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선 후기 도봉 서원에 출입하였던 학자이자 문신. 서인의 이념적 지주로 평가되는 김장생(金長生)[1548~1631]은 높은 학문 수준 및 교우와 문인들의 활동에 직접·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침으로써 인조반정 이후의 정계를 주도하였다. 도봉 서원을 출입하며 이이(李珥), 송익필(宋翼弼)로 이어지는 서인의 학문을 계승하였다. 도봉 서원에 배향되어 있는 송시열(宋時烈)이 제자이다. 본관은...
-
조선 후기 송시열의 도봉 서원 배향에 반대한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자는 사관(士寬). 할아버지는 김시성(金是城)이고, 아버지는 전 행병조좌랑(前行兵曹佐郞)을 지낸 통덕랑(通德郞) 김우화(金遇華)이다. 김우화[1656~1727]의 자는 이현(而顯)으로 1695년 황감 별제(黃柑別製)에서 장원을 하여 주택을 하사받았으며 그해에 문과에 급제하였고 이후 봉상시정(奉常寺正)에까지 올...
-
서울특별시 도봉구 방학동에 묘가 있는 조선 후기 무신. 본관은 사천(泗川). 증조할아버지 목첨(睦詹)은 선조 연간에 대사간, 도승지, 이조참판 등을 역임하였으며, 할아버지 목서흠(睦敍欽)은 병자호란 당시 남한산성에 인조를 호종한 바 있으며 관직이 지중추부사에 이르렀다. 아버지 목처선(睦處善)은 목서흠의 큰아들로 인천 감목관, 연천 현감 등을 지냈다. 어머니는 지중추부사를 역임하고...
-
서울특별시 도봉구와 강북구 우이동 문인들이 결성한 문학 단체. 우리 시 진흥회는 정기적인 시 낭송회와 작품집 발간을 통해 회원들의 친목을 도모하고, 우리 시의 발전과 대중화를 이끌고 감동적인 시 작품의 창작과 낭송 문화를 활성화하기 위하여 1986년에 설립되었다. 우리 시 진흥회의 전신은 우이시 낭송회이다. 우이시 낭송회는 1986년에 홍해리, 이생진, 채희문, 임보, 박희진 등의...
-
조선 전기 도봉구 지역을 포함한 양주 일대를 관할하는 양주 목사로 재임하며 도봉 서원을 중수한 문신. 본관은 경주. 자는 중훈(仲薰), 호는 사류재(四留齋)·퇴우당(退憂堂)·월당(月塘). 할아버지는 진사 이달존(李達尊)이고, 아버지는 사직 서령(社稷署令) 이탕(李宕)이며, 어머니는 김응진(金應辰)의 딸인 의성 김씨(義城金氏)이다. 이조참판 정형(廷馨)이 동생이다. 이정암(李廷馣)[...
-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산에 있는 암석으로 이루어진 봉우리. 도봉산에는 대보 조산 운동이 발생했을 때 대보 화강암이 관입하였다. 이후 오랜 기간에 걸쳐 침식을 받아 산의 정상부는 대부분 기반암인 화강암이 노출된 채 바위산의 형태가 되었다. 화강암이 오랜 시일에 걸쳐 모암으로부터 일부분이 벗겨지거나 떨어져나갔다. 도봉산의 봉우리는 화강암의 차별 침식으로 인해 형성되었으며, 암석이 벗겨...
-
서울특별시 도봉구 지역에서 편을 나누어 윷으로 승부를 겨루는 놀이. 윷놀이는 윷을 던져 엎어지고 젖혀지는 결과에 따라 말판에 말을 쓰면서 승부를 겨루는 민속놀이이다. 이를 척사(擲柶), 사희(柶戱), 사목희(四木戱) 등이라고도 한다. 사람이 많을 때는 편을 나누어서 노는데, 남녀노소 할 것 없이 어느 때, 어디서나 놀 수 있어 지금도 많은 사람이 즐기는 대표적인 민속놀이이다. 특히...
-
서울특별시 도봉구 방학동에 묘가 있는 조선 후기 문신. 본관은 사천(泗川). 자는 사백(士伯), 호는 청헌(靑軒). 기묘명현(己卯名賢)의 한 명인 현헌공(玄軒公) 목세칭(睦世秤)의 현손(玄孫)이며, 할아버지는 영의정에 추증되고 충정(忠貞)의 시호를 받은 목서흠(睦叙欽)이다. 아버지는 남인의 영수로서 숙종 대 환국의 중심에 있었던 좌의정 목내선(睦來善)이다. 어머니는 목내선의 계실인...
-
지금의 서울특별시 도봉구 지역인 경기도 양주시 해등촌면에 있던 정자. 조선 후기의 문신인 어진익(魚震翼)[1625~1684]의 옛집이 해등촌면에 있었는데, 어진익의 아버지 어한명(魚漢明)이 양주(楊州) 해등촌면에 별장을 짓고 손수 향나무와 잣나무 각각 두 그루씩을 심어 놓았다. 그 나무가 자라서 모두 아름드리나무가 되었다. 어진익의 형제는 모두 4명이었는데, 1677년(숙종 3)에...
-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산과 초안산, 쌍문 근린공원 등 야산에서 서식하는 장미과의 낙엽 지는 떨기나무. 멍석딸기는 한국 원산으로 산기슭이나 논둑, 밭둑 등지에서 흔히 볼 수 있다. 특히 도봉산 시루봉 주변, 초안산의 낮은 자락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다. 번둥딸기, 멍두딸, 수리딸나무, 멍딸기, 덤풀딸기, 사슨딸기, 홍매초, 모매, 호전표라고도 한다. 줄기는 1~3m이며, 옆으로 기어...
-
서울특별시 도봉구 지역에서 한식 또는 음력 10월에 5대조 이상의 조상 묘에서 지내는 제사. 시사(時祀)는 일반적으로 4대 봉사가 끝나 기제(忌祭)를 잡수시지 못하는 조상을 위하여 사당이나 집안이 아닌 묘에서 5대조 이상의 조상에게 올리는 제사이다. 한식 또는 10월에 정기적으로 묘제를 지낸다고 하여 시제(時祭)[시사]라고 불리는데, 사시제(四時祭), 시향(時享), 절사(節祀),...
-
조선 전기 도봉 서원에 배향된 문신이자 학자. 본관은 충주(忠州). 자는 화숙(和叔), 호는 사암(思庵)·청하자(靑霞子). 증조할아버지는 은산 군사(殷山郡事) 박소(朴蘇)이고, 할아버지는 성균관 사 박지흥(朴智興)이다. 아버지는 기묘명현(己卯名賢)의 한 사람인 목사(牧使) 박상(朴祥)의 동생 박우(朴祐)이고, 어머니는 당악 김씨(棠岳金氏)이다. 박순(朴淳)[1523~1589]은 1...
