간의 일정으로 북한산과 도봉산을 돌아보고 나서 쓴 유기문(遊記文)이다. 「북한도봉산유기」는 이엽의...
-
서울특별시 도봉구 방학동에 묘가 있는 연산군의 일대기를 다룬 1974년의 TBC 일일 연속극. 「사모곡」은 지금의 KBS2 TV라 할 수 있는 TBC에서 방영한 드라마이며, 사모곡은 ‘어머니를 생각하면서 부르는 노래’라는 뜻이다. 신봉승이 극본을 썼고 김재형이 감독을 맡았다. 김세윤이 주인공인 연산군 역으로 등장하였으며, 당대의 톱 여배우 윤정희가 장녹수(張綠水) 역을 맡았다. 파...
-
서울특별시 도봉구 방학동에 묘가 있는 연산군의 일대기를 다룬 1978년의 TBC 일일 연속극. 지금의 KBS2 TV라 할 수 있는 TBC에서 방영한 드라마이며, 사모곡은 ‘어머니를 생각하면서 부르는 노래’라는 뜻으로 연산군의 모정을 그린다. 주인공 연산군 역을 배우 김동현이 열연하였다. 「사모곡」은 연산군의 파란만장한 일대기를 그린 1970년대의 대표적인 사극이다. 성종(成宗)의...
-
1668년 박세당이 도봉서원을 찾아가 조여길의 시에 차운하여 지은 한시. 「사예 조여길이 도봉서원에 있다는 소식을 도중에 듣고서 가서 유숙하고, 이어 그 시에 차운하다」는 박세당(朴世堂)[1629~1703]이 사예(司藝) 조여길(趙汝吉)이 도봉서원(道峯書院)에 있다는 소식을 도중에 듣고 가서 유숙하고, 이어 조여길의 시에 차운한 시이다. 도봉서원은 왜란으로 소실된 도봉산 영국사(寧...
-
1605년 가을, 김상헌이 경성 판관으로 부임할 때에 도봉산까지 전송 나온 김상복에게 써 준 칠언 절구의 한시. 「사제 중정이 나를 전송하기 위해 도봉에 이르렀기에 이별에 임해서 써서 주다」는 1605년(선조 38) 가을에 청음(淸陰) 김상헌(金尙憲)[1570~1652]이 함경도 경성 판관(鏡城判官)이 되어 그곳으로 부임하러 가기 위해 서울을 떠날 때, 그를 전송하러 온 아우 김상...
-
1605년 가을, 김상헌이 경성 판관으로 부임할 때에 도봉산까지 전송 나온 김상복에게 써 준 칠언 절구의 한시. 「사제 중정이 나를 전송하기 위해 도봉에 이르렀기에 이별에 임해서 써서 주다」는 1605년(선조 38) 가을에 청음(淸陰) 김상헌(金尙憲)[1570~1652]이 함경도 경성 판관(鏡城判官)이 되어 그곳으로 부임하러 가기 위해 서울을 떠날 때, 그를 전송하러 온 아우 김상...
-
1673년 우암 송시열의 「제도봉서원」을 차운하여 농암 김창협이 지은 칠언 절구의 한시. 도봉서원(道峯書院)은 1573년(선조 6년)에 조광조(趙光祖)를 기리기 위해서, 조광조가 자주 찾았던 도봉산 자락의 영국사(寧國寺) 터에 설립한 서원으로, 설립과 동시에 사액(賜額)되었다. 우암(尤庵) 송시열(宋時烈)의 경우 도봉 서원에 머물며 강학을 한 인연으로 1696년(숙종 22)에 병향...
-
서울특별시 도봉구 미아 1동에서 효자, 효부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머리카락을 팔아 시아버지를 봉양한 며느리」는 숙종대왕이 평민복을 입고 궁 밖의 민심을 살피기 위하여 순행하다가 아들은 노래 부르고, 머리카락을 팔아 여승의 모습이 된 며느리가 춤을 추어 시아비를 봉양하는 모습에 상을 내렸다는 효행담이자 효부담이다. 1980년 한국 정신문화 연구원에서 발행한 『한국 구비...
-
시인 안광태가 서울특별시 도봉구 방학동에 있는 연산군의 묘를 보고 노래한 자유시. 「서울투어 연산군 묘」는 안광태[1945~ ]의 시집 『초록 벌레』[시 문학사, 2011]에 수록되어 있는 작품으로 ‘서울투어’ 연작 중의 하나이다. 어느 늦은 가을날 도봉구 방학동에 있는 연산군(燕山君)[조선 제10대 국왕, 1476. 11. 7~1506. 11. 6, 재위 1495~1506]의 묘...
-
조선 후기의 문신 권상하가 도봉산에 지은 윤봉구의 정자에 ‘소광정’이라는 이름을 붙여 주고 그 내력을 서술한 기문. 「소광정기(昭曠亭記)」는 1713년(숙종 39) 이후에 조선 후기의 문신 한수재(寒水齋) 권상하(權尙夏)[1641~1721]가 도봉 서원 근처의 무우대(舞雩臺)와 영귀문(詠歸門), 그리고 송준길(宋浚吉)[1606~1672]과 송시열(宋時烈)[1607~1689]이 바위...
-
1614년 가을 무렵 백사 이항복이 도봉서원에 묵으며 지은 칠언 절구의 한시. 도봉서원(道峯書院)은 1573년(선조 6년)에 조광조(趙光祖)를 기리기 위해서 조광조가 자주 찾았던 도봉산 자락의 영국사(寧國寺) 터에 설립한 서원으로, 설립과 동시에 사액(賜額)되었다. 뒤에 우암(尤庵) 송시열(宋時烈)이 도봉 서원에 머물며 강학을 한 인연으로 송시열도 추가로 배향되었다. 백사(白沙)...
-
1696년 송환기가 송시열이 도봉 서원에 배향된 경위를 기록한 글. 「숭정 69년 병자 1월 도봉 서원에 병향되었다」는 1696년(숙종 22)에 송시열의 5대손 송환기(宋煥箕)[1728~1807]가 송시열(宋時烈)[1607~1689]이 도봉 서원에 배향된 경위에 대해 정리한 연보(年譜)이다. 이 글의 원제는 「숭정육십구년병자 정월 병향우도봉서원(崇禎六十九年丙子 正月 並享于道峯書院)...