-
조선 전기 도봉구 지역을 포함한 양주 일대를 관할하는 양주 목사를 역임한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자는 경로(景老), 호는 사암(思菴). 조선 전기 의정부 찬성사를 지낸 정구(鄭矩)의 5세손으로, 아버지는 예문관 대교를 지낸 정전(鄭荃)이다. 어머니는 이조판서에 추증된 신극정(愼克正)의 딸인 거창 신씨(居昌愼氏)이다. 정대년(鄭大年)[1503~1578]은 1532년(중종 27)...
-
현재의 도봉구 지역을 관할하였던 양주에 은거한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벽진(碧珍)[성주]. 자는 사우(士祐), 호는 동천(東川)·만사(晩沙). 선조인 이총언(李悤言)이 고려 태조를 도와 공을 세워 장군으로서 성주에 정착한 이후 대대로 성주(星州) 지역에 뿌리를 내린 집안이다. 고조할아버지 이소원(李紹元)은 문과 급제 후 형조좌랑(刑曹佐郞)을 지냈고, 증조할아버지는 전옥서 참봉(...
-
서울특별시 도봉구 창동에 묘가 있는 조선 후기 관인. 본관은 밀양(密陽). 자는 사원(嗣元). 아버지는 군자감 정(軍資監正)으로 추증된 박의숙(朴義淑)으로, 박수환(朴守還)[1572~1646]은 1남 2녀 가운데 큰아들로 태어났다. 부인은 영천 이씨(永川李氏)이다. 박수환은 묘비를 통해 생년월일만 알 수 있다. 아버지인 박의숙의 묘비에 박수환이 호군(護軍)을 지낸 사실이 나타난다....
-
조선 전기 양주 목사를 지내고 도봉 서원의 사액을 위해 애쓴 유학자이자 문신. 본관은 수원(水原). 자는 사위(士偉), 호는 휴암(休庵). 증조할아버지는 사헌부 지평을 지낸 백효삼(白效參)이고, 할아버지는 백사수(白思粹)이며, 아버지는 왕자사부를 지낸 백익견(白益堅)이다. 외할아버지는 우종은(禹從殷)이다. 백인걸(白仁傑)[1497~1579]은 젊어서부터 조광조(趙光祖)를 매우 존경...
-
서울특별시 도봉구 지역에서 윷을 가지고 한 해의 운수나 풍흉을 점치는 풍습. 윷점은 도봉구 지역에서 음력 섣달 그믐날 밤이나 설날, 정초 등에 윷을 가지고 한 해의 운수나 풍흉(豊凶)을 점치는 풍속이다. 한자어로는 사점(柶占)이라고 한다. 윷점은 편을 짜서 많은 이들이 집단으로 마을의 운수나 농사의 풍흉을 점치는 것과 개인이 윷을 놀아 나타난 숫자로 자신의 길흉을 짐작하는 것 2가...
-
서울특별시 도봉구에서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물의 빛을 영구적으로 기록하고 표현하는 예술 활동. 우리나라의 사진 역사는 1880년대부터 시작된다. 최초로 사진을 도입한 곳은 김용원이 일본인을 초빙해서 세운 촬영국[1883년]과 지운영의 촬영국[1884년]으로 1884년 2월 14일자의 『한성순보』 기록을 통해 알 수 있다. 초창기 사진은 인물 초상 사진을 위주로 사람을 그대로 찍는 것...
-
서울특별시 도봉구에서 부처를 숭상하고 불법을 익히는 장소. 한국에서 불교를 받아들인 시기는 삼국 시대이다. 당시 고구려가 받아들인 불교는 주로 전진(前秦)을 비롯한 북방 중국의 불교였으며, 백제가 받아들인 불교는 동진(東晉)을 비롯한 남방 중국의 불교였다. 신라의 경우는 처음에는 고구려에서, 그 이후로는 백제와 중국의 남조·수나라·당나라 등지에서 불교가 전래되었다. 삼국의 불교는...
-
목효기를 시조로 하고 서울특별시 도봉구에 묘역이 있는 성씨. 사천목씨(泗川睦氏)는 641년 당나라 출신 목충(睦沖) 이후의 세계(世系)가 실전되어 고려 때 중랑장을 지낸 목효기(睦孝基)를 시조로 한다. 고려 시대에는 목충, 목인길(睦仁吉), 목자안(睦子安) 등이 왜구 평정에 공을 세웠다. 조선 시대에 들어서는 선조 대에 대사간·도승지를 지낸 목첨(睦詹)과 그 아들들인 효종 대 지중...
-
서울특별시 도봉구 방학동에 있는 여말 선초 목진공을 필두로 6기의 묘가 모여 있는 사천목씨의 묘역. 사천목씨(泗川睦氏)는 처음 당나라에서 우리나라에 파견되어 온 학사로부터 비롯되었다고 하나 목충(睦沖) 이후의 세계가 실전되어 고려 때 중랑장을 지낸 목효기(睦孝基)를 시조로 한다. 고려 시대에는 목충, 목인길, 목자안 등이 왜구 평정에 공을 세웠다. 조선 시대에 들어서는 선조 대에...
-
서울특별시 도봉구의 복지 증진을 위해 사회 복지 사업을 수행하는 시설. 사회 복지 사업이란 법률에 의한 보호·선도 또는 복지에 관한 사업과 사회 복지 상담, 부랑인 및 노숙자 보호, 직업 보도, 무료 숙박, 지역 사회 복지, 의료 복지, 재가 복지, 사회 복지관, 정신 질환자 사회 복귀에 관한 사업 등을 운영·지원하는 사업이라 할 수 있다. 사회복지시설의 종류는 다양한데, 크게 유...
-
서울특별시 도봉구에서 사회 문제 해결이나 사회 변화를 위해 시민들이 자발적, 집단적으로 전개하는 일체의 행동. 서울특별시 도봉구는 서울의 북동부에 위치한 전형적인 주거 지역으로서, 수려한 자연과 양호한 주거 환경으로 인해 1980년대 이후 급격히 인구가 증가한 곳이다. 10년 이상의 장기 거주 가구의 비중과 자가 거주 비중 또한 높으며, 대학 학력 가구주의 비중이 서울 평균을 상회...
-
서울특별시 도봉구에서 시행되고 있는 국민의 생활 향상과 사회 보장을 위한 광범위한 사회 정책. 좁은 뜻의 사회·복지는 아동·노인·장애인에 대하여 금전 급부 이외의 이른바 서비스 급부의 방법으로 행해지는 여러 활동의 총체를 의미한다. 넓은 뜻의 사회·복지는 사회사업 이외에 사회 정책·사회 보장·주택 보장·공중위생·비행 문제 대책 등을 포함하는데, 영국과 미국의 사회 복지는 넓은 뜻으...
-
서울특별시 도봉구에서 사회의 문제를 해결할 목적으로 활동하는 단체. 사회단체는 사회 문제의 해결을 목적으로 하는 단체이다. 일반적으로 사회단체라고 하면 정부 기구에 포함되지 않은 민간단체들을 포괄하는 명칭으로 사용된다. 시민들이 일정한 목적 하에 자발적으로 결성한 모임으로, 국가를 상대로 견제와 비판, 혹은 지지의 역할을 수행하는 단체라고 할 수 있다. 서울특별시 도봉구에서 활동하...
-
서울특별시 도봉구에서 사회적 목적을 추구하면서 재화 및 서비스의 생산, 판매 등 영업 활동을 수행하는 기업. 사회적 기업이란 취약 계층에게 사회 서비스 또는 일자리를 제공하거나 지역 사회에 공헌함으로써 지역 주민의 삶의 질을 높이는 등의 사회적 목적을 추구하면서 재화 및 서비스의 생산, 판매 등 영업 활동을 수행하는 기업이다. 사회적 가치 창출만을 위한 전통적 개념의 비영리 기관과...
-
서울특별시 도봉구 지역에서 편을 나누어 윷으로 승부를 겨루는 놀이. 윷놀이는 윷을 던져 엎어지고 젖혀지는 결과에 따라 말판에 말을 쓰면서 승부를 겨루는 민속놀이이다. 이를 척사(擲柶), 사희(柶戱), 사목희(四木戱) 등이라고도 한다. 사람이 많을 때는 편을 나누어서 노는데, 남녀노소 할 것 없이 어느 때, 어디서나 놀 수 있어 지금도 많은 사람이 즐기는 대표적인 민속놀이이다. 특히...
-
서울특별시 도봉구에 있는 평지보다 높이 솟아 있는 지형. 도봉구는 백두대간에서 뻗어 나온 한북 정맥이 구의 북쪽을 지나기 때문에 비교적 뚜렷한 산줄기가 형성되어 있다. 도봉구의 산은 대부분 암석으로 이루어진 바위산인데, 이들 산을 구성하는 암석은 대부분 대보 조산 운동 때 관입한 것으로 보이는 흑운모 화강암이다. 따라서 화강암으로 이루어진 도봉구의 산은 침식 작용을 쉽게 받아 돔...
-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산에서 자라는 현호색과의 두해살이풀. 산괴불주머니는 우리나라 각처 산지의 습기가 많은 곳, 특히 경기도와 강원도 산간 지방에서 큰 군락을 이루며 자란다. 도봉산의 계곡 가에도 많은 개체 수가 확인된다. 암괴불주머니, 조선괴불주머니, 산불꽃, 산뿔꽃, 마씨자근이라고도 한다. 오색의 비단 헝겊을 이용하여 여러 모양의 수를 놓아 만든 노리개를 괴불주머니라고 하는데,...
-
서울특별시 도봉구에 있는 골짜기와 골짜기 사이의 산등성이. 능선은 산에서 주요 분수계를 형성하며 침식 작용을 오랫동안 받은 장년기의 산지에서 뚜렷하게 나타난다. 대체로 등산로를 비롯한 이동 통로로 활용된다. 능선의 높은 부분은 봉우리라고 부르고 교통로로 이용되는 낮은 부분은 안부(鞍部)라 한다. 산줄기 또는 산등성이라고도 부른다. 도봉구에는 도봉산이 자리하고 있기 때문에, 산줄기의...
-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산의 중턱 골짜기에서 자라는 목련과의 낙엽 지는 작은 키 나무. 함박꽃나무는 우리나라 각처의 깊은 산 중턱 골짜기에서 자생하며, 목련과 나무 중에서는 일본목련과 함께 비교적 늦게 꽃이 피는 종류다. 함백이꽃, 힌뛰함박꽃, 얼룩함박꽃나무, 산목련, 목란, 천녀화(天女化), 천녀목란(天女木蘭)이라고도 한다. 높이는 3~7m이다. 잎은 길이 6~15㎝, 너비 5~1...
-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산에서 자라는 현호색과의 두해살이풀. 산괴불주머니는 우리나라 각처 산지의 습기가 많은 곳, 특히 경기도와 강원도 산간 지방에서 큰 군락을 이루며 자란다. 도봉산의 계곡 가에도 많은 개체 수가 확인된다. 암괴불주머니, 조선괴불주머니, 산불꽃, 산뿔꽃, 마씨자근이라고도 한다. 오색의 비단 헝겊을 이용하여 여러 모양의 수를 놓아 만든 노리개를 괴불주머니라고 하는데,...
-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산에서 자라는 현호색과의 두해살이풀. 산괴불주머니는 우리나라 각처 산지의 습기가 많은 곳, 특히 경기도와 강원도 산간 지방에서 큰 군락을 이루며 자란다. 도봉산의 계곡 가에도 많은 개체 수가 확인된다. 암괴불주머니, 조선괴불주머니, 산불꽃, 산뿔꽃, 마씨자근이라고도 한다. 오색의 비단 헝겊을 이용하여 여러 모양의 수를 놓아 만든 노리개를 괴불주머니라고 하는데,...
-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산과 초안산 등 산지에 자라는 때죽나무과의 잎 지는 큰키나무. 쪽동백나무는 우리나라 각처의 산지 숲에서 때죽나무와 함께 봄날의 숲 속을 화려하게 장식한다. 도봉산이나 초안산 등 산지에서 쉽게 만날 수 있다. 노랗게 물드는 가을 단풍도 아름답다. 생강나무와 생김새나 잎, 생육지가 비슷하여 혼동되기도 한다. 정나무, 산아즈까리나무, 개동백나무, 왕때죽나무라고도 한...
-
서울특별시 도봉구에 있는 골짜기와 골짜기 사이의 산등성이. 능선은 산에서 주요 분수계를 형성하며 침식 작용을 오랫동안 받은 장년기의 산지에서 뚜렷하게 나타난다. 대체로 등산로를 비롯한 이동 통로로 활용된다. 능선의 높은 부분은 봉우리라고 부르고 교통로로 이용되는 낮은 부분은 안부(鞍部)라 한다. 산줄기 또는 산등성이라고도 부른다. 도봉구에는 도봉산이 자리하고 있기 때문에, 산줄기의...
-
서울특별시 도봉구 산지나 공원 등에서 쉽게 볼 수 있는 호랑나비과의 나비. 산호랑나비는 날개 편 길이가 36~59㎜에 이른다. 알은 공 모양으로 겉면이 매끈하며 너비 1.2㎜, 높이 1㎜ 정도이다. 처음엔 노란색이다가 차츰 누런 흰색이 되고, 알에서 깨어날 무렵 겉면에 짙은 밤색 무늬가 나타난다. 애벌레는 1령 때는 몸 빛깔이 어두운 흑갈색으로, 제3~4배마디의 등 중앙에 회백색...