-
1696년 송환기가 송시열이 도봉 서원에 배향된 경위를 기록한 글. 「숭정 69년 병자 1월 도봉 서원에 병향되었다」는 1696년(숙종 22)에 송시열의 5대손 송환기(宋煥箕)[1728~1807]가 송시열(宋時烈)[1607~1689]이 도봉 서원에 배향된 경위에 대해 정리한 연보(年譜)이다. 이 글의 원제는 「숭정육십구년병자 정월 병향우도봉서원(崇禎六十九年丙子 正月 並享于道峯書院)...
-
1961년 김수영이 도봉동 주민으로서의 체험을 반영하여 5·16 쿠데타 직후에 쓴 9편의 연작시. 「신귀거래」는 5·16 쿠데타로 4·19 혁명의 이상이 좌절된 후 1961년 김수영[1921~1968]이 도봉구 도봉동에 거주하고 있을 때의 체험을 반영하여 쓴 「여편네의 방에 와서」, 「격문(檄文)」, 「등나무」, 「술과 어린 고양이」, 「모르지?」, 「복중(伏中)」, 「누이야 장하...
-
시인 고형렬이 도봉산의 아름다운 모습을 노래한 자유시. 고형렬[1954~ ]의 「신이 있었음직한 도봉」은 시집 『사진리 대설』[창작과 비평사, 1993]에 수록되어 있는 작품이다. 고형렬은 도봉산을 대할 때의 느낌을 시로 형상화하고 있는데, 도봉산을 ‘너’로 의인화하여 도봉산이 가진 아름다움과 신성한 자태를 형상화하고 있다. 「신이 있었음직한 도봉」은 전체가 1연으로, 총 30행으...
-
서울특별시 도봉구 쌍문동에서 효자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쌍문동 효자 이야기」는 250년 전에 남궁지(南宮遲)와 그의 부인 하동 정씨(河東鄭氏), 그리고 그들의 아들 남궁조(南宮鋽)의 효행으로 인하여 이 마을에 두 개의 정려문을 세우게 되고, 자연스럽게 이것이 쌍문동(雙門洞)이라는 동명(洞名)으로 불리게 되었다는 효행담이자 지명 유래담이다. 이를 「남궁지 이야기」라고도...
-
서울특별시 도봉구 쌍문동에서 동명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쌍문동의 유래」는 현재 쌍문동에 살던 계성(鷄聲) 부부가 세상을 떠나자 그의 아들이 묘 앞에 움집을 짓고 정성껏 시묘살이를 하다가 죽었는데, 마을 사람들이 그의 효성을 지극히 여겨 효자문(孝子門)을 두 개 세운 데서 ‘쌍문(雙門)’이라는 동명(洞名)이 생겨났다는 등 3가지 이야기에 대한 지명 유래담이다. 1999...
-
1652년부터 1655년 사이에 박세당이 초봄의 도봉산을 바라보며 지은 칠언 율시의 한시. 「악록의 촌거에 가면서 초봄에 빗속에서 도봉산을 바라보다」는 1652년(효종 3)부터 1655년(효종 6) 사이에 조선 후기의 학자이자 문신인 서계(西溪) 박세당(朴世堂)[1629~1703]이 악록(岳麓)의 촌거(村居)에 가면서 초봄에 빗속에서 도봉산(道峯山)을 바라보다가 문득 도봉산의 봄...
-
조선 후기 화가 정황이 북한산과 도봉산의 일부를 배경으로 양주에서 송추로 넘어가는 길목의 경관을 재현한 진경 산수화. 정황(鄭榥)[1735~?]은 18세기 중엽에서 19세기 초에 활동하였던 화가로서 본관은 광주(光州), 호는 손암(巽庵)이다. 조선 후기의 대표적인 선비 화가 겸재(謙齋) 정선(鄭敾)[1676~1759]의 손자로 산수, 인물 등을 잘 그렸다고 전해지며, 가업(家業)을...
-
조선 초기 서거정이 도봉산의 덕해원에서 읊은 7언 율시의 한시. 서거정(徐居正)[1420~1488]은 조선 초기의 문신이자 학자로서 1444년(세종 26) 문과에 급제한 뒤 벼슬길에 나아가 집현전 박사, 대사헌, 대제학, 좌찬성 등을 역임하였다. 『경국대전(經國大典)』, 『동국통감(東國通鑑)』,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 등의 편찬에 참여하였고, 문집인 『사가집(四佳集)』을 비...
-
조선 전기 서거정이 양주의 누원에서 강희맹의 운에 차하여 읊은 칠언 절구의 한시. 서거정(徐居正)[1420~1488]은 조선 초기의 문신이자 학자로서 1444년(세종 26) 문과에 급제한 뒤 벼슬길에 나아가 집현전 박사, 대사헌, 대제학, 좌찬성 등을 역임하였다. 『경국대전(經國大典)』, 『동국통감(東國通鑑)』,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 등의 편찬에 참여하였고, 문집인 『사가...
-
조선 전기 서거정이 양주의 누원에서 강희맹의 운에 차하여 읊은 칠언 절구의 한시. 서거정(徐居正)[1420~1488]은 조선 초기의 문신이자 학자로서 1444년(세종 26) 문과에 급제한 뒤 벼슬길에 나아가 집현전 박사, 대사헌, 대제학, 좌찬성 등을 역임하였다. 『경국대전(經國大典)』, 『동국통감(東國通鑑)』,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 등의 편찬에 참여하였고, 문집인 『사가...
-
조선 초기 서거정이 도봉산의 덕해원에서 읊은 7언 율시의 한시. 서거정(徐居正)[1420~1488]은 조선 초기의 문신이자 학자로서 1444년(세종 26) 문과에 급제한 뒤 벼슬길에 나아가 집현전 박사, 대사헌, 대제학, 좌찬성 등을 역임하였다. 『경국대전(經國大典)』, 『동국통감(東國通鑑)』,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 등의 편찬에 참여하였고, 문집인 『사가집(四佳集)』을 비...
-
서울특별시 도봉구 쌍문동에 살았던 전태일 열사의 어머니 이소선의 삶을 다룬 다큐멘터리 영화. 이소선은 전태일 열사의 마지막 유언에 따라 아들의 삶을 대신해 이 땅의 노동자들을 위해 40년을 바쳤다. 1000만 노동자의 어머니로 불릴 정도로 노동 운동의 현장에서 함께하였으며, 1986년 민주화 운동에서 희생된 이들의 유족들을 모아 전국 민주화 운동 유가족 협의회를 창립하여 초대 회장...