-
서울특별시 도봉구를 비롯하여 삼각산 주변의 마을에서 행해지던 마을 제사. 삼각산 도당굿은 도봉구 지역을 비롯한 삼각산(三角山)[백운봉·인수봉·만경봉]의 주변 마을에서 당주 무당을 초빙하여 마을의 평안을 기원하며 지내는 굿이다. 도당굿이란 경기도 지역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기 위해 지내던 대표적인 마을굿의 명칭이다. 따라서 ‘삼각산 도당굿’이라는 명칭을 볼 때 과거 우이동...
-
서울특별시 도봉구 지역의 민간에서 부엌과 불을 관장한다고 믿었던 신. 조왕(竈王)은 집안에 모시고 위하는 가신 신앙의 한 대상으로 불씨 및 부엌 등을 관장하는 신이다. 이를 부뚜막신, 조왕 각시, 조왕 할매 등이라고도 한다. 특히 제주도에서는 삼덕 할망이라고 부른다. 삼덕은 솥을 받치는 세 개의 돌인데, 과거 제주도에서는 부뚜막이 없어서 솟덕이 조왕으로 인식되었다. 조왕은 불신[火...
-
서울특별시 도봉구 지역에서 초복, 중복, 말복에 지내는 절기의 풍속. 삼복(三伏)은 일 년 중 가장 더운 시기를 의미하는데, 하지로부터 셋째 경일(庚日)을 초복(初伏), 넷째 경일을 중복(中伏), 입추 후 첫째 경일을 말복(末伏)이라고 한다. 복날은 10일 간격으로 들기 때문에 초복에서 말복까지는 20일이 걸린다. 이처럼 20일 만에 삼복이 들면 매복(每伏)이라고 한다. 하지만 말...
-
서울특별시 도봉구 창동에 있던 못. 현재의 창동에는 조선 시대 자연 마을인 창골, 유만, 말미, 모랫마을 등이 있었다. 삼봉못은 이 가운데 유만리(流滿里) 근방에 있던 못이다. 유만리는 큰 늪이 있어 물이 가득하였던 데서 이름이 유래하였다. 삼봉못은 서울특별시 도봉구 삼각산의 세 봉우리가 이 못에 비쳤다는 데서 이름이 유래하였다. 삼봉못은 서울특별시 도봉구 창동에 있었으나, 정확한...
-
서울특별시 도봉구 쌍문 1동에 있는 대한 예수교 장로회 소속 교회. 1986년 5월 정의 여자 고등학교 회의실에서 한신 초등학교 교장이었던 박병희 장로를 중심으로 설립되었다. 2001년 성전 건축 준비 위원회를 조직하고, 2002년에 신축 시공 예배를 보았다. 2003년 5월 25일에는 서울특별시 도봉구 쌍문 1동 520-2번지로 새 성전을 지어 입당하였다. 삼산교회는 ‘생명을 주...
-
서울특별시 도봉구 방학 1동에 있는 태고종 사찰. 1987년 선오가 서울특별시 도봉구 방학 1동 697-25번지에서 삼성사를 창건하였으며, 2년 뒤 방학 1동 695-15번지 삼성선원으로 이전하였다. 창건주인 선오는 25년 전 조계종에서 교육을 받은 뒤 태고종으로 종파를 변경하였다. 매월 음력 초하루 법회가 열리고 매월 18일 지장제일 법회, 매월 15일 보름 법회, 매월 둘째 주...
-
서울특별시 도봉구 지역에서 아기를 낳고 기르는 것을 관장하는 삼신을 모시는 신앙. 삼신 의례는 출산 후 초칠일이나 삼칠일까지 산모의 방에 삼신을 모시는 상을 차려 놓고 산모와 아이의 건강을 비는 행위이다. 삼신은 아이의 잉태와 출산, 수명, 질병 등을 관장하는 가신(家神)이자 무속의 신으로 삼신할머니, 삼신바가지, 삼신할망 등이라고도 한다. 삼신과 관련된 굿거리로 삼신풀이 등이 있...
-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동 천축사에 소장되어 있는 개항기의 비로자나 삼신불화. 「천축사 비로나자 삼신불도(天竺寺毘盧舍那三神佛圖)」는 1891년 경선당(慶船堂) 응석(應釋), 환감(幻鑑), 혜조(慧照), 경림(璟林), 탄인(呑仁), 창오(昌悟) 등 여러 명의 화승이 공동으로 그린 그림이다. 이들 중 수화승은 편수(片手) 역할을 맡았던 응석이었으며, 「천축사 비로나자 삼신불도」 외에 천...
-
서울특별시 도봉구 창동에 있던 삼양 식품의 라면 생산 공장. 삼양라면 도봉공장은 국내 최초의 라면 생산 업체인 삼양 식품에서 서울특별시 도봉구에 건립한 라면 생산 공장이다. 당시 라면의 수요가 급격히 늘어나는 가운데 삼양라면 도봉공장은 국내 최대의 라면 생산 공장으로서 삼양 식품의 도약기를 이끌었다. 특히 삼양라면 도봉공장이 위치한 주변 지역의 주민들을 적극 고용함으로써 지역 경제...
-
서울특별시 도봉구 창동에 있던 삼양 식품의 라면 생산 공장. 삼양라면 도봉공장은 국내 최초의 라면 생산 업체인 삼양 식품에서 서울특별시 도봉구에 건립한 라면 생산 공장이다. 당시 라면의 수요가 급격히 늘어나는 가운데 삼양라면 도봉공장은 국내 최대의 라면 생산 공장으로서 삼양 식품의 도약기를 이끌었다. 특히 삼양라면 도봉공장이 위치한 주변 지역의 주민들을 적극 고용함으로써 지역 경제...
-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동에 있던 모직물 생산 공장.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동에 있던 삼영모방공업은 1967년에 설립된 뒤 1990년대 후반까지 모직물 및 모사 외주 등을 제조하였다. 이후 경기도 연천으로 공장을 이전한 뒤 산업 구조의 변화에 대응하여 2004년에 방적 공장 가동을 중단하고 의류 사업 부문을 폐쇄하였다. 2005년 이후 기업형 IT 솔루션, e비즈니스 솔루션 등을 개...
-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동에 있던 모직물 생산 공장.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동에 있던 삼영모방공업은 1967년에 설립된 뒤 1990년대 후반까지 모직물 및 모사 외주 등을 제조하였다. 이후 경기도 연천으로 공장을 이전한 뒤 산업 구조의 변화에 대응하여 2004년에 방적 공장 가동을 중단하고 의류 사업 부문을 폐쇄하였다. 2005년 이후 기업형 IT 솔루션, e비즈니스 솔루션 등을 개...
-
서울특별시 도봉구 지역에서 음력 1월 1일에 지내는 명절. 설은 한 해의 출발이며 동시에 새 봄의 시작을 기리는 명절이다. 이를 삼원(三元), 세수(歲首), 신일(愼日), 연두(年頭), 원단(元旦), 원일(元日), 정조(正朝) 등이라고도 한다. 설에는 각자의 상황에 맞게 새해를 축하하며 친척 및 이웃과 새해 인사를 나누고 덕담을 한다. 차례를 지내는 집에서는 세찬(歲饌)[설에 차리...
-
서울특별시 도봉구 창 2동 창동 신창 시장 내에 있는 쇼핑몰. 삼익쇼핑은 1972년 9월 17일에 창동 신창 시장 내에 건립된 쇼핑몰이다. 지하 1층, 지상 4층으로 건물이 이루어져 있다. 지하 1층에는 분식점과 마트, 사우나가 영업 중이며, 1층에는 각종 의류 관련 업체들과 금은방, 가구점 등이 있다. 2층에는 대형 생활용품 할인점이 있고, 독서실과 학원, 헬스장 등이 입점해 있...
-
조선 후기 도봉 서원에 시를 남긴 유학자.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중화(仲和), 호는 농암(農巖). 증조할아버지는 청음(淸陰) 김상헌(金尙憲)이고, 할아버지는 김광찬(金光燦)이며, 아버지는 김수항(金壽恒)이다. 김창협(金昌協)[1651~1708]과 그 형제들인 김창집(金昌集), 김창흡(金昌翕), 김창업(金昌業), 김창집(金昌緝), 김창립(金昌立)은 ‘6창(六昌)’이라 불리며 조...
-
서울특별시 도봉구 지역에서 음력 3월 3일을 지내는 풍속. 삼짇날은 강남 갔던 제비가 돌아오는 날이며, 봄철에 3이란 양의 수가 겹치는 길일(吉日)이다. 이를 계음일(禊飮日), 답청절(踏靑節), 삼중일(三重日), 상사일(上巳日), 원사일(元巳日) 등이라고도 한다. 삼짇날에는 봄의 기운이 완연하여 꽃이 만발하고, 풀이 싱그러워 봄을 즐길 수 있는 여러 가지 풍속이 있었다. 우선 이날...
-
서울특별시 도봉구 지역에서 음력 3월 3일을 지내는 풍속. 삼짇날은 강남 갔던 제비가 돌아오는 날이며, 봄철에 3이란 양의 수가 겹치는 길일(吉日)이다. 이를 계음일(禊飮日), 답청절(踏靑節), 삼중일(三重日), 상사일(上巳日), 원사일(元巳日) 등이라고도 한다. 삼짇날에는 봄의 기운이 완연하여 꽃이 만발하고, 풀이 싱그러워 봄을 즐길 수 있는 여러 가지 풍속이 있었다. 우선 이날...
-
서울특별시 도봉구 산지 각처에서 자라는 녹나무과의 낙엽 지는 떨기나무. 생강나무는 전국의 해발 고도 100~1,600m에서 자생한다. 서울특별시 도봉구 지역의 산지에서 흔히 볼 수 있으며, 이른 봄 노랗게 피는 꽃이 산수유와 잘 혼동되는 나무이다. 아귀나무, 동백나무, 아구사리, 개동백나무, 황매목(黃梅木), 삼첩풍(三鉆風), 동박나무라고도 한다. 높이 3~6m에 이른다. 잎은 어...
-
서울특별시 도봉구 창동에 있던 페인트 제조업체. 삼화페인트 공업은 1946년에 동화 산업으로 출발하였다. 같은 해에 서울특별시 강북구 미아리에 공장을 설립하였다. 6·25 전쟁 후 1953년에 삼화 화학 공업으로 사명을 변경하였고, 1963년에는 기존 미아리 공장을 폐쇄하고 도봉구 창동에 새로운 공장을 가동하였다. 1964년 7월에 다시 사명을 현재의 삼화페인트 공업으로 변경하였고...
-
서울특별시 도봉구 창동에 있던 페인트 제조업체. 삼화페인트 공업은 1946년에 동화 산업으로 출발하였다. 같은 해에 서울특별시 강북구 미아리에 공장을 설립하였다. 6·25 전쟁 후 1953년에 삼화 화학 공업으로 사명을 변경하였고, 1963년에는 기존 미아리 공장을 폐쇄하고 도봉구 창동에 새로운 공장을 가동하였다. 1964년 7월에 다시 사명을 현재의 삼화페인트 공업으로 변경하였고...
-
서울특별시 도봉구 창동에 있던 페인트 제조업체. 삼화페인트 공업은 1946년에 동화 산업으로 출발하였다. 같은 해에 서울특별시 강북구 미아리에 공장을 설립하였다. 6·25 전쟁 후 1953년에 삼화 화학 공업으로 사명을 변경하였고, 1963년에는 기존 미아리 공장을 폐쇄하고 도봉구 창동에 새로운 공장을 가동하였다. 1964년 7월에 다시 사명을 현재의 삼화페인트 공업으로 변경하였고...
-
서울특별시 도봉구 창동에 있던 페인트 제조업체. 삼화페인트 공업은 1946년에 동화 산업으로 출발하였다. 같은 해에 서울특별시 강북구 미아리에 공장을 설립하였다. 6·25 전쟁 후 1953년에 삼화 화학 공업으로 사명을 변경하였고, 1963년에는 기존 미아리 공장을 폐쇄하고 도봉구 창동에 새로운 공장을 가동하였다. 1964년 7월에 다시 사명을 현재의 삼화페인트 공업으로 변경하였고...
-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동 원통사 산신각 아래에 있는 조선 시대에 새긴 것으로 추정되는 바위 글씨. 상공암(相公岩) 바위 글씨는 정확한 제작자와 건립 시기를 알 수 있는 기록이 남겨져 있지 않다. 다만 이와 관련하여 “원통사 약사전 아래 거북 바위에서 태조 이성계(李成桂)가 기도를 마치던 날 천상(天上)의 상공(相公)이 되어 옥황상제를 배알하는 꿈을 꾸었다”는 이야기가 전한다. 서울...
-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동 원통사 산신각 아래에 있는 조선 시대에 새긴 것으로 추정되는 바위 글씨. 상공암(相公岩) 바위 글씨는 정확한 제작자와 건립 시기를 알 수 있는 기록이 남겨져 있지 않다. 다만 이와 관련하여 “원통사 약사전 아래 거북 바위에서 태조 이성계(李成桂)가 기도를 마치던 날 천상(天上)의 상공(相公)이 되어 옥황상제를 배알하는 꿈을 꾸었다”는 이야기가 전한다. 서울...