-
조선 중기 유희경이 도봉산에 있는 영국동을 소재로 지은 칠언 절구의 한시. 「영국동(寧國洞)」은 조선 중기의 문신 촌은(村隱) 유희경(劉希慶)[1545~1636]이 도봉산에 위치하고 있는 영국동 골짜기에서 느낀 감흥을 표현한 한시이다. 유희경은 여러모로 도봉산과 인연이 깊은 인물이다. 1573년에는 양주 목사(楊州牧使)로 부임한 남언경(南彦經)을 도와 조광조(趙光祖)[1482~15...
-
조선 전기 김수온이 도봉산에 있던 영국사를 소재로 하여 지은 칠언 율시의 한시. 「영국사(寧國寺)」는 조선 전기의 문신 식우(拭疣) 김수온(金守溫)[1410~1481]이 당시 영국사의 분위기와 모습 등을 보고 느낀 감회를 표현한 한시이다. 정확한 창작 시기는 알기 어려우나 시의 편차로 보아 김수온의 나이 50대 후반 내지 60대 초반에 지은 것으로 보인다. 1573년에 남언경(南彦...
-
서울특별시 도봉구 방학동에 묘가 있는 연산군 및 환관 김처선을 다룬 SBS의 드라마. 김재형과 손재성이 연출하였고 유동윤이 극본을 썼으며 올리브 나인이 제작하였다. 주인공 김처선 역을 오만석, 연산군 역을 정태우, 연산군의 어머니이며 김처선이 사랑하였던 여인인 윤소화 역을 구혜선이 연기하였다. 2007년 8월 27일부터 2008년 4월 1일까지 SBS에서 총 63부작으로 방영되었다...
-
서울특별시 도봉구 방학동에 묘가 있는 연산군을 다룬 KBS의 드라마. 조선 건국을 그린 「용의 눈물」[1998]에 이어지는 KBS1 TV의 사극 시리즈로 1998년 6월 6일부터 2000년 3월 26일까지 방영되었다. 김종선이 연출하였고 정하연이 극본을 썼다. 세조 역을 임동진, 단종 역을 정태우, 인수 대비 역을 채시라, 연산군 역을 안재모, 한명회 역을 최종원이 연기하였다. 2...
-
서울특별시 도봉구 방학동에 묘가 있는 연산군과 시대의 비극을 조선 시대 광대를 주인공으로 하여 그린 영화. 이준익이 연출과 극본을 맡았고 이글 픽쳐스와 씨네 월드가 제작하였다. 2005년 12월 29일 개봉하여 74일 만에 전국 관객 1200만 명 고지를 넘어서며 개봉 당시 한국 영화 사상 최다 관객을 동원한 기록을 세웠다. 2006년 11월 13일과 2007년 2월 17일에 TV...
-
1796년과 1797년, 김노겸이 두 차례에 걸쳐 도봉산과 수락산을 유람하고 쓴 기문. 「유도봉기(遊道峯記)」는 상편(上篇)과 하편(下篇)으로 되어 있는데, 성암(性菴) 김노겸(金魯謙)[1781~1853]이 나이 16세가 되던 1796년(정조 20)과 그 이듬해인 1797년(정조 21)에 각각 독서(讀書)를 위하여 도봉 서원을 찾았다가 도봉산과 수락산을 유람한 내력을 기록한 글이다...
-
1800년 4월 신명현이 도봉산을 유람하고 나서 지은 기문. 「유도봉기(遊道峯記)」는 1800년(순조 즉위) 4월에 신명현(申命顯)[1776~1820]이 도봉산(道峯山)을 유람하고 느낀 감흥을 적은 기문(記文)이다. 「유도봉기」는 신명현의 시문집 『평호유고(萍湖遺稿)』 권 하(下)에 수록되어 있다. 신명현의 자는 유목(幼穆)이고, 본관은 평산(平山)이다. 그의 행적은 자세히 알 수...
-
1819년 홍직필이 오희상과 함께 도봉산을 유람하고 나서 쓴 기문. 「유도봉기(遊道峯記)」는 조선 후기의 문신 매산(梅山) 홍직필(洪直弼)[1776~1852]이 종암(鐘巖)에 있던 오희상(吳熙常)[1763~1833]의 별업(別業)을 여러 차례 찾아가 함께 도봉을 유람하자고 약속한 적이 있는데, 마침내 홍직필의 나이 44세 되던 1819년(순조 19) 9월 10일에 오희상과 함께 도...
-
1615년 이정구가 이항복 등과 함께 도봉 서원을 방문하고 나서 쓴 기문. 「유도봉서원기(遊道峯書院記)」는 1582년(선조 15)에 수몽(守夢) 정엽(鄭曄)[1563~1625]과 함께 도봉 서원에 머물면서 독서한 적이 있었던 월사(月沙) 이정구(李廷龜)[1564~1635]가 1615년(광해군 7)에 백사(白沙) 이항복(李恒福)[1556~1618] 등과 함께 다시 도봉 서원을 유람하...
-
1603년 9월 15일부터 이틀간 이정구가 신응구·박호 등과 삼각산을 노닐고 와서 쓴 기문. 「유삼각산기(遊三角山記)」는 1603년 8월 금강산에 다녀온 월사(月沙) 이정구(李廷龜)[1564~1635]가 산수에 대한 그리움을 안고 있다가 문득 삼각산 중흥사(重興寺)의 승려 성민(性敏)의 편지를 받고 삼각산 유람을 기획하여 1603년 9월 15일부터 16일까지 신응구(申應榘)[155...
-
서울특별시 도봉구 쌍문동에 살았던 전태일 열사의 어머니 이소선의 노동 현장 방문 행적을 기록한 다큐멘터리. 전태일의 죽음은 당시 산업 사회로의 도약과 민주 사회로의 변화를 추구하는 우리 사회의 열망과 맞물려 사회적으로 큰 파장을 불러 일으켰다. 특히 무반응으로 일관하던 당시의 정부와 기업인과 관료들에게 큰 경각심을 불러일으켰다. 또한 1970년대 이후의 노동 운동에 발화의 역할을...
-
1697년 봄 농암 김창협이 도봉 서원을 방문하는 길에 도봉산의 풍광을 읊은 오언 율시의 한시. 『농암집(農巖集)』 「연보」에 따르면 농암(農巖) 김창협(金昌協)은 47세가 되던 해인 1697년(숙종 23)에 동지경연사(同知經筵事)와 부제학을 사직하고 한강의 미음(渼陰)으로 돌아와, 그해 윤3월에는 여러 문생들과 도봉 서원(道峯書院)을 다녀왔다는 내용이 나온다. 김창협은...