-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동 있던 조선 시대 자연 마을. 상누원리(上樓院里)는 우리말로 ‘웃다락원’인데, 조선 시대에 공무로 출장하는 사람들이 묵던 원(院)[누원]의 위쪽에 다락[樓]이 있다고 하여 붙여졌다. 상누원리는 본래 누원리로 18세기 자료인 『호구 총수(戶口總數)』에는 누원리가 확인되고 있으나, 20세기의 지명 상황을 보여 주는 자료들에는 누원리 대신 상누원리(上樓院里)만이...
-
서울특별시 도봉구 지역에서 음력 10월 중 길일을 택하여 각 가정에서 올리는 고사. 상달고사는 음력 10월 상달[上月]에 추수한 햇곡식으로 떡과 술을 만들어 좋은 날[吉日]을 택하여 한 해 추수에 대한 감사와 가정의 안녕을 기원하기 위하여 성주·터주 등의 모든 가신(家神)에게 지내는 제사이다. 이때 새로 추수한 볏단으로 터줏가리[터주로 모시는 짚단]를 새로 만들어 터주와 업의 신체...
-
서울특별시 도봉구 지역에서 사람이 죽은 후 장사 지내는 예법. 상례는 인간의 숙명적인 마지막 길에 예를 갖추어 보내 드리는 절차를 말한다. 상례는 죽음을 맞이하여 그 주검을 거두어 땅에 묻기까지 가족과 근친들이 슬퍼하며 근신하는 의식을 담고 있다. 우리나라의 상례는 무속적 상례, 불교식 상례, 유교식 상례, 기독교식 상례 등이 있는데 이중 유교식 상례가 가장 보편적이다. 유교식 상...
-
서울특별시 도봉구에서 상중에 있는 사람들이 입는 예복. 상례복이란 상중에 있는 상제(喪制)나 복인(服人)이 입는 예복을 가리킨다. 삼베로 만들며 바느질을 곱게 하지 않는다. 대개 전통 마을에서는, 집안에 상이 났을 때 드는 비용을 서로 도와 마련하기 위하여, 비슷한 나이와 신분의 사람들이 모이는 상포계(喪布契)를 만든다. 이 상포계원들이 주도하여 성복제(成服祭)[대개 초상 4일 째...
-
서울특별시 도봉구 지역에서 샅바를 잡고 상대방을 넘어뜨려 승부를 가리는 놀이. 씨름은 두 사람이 샅바나 띠를 넓적다리에 매어 이것을 서로 잡고 손과 발, 그리고 몸을 이용한 힘과 재주를 부려 상대편을 먼저 넘어뜨리는 것으로 승부를 겨루는 민속놀이이다. 이를 한자어로는 각력(角力), 각저(角觝), 각희(角戱), 상박(相撲) 등이라고도 한다. 씨름은 주로 음력 5월 단오 무렵에 넓은...
-
서울특별시 도봉구 지역에서 음력 5월 5일 단옷날에 행하던 씨름 경기. 단오는 모내기를 끝내고 여름이 시작되는 시기로서 풍년에 대한 기원과 벽사 풍습이 많이 전해 오며, 또한 씨름이나 그네뛰기 등 공동체의 민속놀이도 행해진다. 단오 씨름은 일 년 중에서 가장 양기(陽氣)가 왕성한 날이라 해서 큰 명절로 여기는 단옷날에 두 사람이 샅바나 띠 또는 바지의 허리춤을 잡고 힘과 기술을 겨...
-
조선 후기 도봉 서원에서 수학하였던 문신이자 유학자. 본관은 반남(潘南). 자는 상보(尙甫), 호는 여호(黎湖)·요계(蓼溪). 할아버지는 박세교(朴世橋)이고, 아버지는 군수 박태두(朴泰斗)이다. 외할아버지는 조내양(趙來陽)이다. 박세채(朴世采)가 박태두의 작은아버지뻘 되는 종숙이다. 집안이 대대로 서인 노론계에 속하였다. 박필주(朴弼周)[1680~1748]는 서울 주변에 세거하면서...
-
조선 후기 도봉구 지역을 포함한 양주 일대를 관할하는 양주 목사를 역임한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상보(尙輔), 호는 백헌(白軒). 정종의 열 번째 아들 덕천군(德泉君) 이후생(厚生)의 6세손이다. 증조할아버지는 함풍군(咸豊君) 이계수(李繼壽)이고, 할아버지는 좌찬성에 추증된 이수광(李秀光)이다. 아버지는 동지중추부사 이유간(李惟侃)이며, 어머니는 개성 고씨(開城高氏)로...
-
서울특별시 도봉구에서 상중에 있는 사람들이 입는 예복. 상례복이란 상중에 있는 상제(喪制)나 복인(服人)이 입는 예복을 가리킨다. 삼베로 만들며 바느질을 곱게 하지 않는다. 대개 전통 마을에서는, 집안에 상이 났을 때 드는 비용을 서로 도와 마련하기 위하여, 비슷한 나이와 신분의 사람들이 모이는 상포계(喪布契)를 만든다. 이 상포계원들이 주도하여 성복제(成服祭)[대개 초상 4일 째...
-
서울특별시 도봉구 지역에서 음력 3월 3일을 지내는 풍속. 삼짇날은 강남 갔던 제비가 돌아오는 날이며, 봄철에 3이란 양의 수가 겹치는 길일(吉日)이다. 이를 계음일(禊飮日), 답청절(踏靑節), 삼중일(三重日), 상사일(上巳日), 원사일(元巳日) 등이라고도 한다. 삼짇날에는 봄의 기운이 완연하여 꽃이 만발하고, 풀이 싱그러워 봄을 즐길 수 있는 여러 가지 풍속이 있었다. 우선 이날...
-
서울특별시 도봉구에서 2010년까지 서울시의 지원을 받아 어린이들의 상상력과 창의력을 바탕으로 건립된 어린이공원. 상상어린이공원은 서울시에서 지역 주민과 어린이들의 의견을 반영해 낡은 놀이터를 상상력과 창의력의 공원으로 리모델링한 것이다. 도봉구의 상상어린이공원은 도봉구 지역의 오래된 어린이공원을 아이들의 상상력과 창의력을 키워주기 위한 테마 놀이 공간으로 재구성하였다. 도봉구에서...
-
서울특별시 도봉구 지역에서 음력 1월 15일을 전후하여 지내는 명절. 대보름은 한국 세시 풍속에서 비중이 크고 뜻이 깊은 날이기 때문에 특별히 ‘대보름’이라고 부른다. 이를 달도(怛忉), 등절(燈節), 오기일(烏忌日), 원석(元夕), 원석절(元夕節), 원소절(元宵節), 원야(元夜), 제등절(提燈節) 등이라고도 한다. 특히 정월 대보름을 상원이라 하여 중원(中元)[음력 7월 15일]...