-
서울특별시 도봉구 방학동에 묘가 있는 연산군의 인간적인 고뇌와 장녹수의 사랑과 열정을 다룬 KBS2 TV 드라마. 「장녹수」는 1995년 1월 2일부터 1995년 6월 27일까지 방영되었다. 이영국이 연출하였고 정하연이 극본을 썼다. 장녹수 역을 박지영, 연산군 역을 유동근, 연산군의 할머니인 소혜 왕후(昭惠王后) 역을 반효정, 연산군의 폐비 신씨 역을 최선아가 연기하였다. 조선...
-
1652년부터 1655년 사이에 박세당이 초봄의 도봉산을 바라보며 지은 칠언 율시의 한시. 「악록의 촌거에 가면서 초봄에 빗속에서 도봉산을 바라보다」는 1652년(효종 3)부터 1655년(효종 6) 사이에 조선 후기의 학자이자 문신인 서계(西溪) 박세당(朴世堂)[1629~1703]이 악록(岳麓)의 촌거(村居)에 가면서 초봄에 빗속에서 도봉산(道峯山)을 바라보다가 문득 도봉산의 봄...
-
서울특별시 도봉구 쌍문동에서 살다가 노동 환경의 개선을 위하여 분신자살한 노동자 전태일의 생애를 다룬 연극. 2000년 11월 9일 한국 교회 100주년 기념관에서 초연되었으며, 2회의 서울 공연과 9회의 지방 순회공연을 하였다. 극단 한강이 제작하였으며 장소익이 연출하였고 최용진과 송연수 등이 출연하였다. 「전태일」은 총 11명의 전태일을 등장시켜 전태일의 삶을 다각적으로 들여다...
-
1656년 무렵 박세채가 조광조의 사적을 모아 편찬한 연보. 「정암 조선생 연보(靜庵趙先生年譜)」는 1656년(효종 7) 무렵에 남계(南溪) 박세채(朴世采)[1631~1695]가 도봉 서원에서 향사되는 인물 정암(靜庵) 조광조(趙光祖)[1482~1519]의 생애 및 그에 얽힌 사건들을 연대순으로 간략히 기록한 연보이다. 「정암 조선생 연보」는 1656년의 사실까지만 적고 있어 박세...
-
조선 중기 이황이 조광조의 생애를 구체적으로 기록한 행장. 「정암 조선생 행장(靜庵趙先生行狀)」은 퇴계(退溪) 이황(李滉)[1501~1570]이 도봉 서원에서 향사되는 인물 정암(靜庵) 조광조(趙光祖)[1482~1519]의 평생 살아온 일을 구체적으로 적은 글이다. 「정암 조선생 행장」에 의하면, 홍인우(洪仁祐)[1515~1554]가 먼저 행장을 지어 퇴계에게 보여 주며 퇴계에게도...
-
1673년 무렵 송시열이 도봉 서원을 소재로 지은 칠언 절구의 한시. 「도봉서원에 쓰다[題道峯書院]」는 1673년(현종 14) 무렵 우암(尤庵) 송시열(宋時烈)[1607~1689]이 도봉서원의 경관과 수학하는 선비들의 모습을 보고 느낀 감회를 적은 한시이다. 「도봉 서원에 쓰다」는 송시열의 시문집 『송자대전(宋子大典)』 권2에 수록되어 있다. 『송자대전』의 시들은 먼저 시체별(詩體...
-
서울특별시 도봉구 방학동에 묘가 있는 연산군을 비롯하여 조선 태조부터 고종에 이르기까지의 주요 사건을 왕대별로 다룬 MBC의 드라마. 이병훈이 연출[제6화, 제7화 제외]하고 신봉승이 극본을 썼다. 1983년부터 1990년까지 총 11화가 제작되어 방영되었다. 제1화는 1983년, 제2화는 1983년부터 1984년, 제3화는 1984년 1월 9일부터 1985년 2월 26일, 제4화...
-
1616년 중구일 무렵에 이항복이 도봉 서원에 갔다가 지은 오언 절구의 한시. 「중구우유영국서원 무주무붕 행낭유건률건다 작률자다이위기 심시요락(重九偶遊寧國書院無酒無朋行囊唯乾栗建茶嚼栗煑茶以慰飢甚是寥落)[중구일에 우연히 영국 서원에서 노니는데, 술도 없고 친구도 없고 행낭 속에 오직 말린 밤과 건다(建茶)만이 있으므로, 밤을 씹어 먹고 차를 달여 마시어 주림을 달래노라니 매우 쓸쓸하였...
-
1616년 중구일 무렵에 이항복이 도봉 서원에 갔다가 지은 오언 절구의 한시. 「중구우유영국서원 무주무붕 행낭유건률건다 작률자다이위기 심시요락(重九偶遊寧國書院無酒無朋行囊唯乾栗建茶嚼栗煑茶以慰飢甚是寥落)[중구일에 우연히 영국 서원에서 노니는데, 술도 없고 친구도 없고 행낭 속에 오직 말린 밤과 건다(建茶)만이 있으므로, 밤을 씹어 먹고 차를 달여 마시어 주림을 달래노라니 매우 쓸쓸하였...
-
1669년 권상하가 이광하와 함께 도봉산을 노닐 때 지은 오언 율시의 한시. 「중춘에 이계이 광하와 함께 도봉산에서 놀다」는 1669년(현종 10)에 조선 후기의 문신 한수재(寒水齋) 권상하(權尙夏)[1641~1721]가 계이(啓以) 이광하(李光夏)[1643~1701]와 함께 도봉산(道峯山)을 유람할 때에 감흥을 적은 한시이다. 원제(原題) 옆에 ‘기유(己酉)’라는 간지(干支)가...
-
1669년 권상하가 이광하와 함께 도봉산을 노닐 때 지은 오언 율시의 한시. 「중춘에 이계이 광하와 함께 도봉산에서 놀다」는 1669년(현종 10)에 조선 후기의 문신 한수재(寒水齋) 권상하(權尙夏)[1641~1721]가 계이(啓以) 이광하(李光夏)[1643~1701]와 함께 도봉산(道峯山)을 유람할 때에 감흥을 적은 한시이다. 원제(原題) 옆에 ‘기유(己酉)’라는 간지(干支)가...
-
조선 시대 유희경이 도봉산 영국동의 거처를 두고 지은 시에 차운하여 지은 칠언 절구의 한시. 「차영국동유거운(次寧國洞幽居韻)」은 도봉산과 인연이 깊은 촌은(村隱) 유희경(劉希慶)[1545~1636]이 도봉산에서의 자신의 일상을 담담하게 읊고 있는 한시이다. 「차영국동유거운」은 유희경의 시문집 『촌은집(村隱集)』 권1에 수록되어 있다. 유희경의 자는 응길(應吉), 호는 촌은, 본관은...