-
서울특별시 도봉구의 동쪽 지역을 북에서 남으로 흐르는 하천. 경기도와 서울의 경계 부분은 서원천(書院川)이라 하고, 도봉구 창동 부근에서는 한천(漢川) 또는 한내라고 부른다.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 따르면 “중량포(中梁浦)는 속계(涑溪)라고도 부른다”는 기록이 있고, 『대동지지(大東地志)』에 따르면 “일명 속계라고도 하는 송계천(松溪川)이 양주...
-
서울특별시 도봉구 창동에 있는 새마을운동 중앙회의 지회. 1970년 4월 22일 고 박정희 대통령의 제창으로 시작된 새마을운동은 ‘우리 마을을 우리 힘으로 새롭게 바꾸어 보자’는 운동으로 농촌에서부터 시작되었다. 처음에는 초가집 없애기[지붕 개량], 블록 담장으로 바꾸기, 마을 안길 넓히고 포장하기, 다리 놓기, 농로[논밭으로 이어지는 길] 넓히기, 공동 빨래터 설치 등의 기초적인...
-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산과 초안산, 쌍문 근린공원 등지의 낮은 산지에서 자라는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 선밀나물은 우리나라 각처의 산과 들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다년생 초본]로 도봉산, 초안산 일대에서도 흔히 볼 수 있다. 새밀이라고도 한다. 높이는 약 1m까지 자란다. 잎은 길이 5~15㎝, 너비 2~3㎝로 표면은 녹색이고 뒷면은 분백색이며 넓은 타원형으로 어긋난다. 암수딴그루로...
-
서울특별시 도봉구 창 5동 서울 가인 초등학교에 설치된 서울특별시 교육청 문자 해득 교육 프로그램. 새빛한글교실은 배움의 기회를 갖지 못해 한글을 읽고 쓰는 데 어려움을 느끼는 지역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초등 학력 인정 교육 프로그램이다. 서울특별시 도봉구의 성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문자 해득 프로그램으로, 3단계의 교육 과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새빛한글교실의 대상은 만 18세...
-
서울특별시 도봉구 방학동에 있던 자연 마을. 원당이와 문둥굴 사이에 있던 사잇말에서 음이 변하여 샘말이라는 이름이 유래하였다. 샘말이 있던 방학동은 조선 시대에는 경기도 양주목 해등촌면에 속하였는데, 1914년 4월 1일 전국의 부(府)·군(郡)을 통·폐합할 때 노원면과 해등촌면을 합쳐 노해면을 만들면서 종래 해등촌면의 암회리·도당리·원당리를 각 일부를 합하여 방학리라 하였다. 1...
-
서울특별시 도봉구 창 1동에 있는 지역아동센터. 지역아동센터는 지역 사회 아동의 보호·교육, 건전한 놀이와 오락의 제공, 보호자와 지역 사회의 연계 등 아동의 건전한 육성을 위하여 종합적인 아동 복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이다. 샘터 지역아동센터는 지역 내의 아동을 통합적으로 보호하여 아동들이 정서적 안정감을 가지고 건강하게 성장하며, 성품과 실력을 기르도록 돕기 위하여 2004년...
-
서울특별시 도봉구 창동에 있던 샘표식품의 생산 공장. 샘표식품은 1946년에 창업주 박규회(朴奎會) 사장이 현재의 서울특별시 중구 충무로 대한 극장 맞은편에 공장을 세우면서 장류 전문 제조업체로서 성장하기 시작하였다. 1959년에 도봉구 창동에 제2 공장을 건설한 이후 국내 장류 업계의 선두주자로 부상하였으며, 당시까지 각 가정에서 직접 만들어 먹던 간장을 대량 생산·유통시킴으로써...
-
서울특별시 도봉구의 동쪽 지역을 북에서 남으로 흐르는 하천. 경기도와 서울의 경계 부분은 서원천(書院川)이라 하고, 도봉구 창동 부근에서는 한천(漢川) 또는 한내라고 부른다.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 따르면 “중량포(中梁浦)는 속계(涑溪)라고도 부른다”는 기록이 있고, 『대동지지(大東地志)』에 따르면 “일명 속계라고도 하는 송계천(松溪川)이 양주...
-
서울특별시 도봉구 산지 각처에서 자라는 녹나무과의 낙엽 지는 떨기나무. 생강나무는 전국의 해발 고도 100~1,600m에서 자생한다. 서울특별시 도봉구 지역의 산지에서 흔히 볼 수 있으며, 이른 봄 노랗게 피는 꽃이 산수유와 잘 혼동되는 나무이다. 아귀나무, 동백나무, 아구사리, 개동백나무, 황매목(黃梅木), 삼첩풍(三鉆風), 동박나무라고도 한다. 높이 3~6m에 이른다. 잎은 어...
-
서울특별시 도봉구 쌍문 1동에 있는 사립 도서관. 생글작은도서관 건립은 도봉구 쌍문 1동 관내의 다양한 아이들이 함께 어울릴 수 있는 시설을 만들어 보자는 의견이 그 시작이었다. 도서관을 개관할 지역 선별은 당시 취약 계층에게만 지원하던 무상 급식 지원율이 쌍문 초등학교에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는 사실을 참고하였다. 지역 아동 센터와 함께 어려운 아이들을 위한 공부방을 만들고자 했...
-
조선 전기 도봉구 지역을 포함한 양주 일대를 관할하는 양주 목사로 재임하며 도봉 서원 설립에 공헌한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경은(景誾), 호는 서간(西澗). 효령 대군(孝寧大君) 이보(李𥙷)의 현손으로, 증조할아버지는 의성군(宜城君) 이채(李寀)이고, 할아버지는 영신수(永新守) 이이(李怡)이다. 아버지는 절충장군(折衝將軍) 증 함원군(咸原君) 이옹(李顒)이며, 어머니는...
-
서울특별시 도봉구 방학동에 세웠던 구일(具鎰) 묘표를 찬한 조선 후기 문신이자 학자. 박세당(朴世堂)[1629~1703]은 당쟁이 치열하던 당시 정치에 대해 문제의식을 표출하였으며 사회 개혁적 사상을 가지고 있었다. 특히 당대 주류 학문이던 주자학(朱子學)이나 중국 중심의 학풍에 대해 매우 비판적이었는데, 이러한 경향 때문에 노론이 집권한 후 사문난적(斯文亂賊)으로 공격받기도 하였...
-
서울특별시 도봉구 방학동에 세웠던 구일(具鎰) 묘표를 찬한 조선 후기 문신이자 학자. 박세당(朴世堂)[1629~1703]은 당쟁이 치열하던 당시 정치에 대해 문제의식을 표출하였으며 사회 개혁적 사상을 가지고 있었다. 특히 당대 주류 학문이던 주자학(朱子學)이나 중국 중심의 학풍에 대해 매우 비판적이었는데, 이러한 경향 때문에 노론이 집권한 후 사문난적(斯文亂賊)으로 공격받기도 하였...