-
조선 전기의 문인 간이 최립이 도봉서원을 두고 읊은 칠언 율시의 한시. 도봉서원(道峯書院)은 1573년(선조 6년)에 조광조(趙光祖)를 기리기 위해서 조광조가 자주 찾았던 도봉산 자락의 영국사(寧國寺) 터에 설립한 서원으로, 설립과 동시에 사액(賜額)되었다. 뒤에 우암(尤庵) 송시열(宋時烈)이 도봉서원에 머물며 강학을 한 인연으로 송시열도 추가로 배향되었다. 1759년(영조 35)...
-
조선 전기의 문인 간이 최립이 도봉서원을 두고 읊은 칠언 율시의 한시. 도봉서원(道峯書院)은 1573년(선조 6년)에 조광조(趙光祖)를 기리기 위해서 조광조가 자주 찾았던 도봉산 자락의 영국사(寧國寺) 터에 설립한 서원으로, 설립과 동시에 사액(賜額)되었다. 뒤에 우암(尤庵) 송시열(宋時烈)이 도봉서원에 머물며 강학을 한 인연으로 송시열도 추가로 배향되었다. 1759년(영조 35)...
-
시인 정종목이 서울특별시 도봉구 창동역을 날아다니는 비둘기들의 모습을 관찰하여 노래한 자유시. 「창동 환승역의 비둘기」는 시인 정종목[1961. 5. 28~ ]이 창작한 자유시로, 1995년에 『창작과 비평』 봄호를 통해 발표되었다. 「창동 환승역의 비둘기」에서 작가는 지하철 1호선과 지하철 4호선을 환승할 수 있는 창동역을 배경으로 하여 전철과 철길, 보도 등을 누비기도 하고 전...
-
시인 차창룡이 서울특별시 도봉구 창동역 역사에 서식하고 있는 비둘기를 관찰한 내용을 형상화한 자유시. 「창동역 비둘기」는 시인 차창룡[1966~ ]이 지은 작품으로, 서울특별시 도봉구 창동에 위치한 서울 지하철 1호선 창동역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시인은 「창동역 비둘기」에서 창동역의 역사 안을 활보하고, 때로는 역사에서 죽음을 맞이하기도 하는 비둘기의 모습을 관찰하여 이를 시적으...
-
시인 정철훈이 서울특별시 도봉구 창동에 있는 창동역을 배경으로 하여 쓴 자유시. 「창동역에서」는 시인 정철훈[1959~ ]이 창작한 작품으로, 시집 『내 졸음에도 사랑은 떠도느냐』[민음사, 2002]에 수록되어 있는 자유시이다. 서울특별시 도봉구 창동에 위치한 서울 지하철 1호선 창동역을 배경으로 하고 있는 「창동역에서」는 창동역 아래에 즐비해 있는 포장마차들 중, 수족관이 딸린...
-
서울특별시 도봉구 창동에서 동명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창동의 유래」는 조선 시대 이곳에 양곡 창고(糧穀倉庫)가 있었다는 데에서 창동(倉洞)이라는 동명(洞名)이 생겨났다는 지명 유래담이다. 1999년 서울특별시 도봉구에서 간행한 『도봉 구지』에 창동의 유래와 관련된 이야기가 채록되어 있다. 창동 동명의 유래는 조선 시대 이곳에 양곡 창고가 있었기 때문에 붙여진 것이다....
-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동 천축사에 소장되어 있는 조선 후기 비로자나 삼신 괘불 그림. 「천축사 비로자나 삼신 괘불도(天竺寺毘盧舍那三神掛佛圖)」는 비로자나불·석가모니불·노사나불 세 명의 여래를 한 폭에 그린 그림으로 법당에 봉안되었던 것이 아니라 사찰의 행사 때에 야외에 걸어둔 괘불이다. 하운당(河雲堂) 유경(有鏡)과 창엽(瑲曄), 총지, 봉조(奉祚), 총륜이 1858년 공동으로 제...
-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동 천축사에 소장되어 있는 개항기의 비로자나 삼신불화. 「천축사 비로나자 삼신불도(天竺寺毘盧舍那三神佛圖)」는 1891년 경선당(慶船堂) 응석(應釋), 환감(幻鑑), 혜조(慧照), 경림(璟林), 탄인(呑仁), 창오(昌悟) 등 여러 명의 화승이 공동으로 그린 그림이다. 이들 중 수화승은 편수(片手) 역할을 맡았던 응석이었으며, 「천축사 비로나자 삼신불도」 외에 천...
-
백사 이항복이 1614년 가을 노원에 우거할 당시 도봉산을 찾아 노닐며 지은 오언 율시의 한시. 백사(白沙) 이항복(李恒福)[1556~1618]은 1613년(광해군 5) 인목 대비(仁穆大妃)[1584~1632]의 아버지인 김제남(金悌男)이 영창 대군(永昌大君)[1606~1614]을 옹립하려 하였다는 무고로 사사된 김제남 옥사 사건과 그 여파로 일기 시작한 폐모론, 영창 대군 사사...
-
1615년 무렵 이항복이 도봉산의 가을 경치를 소재로 지은 오언 율시의 한시. 「추일유도봉산(秋日遊道峯山)」은 백사(白沙) 이항복(李恒福)[1556~1618]이 도봉산에 들렀다가 가을날 도봉산의 그윽한 경개와 자신의 맑은 심회를 읊은 한시이다. 「추일유도봉산」은 이항복이 60세 무렵에 동교(東郊), 즉 노원(蘆原)에 기거할 즈음인 1615년(광해군 7)에 지은 것이다. 「추일유도봉...
-
1607년 김상헌이 축석령에서 도봉산을 바라보고 지은 칠언 절구의 한시. 「축석령에서 도봉을 바라다보다」는 1607년(선조 40) 청음(淸陰) 김상헌(金尙憲)[1570~1652]이 포천의 축석령(祝石嶺)에서 도봉산의 경관을 바라보고 느낀 감회를 적은 한시이다. 축석령은 경기도 포천과 양주 사이에 있는 고개 이름이다. 「축석령에서 도봉을 바라다보다」의 바로 앞에 수록된 시가 「북로기...
-
1607년 김상헌이 축석령에서 도봉산을 바라보고 지은 칠언 절구의 한시. 「축석령에서 도봉을 바라다보다」는 1607년(선조 40) 청음(淸陰) 김상헌(金尙憲)[1570~1652]이 포천의 축석령(祝石嶺)에서 도봉산의 경관을 바라보고 느낀 감회를 적은 한시이다. 축석령은 경기도 포천과 양주 사이에 있는 고개 이름이다. 「축석령에서 도봉을 바라다보다」의 바로 앞에 수록된 시가 「북로기...
-
화가 고희동이 1954년 봄에 혜화문 밖에서 북한산과 도봉산 연봉을 보고 그린 그림. 「춘산람취도(春山嵐翠圖)」는 한국 최초의 서양화가이면서 1930년대에 한국화로 전향한 고희동(高羲東)[1886~1965]이 69세 때인 1954년 음력 4월 4일경 혜화문[동소문] 밖에 산책을 나갔다가 봄날 신록으로 눈부신 북한산(北漢山)과 도봉산(道峰山) 연봉(連峯)을 보고 그 청량하고 신령스러...
-
선비 화가 지우재 정수영의 작품으로 1796년에서 1797년 즈음 친구들과 도봉산을 포함한 여러 곳을 여행하면서 본 풍경을 직접 그리고, 이에 관해서 기록한 진경 산수화. 「한·임강명승도권(漢·臨江名勝圖卷)」은 정수영(鄭遂榮)[1743~1831]이 한강 일대와 경기도, 강원도, 황해도 등지를 친구들과 여행하면서 본 경치를 직접 그리고, 이에 대해서 기록한 두루마리 그림이다. 작품에...
-
서울특별시 도봉구 방학동에 묘가 있는 연산군과 조선 전기 단종부터 성종까지의 시기를 살아간 한명회의 삶을 그린 KBS1 드라마. 「한명회」는 1994년 1월 3일부터 1994년 12월 27일까지 KBS1에서 방영되었다. 김재형이 연출을 맡았고 신봉승이 극본을 썼으며, 원작은 신봉승의 소설 『한명회』[1992]이다. 한명회 역을 이덕화, 한명회의 사위인 성종 역을 박진성, 인수 대비...
-
현재의 서울특별시 도봉구 지역을 포함하는 개항기의 양주 지도. 『1872년 지방 지도』는 개항기에 제작된 필사본 회화식 지도책으로 국가의 주도로 제작된 전국 단위의 군현 지도이다. 현재 규장각 한국학 연구원에 소장되어 있다. 19세기로 넘어 오면서 조선 사회는 세도 정치로 인한 정치적 혼란과 더불어 삼정(三政)의 문란으로 민생의 안정이 크게 위협 받았으며, 서구 열강과 접촉하는 경...
-
도봉구를 포함하는 양주목이 수록된 개항기의 경기 지역 읍지. 「양주목 읍지(楊州牧邑誌)」는 경기도 소관 각 군현의 읍지를 묶은 통지(統誌)인 『경기 읍지(京畿邑誌)』에 수록되어 있다. 『경기 읍지』에 수록된 다른 읍지와 마찬가지로 「양주목 읍지」 또한 말미에 당시 목사의 착성(着姓)[행목사 김(行牧使 金)]이 있다. 이것으로 보아 양주목에서 읍지를 편찬한 것으로 보인다. 읍지는 인...
-
도봉구를 포함하는 양주목이 수록된 조선 후기의 지리지. 『경기지(京畿誌)』는 경기도 소관 각 읍에서 작성한 읍지 34부를 모아 4책으로 묶은 통지(統誌)이다. 수록된 일부 읍지에 ‘도광(道光) 22년’ 또는 ‘도광 23년’으로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미루어 1842년(헌종 8)~1843년 사이에 편찬한 것으로 추정된다. 『경기지』에 포함된 각 군 읍지의 항목 차이, 동일 항목에서의...
-
현재의 서울특별시 도봉구 지역을 포함하는 양주목이 표시된 『광여도』의 경기도 지도. 『광여도(廣輿圖)』는 19세기 초에 제작된 회화식 전국 군현 지도로 각 도별 지도 및 군현별 지도, 군사 요충지 지도가 수록되어 있다. 『광여도(廣輿圖)』「경기도(京畿圖)」는 서울과 경기도의 지도로 경기도 소관 군현과 주요 산천, 도로 등이 표시된 지도이다. 현재 규장각 한국학 연구원에 소장되어 있...
-
1912년 조선 총독부에서 당시 도봉구 지역을 포함한 구 한국 지방 행정 구역의 명칭을 조사하여 간행한 책. 조선을 강점한 이후 일제는 조선의 지방 행정 제도를 파악하여 통치의 자료로 이용하고, 이후 지방 행정 제도를 개편하기 위해서 조선 전역의 행정 구역을 동리(洞里) 단위까지 조사하여 책으로 간행하였다. 규격은 가로 15㎝, 세로 22㎝이고, 분량은 1,096쪽인 단행본이다....
-
연산군의 생모인 윤씨를 복위시키고자 일으킨 갑자사화를 1935년 박종화가 작품화한 역사 소설. 『금삼의 피』는 월탄(月灘) 박종화(朴鍾和)[1901~1981]가 연산군 시대를 배경으로 하여 연산군(燕山君)[1476~1506]의 생모인 윤씨를 복위시키고자 일으킨 갑자사화를 작품화하여 1935년 『매일 신보』에 연재한 장편 역사 소설이다. 박종화는 『금삼의 피』에서 연산군의 상식을 초...
-
1981년 시인 최하림이 김수영의 출생과 유년 시절부터 서울특별시 도봉구 선영에 안장되기까지 전기적 사실을 밝혀 작품 세계를 해석한 평전. 김수영은 해방 이후 한국 시사에서 가장 주목할 만한 시인 중 한 명이다. 시인 최하림은 선배 시인인 김수영의 사상과 시적 업적을 기리는 한편, 김수영의 주요 명제인 자유가 어떤 경험과 시대적 특성 속에서 일어나 성장하고 발전하였는지 보여 주려고...
-
1988년 전태일 기념 사업회에서 펴낸 전태일의 일기와 수기 및 편지 등을 모은 수필집. 전태일의 유언을 제목으로 한 『내 죽음을 헛되이 말라』는 전태일의 수기와 일기, 편지를 모은 전태일 수필집이다. 이를 『전태일 전집』이라고도 한다. 어린 시절에 대한 회상, 대통령과 근로 감독관에게 보낸 진정서, 전태일이 ‘바보회’ 활동을 하며 평화 시장 근로 조건의 실태를 조사한 설문지, 소...
-
1914년 현재의 도봉구 창동 등에 소재한 토지에서의 수확물에 대한 도조를 기록한 책. 『노해면 추수기(蘆海面秋收記)』[청구기호 奎 27673]는 1914년 당시 경기도 양주군 노해면 두산리(斗山里), 즉 현재의 도봉구 창동 등에 소재한 전답의 추수기로서 토지에서의 수확물에 대한 도조(賭租)를 기록한 책이다. 양주군 노해면은 조선 시대의 경기도 양주군 노원면(蘆原面)과 해등촌면(海...
-
도봉구의 옛 지명인 해등촌(海等村)이 기록된 조선 후기의 지리지. 『대동지지(大東地志)』는 32권 15책으로 구성된 조선 후기 지리지로서 김정호(金正浩)가 편찬하였다. 역사 지리지로서의 성격을 가지고 있으며 신라 시조(新羅始祖) 원년(元年) 갑자(甲子)로부터 시작하여 1863년(철종 14)까지 1920년간의 내용을 담고 있다. 『대동지지』의 저자는 『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로 유명...
-
1999년 12월 30일 서울특별시 도봉구가 편찬한 체계적인 도봉구 소개 자료집. 1999년 당시 구청장이었던 임익근을 편찬 위원장, 부구청장인 임성수를 부위원장으로 하는 『도봉구지』 편찬 위원회의 책임 아래 편찬되었다. 또한 서울 시립 대학교 국사학과 교수인 이우태를 연구 책임자로 하여 임의제·최근희·배성준·전우용·김기호·오영선 등 주로 서울학 연구소에서 활동 중이던 연구자들을...
-
1998년 11월 서울특별시 도봉구의 도봉 문화원이 편찬한 도봉구 금석문 자료집. 서울특별시 도봉구에는 연산군을 비롯한 조선 왕실과 재상들의 묘역이 자리 잡고 있을 뿐 아니라, 도봉 서원 앞 계곡에는 조선 시대 선비들이 남긴 많은 암각(巖刻), 즉 바위 글씨[金石文]들이 있다. 작자와 시기 미상인 것들도 많지만, 대부분 역사적 인물들이 새긴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금석문 자료들을...
-
서울특별시 도봉구의 도봉구청에서 매월 발행하는 반상회보 형식의 구정 소식지. 도봉구청은 관 주도의 경직된 이미지를 탈피하고 지역 언론의 창달에 관심을 기울여 도봉 구민의 관심 사항과 의견을 적극 반영한 유익하고 알찬 정보를 제공할 목적으로 1996년 『도봉뉴스』를 창간하였다. 국배판이며 E+70g에 16면 전면 컬러이다. 『도봉뉴스』는 서울특별시 도봉구 조례 제672호에 의거하여...
-
2011년 신문인 표재두가 도봉산을 등산한 체험과 관련 정보, 지식들을 묶어 출간한 도봉산 관련 서적. 『도봉만필』은 ‘도봉산 이야기’라는 부제가 붙은 책으로, 『코리아 헤럴드』 학원 사업부장을 지낸바 있는 신문인 표재두가 2,200여 회에 걸쳐 도봉산을 등산한 체험과 관련 정보, 지식들을 묶어 펴낸 도봉산 관력 서적이다. 모두 7장에 걸쳐 필자가 가진 도봉산 등산 체험, 관련 역...
-
(사) 한국 문인 협회 도봉 지부에서 회원의 작품을 모아 발간하는 연간 문학잡지. 『도봉문학』은 도봉 문인 협회[현 (사) 한국 문인 협회 도봉 지부]에 소속된 회원들의 문학 창작 활동을 활성화하고 지역 문학의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2003년 6월 27일 창간되었다. 판형은 A5 크기이다. 앞표지와 뒤표지가 컬러로 인쇄되어 있으며 본문은 약 300여 페이지이다. 『도봉문학』은 (사...
-
1997년 서울특별시 도봉구의 도봉구청이 편찬한 도봉구 문화 유산 안내 자료집. 예로부터 산수가 아름다운 서울특별시 도봉구는 자연과 어우러진 문화 유산을 많이 가지고 있다. 도봉구청은 이러한 도봉 지역의 문화 유산들을 바로 알리고 보존하며 발전시키기 위하여 『도봉 문화 유산』을 편찬하였다. 한 권으로 되어 있으며, 도봉구청에 소장되어 있다. 신국판으로 전면 칼라이며 총 28면이다....
-
서울특별시 도봉구의 도봉문화원에서 발행하는 연간 종합 문화지. 도봉문화원은 도봉구의 가려져 있는 역사를 기록하고 전파하는 열린 장으로서, 향토 문화를 발굴하며 문화 자료를 수집하고 보급해 지역 사회의 교육지로 활용하고자 1994년 6월 23일 『도봉문화』를 창간하였다. 4×9 국배판이며 전면 칼라이다. 『도봉문화』에는 도봉문화원의 한해 예술 행사 활동을 사진과 함께 실은 문화원 포...
-
1999년 12월 서울특별시 도봉구의 도봉 문화원이 편찬한 도봉서원 관련 문헌 조사 자료집. 서울특별시 도봉구에는 서울특별시에 현존하는 유일한 서원(書院)인 도봉서원이 있다. 왜란(倭亂)으로 소실된 도봉서원은 1608년(선조 41)에 복원되었다가 1871년(고종 8)에 훼철(毁撤)되었으며, 도봉서원에 전해 오는 자료는 별로 없는 실정이다. 그러나 거의 300년이나 유지된 도봉 서원...
-
서울특별시 도봉구의 정보를 다루는 종합 인터넷 포털 사이트. 여론 조사·뉴스 등의 언론 정보와 다양한 생활 정보 서비스를 한 곳에서 편하게 볼 수 있어야 하지만 여러 기관과 매체로 분산되어 정보 생활에 어려움이 발생하는 한계를 보완함과 동시에, 도봉 구민들에게 편리한 인터넷 정보 생활이 가능하게 하기 위해 창간하기로 하였다. 『도봉 포털』은 도봉구의 기본 정보뿐 아니라 관광 정보와...
-
서울특별시 도봉구의 도봉구청에서 매주 제공하는 인터넷 뉴스 사이트. 매월 반상회 날 발행되는 소식지 『도봉 뉴스』가 그때그때 새로운 소식을 신속히 전달하는 데 한계가 있어 이를 보완하고자 도봉 전자 뉴스[Electronic Daily Dobong News]가 창간되었다. 그러나 인터넷 시대에 발맞추어 홍보 사항 및 보도 자료들이 실시간으로 업데이트 되지 않는 단점을 보완하고 손쉽게...
-
1997년 도봉 문화원에서 발행한 도봉구 지역의 향토 자료집. 도봉구의 문화 유적을 발굴·보존하는 데 노력해 온 도봉 문화원은 지역의 역사를 바로 알리고 도봉구의 역사와 전통문화 등을 통해 도봉구의 생활상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1997년 12월 『도봉』을 간행하였다. 4×6배판으로 총 394면이다. 표지는 컬러이고 내지는 흑백이다. 본문 4개의 장과 특집, 테마 기행의 총 6개...
-
서울특별시 도봉구의 도봉구청에서 제공하는 대학 수학 능력 시험 및 내신 전문 인터넷 교육 방송. 도봉구청은 양질의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여 도봉구 학생들의 대학 수학 능력 시험 대비에 도움을 주고 학부모의 경제적인 어려움을 덜어 주기 위해 2006년 1월 16일 『도봉구청 인터넷 수능 방송』을 개설하였다. 『강남구청 인터넷 수능 방송』을 도입하였으며 예산의 중복 투자를 방지한다는 의...
-
서울특별시 도봉구 방학동 도봉구청이 제공하는 중학생 인터넷 교육 방송 사이트. 도봉구청은 관내에 거주하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사이버 교육을 무상으로 제공하여 부모의 사교육비를 절감하게 하고 양질의 교육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2007년 3월 2일에 중학생 인터넷 교육 방송을 도입하였다. 『도봉구청 중학생 인터넷 교육 방송』은 도봉구 관내에 거주하는 학생들을 위한 무료 중등 멀티미디어...
-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동에 36여 년간 거주하고 있는 유광식이 2012년 자신이 쓴 글과 가족의 글을 모아 엮어 만든 가족 문집. 『도봉동 버드나무 아래』는 2012년 도서 출판 우와에서 간행된 에세이집으로,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동에 36여 년간 거주하며 일가를 이룬 저자 유광식이 자신이 살아온 삶과 가족의 이야기를 사진과 시, 에세이로 엮어 만든 가족 문집이다. 『도봉동 버드나...
-
조선 후기 선비 이재학과 서용보가 도봉산을 유람하며 시회를 가지고 이를 기념하기 위해 제작한 화첩. 『도봉첩(道峯帖)』은 선비인 이재학(李在學)[1745~1806], 서용보(徐龍輔)[1757~1824] 등이 도봉산(道峰山)을 유람하며 시회를 가지고 이를 기념하기 위해 제작한 화첩이다. 이재학은 관료로서 활약하다가 순조 즉위 후 곧 귀양을 가는 등 고초를 겪다가 1806년에 사망하였...
-
도봉 서원에 대한 내용이 기록된 조선 후기 이정형의 전적. 『동각잡기(東閣雜記)』는 이정형(李廷馨)[1549~1607]이 국가의 정치와 명신(名臣)의 행적(行蹟)을 기록한 야사(野史)이다. 도봉 서원(道峯書院)에 대한 내용은 『동각잡기』 하권에 나온다. 중국에서 시작된 서원의 기원을 간략하게 기술하고, 우리나라 최초의 서원인 백운동 서원(白雲洞書院)[소수 서원(紹修書院)]을 필두로...
-
서울특별시 도봉구의 주민들이 지역 소식을 모아 발행하는 지역 신문. 『마을 신문 도봉N』은 지역의 소식을 다루는 매체가 별로 없다는 것에 착안하여, 중앙 언론의 시각이 아닌 세밀하면서 소소한 주민들의 삶과 동네의 이야기들을 공유하자는 취지하에 2009년 주민 10여 명이 모여 만들었다. ‘도봉N’에는 ‘도봉엔’, ‘도봉 뉴스(news)’, ‘도봉 네트워크(network)’라는 뜻이...
-
1978년 김성동이 도봉산의 천축사를 배경으로 수도승의 고뇌와 방황을 통해 진정한 깨달음이 무엇인가를 서술한 장편 소설. 『만다라』는 김성동(金聖東)이 도봉산 중턱의 천축사에서 정각이라는 법명으로 정진을 하다 환속한 후 집필한 장편 소설이다. 청소년기에 입산한 수도승이 득도하기 위해 공부하는 과정에서 느끼는 고뇌와 방황을 그리면서, 동시에 진정한 도는 수도에 있는 것이 아니라 인간...
-
1986년 이병주가 도봉산과 북한산 등 국내의 명산을 등반한 경험을 바탕으로 쓴 수필집. 『산을 생각한다』는 이병주(李炳注)[1921~1992]가 북한산과 도봉산, 운길산, 설악산 등의 산을 오르며 작가가 느낀 깨달음과 산에 대한 찬사를 담은 수필집이다. 1986년 이병주는 만년에 자신의 등반 경험을 바탕으로 산악 잡지인 월간 『산』에 산행 에세이를 연재하였고, 그 연재물을 모아...
-
2000년 시나리오 작가 신봉승이 연산군이 재위 시절 창작한 125편의 시를 모아 엮은 책. 『시인 연산군』은 2000년 도서 출판 선을 통해 출간된 서적으로, 한국 사극의 대표 작가로 평가되는 시나리오 작가 신봉승[1933. 5. 23~ ]이 연산군(燕山君)[1476~1506]이 재위 시절에 창작한 125편의 시편을 엮은 책이다. 『시인 연산군』에는 연산군의 시와 더불어 신봉승이...
-
일제 강점기 오치 다다시치가 저술한 1914년 도봉 지역을 포함한 군면동리(郡面洞里)의 통폐합 이전과 이후의 지명을 대조한 책. 오치 다다시치[越智唯七]는 일본 간사이 대학[關西大學] 출신이라는 점만 밝혀졌을 뿐, 신분 및 행적에 대해서는 명확하지 않다. 서문에서 여러 관청의 도움을 받았다는 사실만 기록되어 있고, 조선 총독부 직원록이나 관보 등에서도 등장하지 않는 것으로 보아 조...
-
도봉구를 포함하는 양주목이 수록된 조선 전기의 인문 지리지.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은 1530년(중종 25)에 왕명으로 편찬한 관찬(官撰) 지리지로, 앞서 양성지(梁誠之), 노사신(盧思愼), 강희맹(姜希孟) 등이 1481년(성종 12)에 왕명으로 편찬한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을 중수(重修)한 것이다. 1611년(광해군 3) 이후 몇 차례에 걸쳐 간행되었다. 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