-
1940년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동 도봉산 만월암을 중창한 불교 신도. 만월암(滿月庵)은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동 도봉산 만장봉(萬丈峰) 중턱에 자리 잡은 조그마한 사찰로서, 현재는 대한 불교 조계종 제1교구 본사 직할 사찰이다. 신라 문무왕 때 의상 대사(義湘大師)가 창건하였다는 전설이 전해지나 자세한 연혁은 알 수 없다. 예부터 만월암은 보덕굴(普德窟)이라는 수선 도량(修禪道場...
-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동에 있던 조선 시대 자연 마을. 무수울은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동 104번지에 있던 마을로 지금도 그린벨트에 위치하여 도시화 바람에 손상되지 않고 옛 풍광을 보전하고 있다. 이곳은 예전에 서낭당이 있던 마을이라 하여 서낭당이라고도 하였는데, 지금은 서낭당의 흔적조차 찾을 수 없다. 세종의 아홉째 아들 영해군(寧海君)의 묘가 무수골에 있는데, 세종이 생전에 아...
-
조선 후기 서울특별시 도봉구 방학동에 있던 이주진 묘표의 글씨를 쓴 문신이자 학자. 서명응(徐命膺)[1716~1787]은 정조가 즉위한 후 규장각의 설립과 그 편찬 사업을 실질적으로 주도한 인물로 평가된다. 본관은 달성(達成). 자는 군수(君受), 호는 보만재(保晩齋). 5대조 할아버지가 판서 서성(徐渻)이다. 고조할아버지는 서경주(徐景霌)로 선조의 첫째 옹주인 정신 옹주(貞愼翁主...
-
서울특별시 도봉구 지역에서 당선된 정치인. 서범석(徐範錫)은 1902년 서울에서 출생하여 1919년 양정 고등 보통학교 재학 중 3·1 운동에 참여하였다. 그러나 일제 말기에는 친일적인 행보를 걸었던 인물이다. 1921년 중국으로 건너가 베이징 중국 대학 정경과에서 수학하였다. 1924년부터 1931년까지 『조선 일보』·『시대 일보』·『동아 일보』 기자로 활동하였으며, 1930년...
-
조선 후기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산 일대에서 시회(詩會)를 갖고 『도봉첩(道峰帖)』을 제작한 문신. 본관은 대구(大丘). 자는 여중(汝中), 호는 심재(心齋). 고조할아버지는 영조의 장인이던 달성 부원군(達城府院君) 서종제(徐宗悌)이며, 증조할아버지는 서명백(徐命伯), 할아버지는 서신수(徐信修)이다. 아버지는 호조참판·황해도 관찰사 등을 역임한 서유녕(徐有寧)이며, 어머니는 송의손...
-
서울특별시 도봉구 창 5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가인! 가능성은 크고 높게, 인성은 넓고 깊게’라는 교육 지표 아래 꿈을 키우는 어린이, 실력을 키우는 어린이, 개성을 살리는 어린이, 소통과 배려를 하는 어린이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미래를 열어 가는 가인 어린이’이다. 2003년 12월 30일에 서울 가인 초등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았다. 2004년 3월 1일...
-
서울특별시 도봉구 창 5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가인! 가능성은 크고 높게, 인성은 넓고 깊게’라는 교육 지표 아래 꿈을 키우는 어린이, 실력을 키우는 어린이, 개성을 살리는 어린이, 소통과 배려를 하는 어린이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미래를 열어 가는 가인 어린이’이다. 2003년 12월 30일에 서울 가인 초등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았다. 2004년 3월 1일...
-
서울특별시 도봉구 창 5동 서울 가인 초등학교에 설치된 서울특별시 교육청 문자 해득 교육 프로그램. 새빛한글교실은 배움의 기회를 갖지 못해 한글을 읽고 쓰는 데 어려움을 느끼는 지역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초등 학력 인정 교육 프로그램이다. 서울특별시 도봉구의 성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문자 해득 프로그램으로, 3단계의 교육 과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새빛한글교실의 대상은 만 18세...
-
서울특별시 도봉구 창 5동 서울 가인 초등학교에 설치된 서울특별시 교육청 문자 해득 교육 프로그램. 새빛한글교실은 배움의 기회를 갖지 못해 한글을 읽고 쓰는 데 어려움을 느끼는 지역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초등 학력 인정 교육 프로그램이다. 서울특별시 도봉구의 성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문자 해득 프로그램으로, 3단계의 교육 과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새빛한글교실의 대상은 만 18세...
-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 1동에 있는 버스 운송 회사. 서울교통네트웍은 2004년 7월 1일 여객 자동차 운송 사업법 시행령 시행 규칙 및 서울시 공고 제2004-248호에 의거 서울특별시 도봉구에 설립된 법인이다. 서울교통네트웍은 2004년 7월 1일 버스 중심의 서울 교통 체계 개편 사항과 관련 도봉권역 간선 버스 운송 사업 시행사로서, ‘대시민 서비스 1위 기업’을 목표로 서울...
-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 2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실력과 창의, 인성을 갖춘 글로벌 인재 육성’이라는 교육 지표 아래 더불어 사는 예의 바른 어린이, 창의력과 특기를 지닌 슬기로운 어린이, 몸과 마음이 모두 건강한 어린이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예의 바른 어린이, 슬기로운 어린이, 꿈을 키워 가는 어린이’이다. 1993년 7월 20일에 서울 누원 국민학교로 설...
-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 2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실력과 창의, 인성을 갖춘 글로벌 인재 육성’이라는 교육 지표 아래 더불어 사는 예의 바른 어린이, 창의력과 특기를 지닌 슬기로운 어린이, 몸과 마음이 모두 건강한 어린이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예의 바른 어린이, 슬기로운 어린이, 꿈을 키워 가는 어린이’이다. 1993년 7월 20일에 서울 누원 국민학교로 설...
-
서울특별시 도봉구 창 4동에 있는, 도봉 지역의 일선 치안 업무를 관장하는 경찰 집행 기관. 서울도봉경찰서는 서울특별시 도봉구 행정 구역을 중심으로 국가의 안녕 질서와 관내 치안 유지 및 국민의 생명·재산 보호 등을 주요 업무로 하는 국가의 경찰권을 운영하는 행정 기관으로서, 민주 사회의 생존 조건이자 국가 발전과 삶의 질을 높이는 디딤돌인 질서와 안전을 선제적으로 바로잡아 도봉구...
-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 1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자연 속에서 배우고 성장하며 더불어 행복한 도봉 교육’라는 교육 지표 아래 기초가 튼튼한 학생, 자신을 사랑하는 학생, 꿈을 키우는 학생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참되고 튼튼한 어린이’이다. 1962년 12월 12일에 서울 창동 국민학교 분교로 개교하였고, 1963년 1월 1일에 행정 구역 변경으로 서울특별시로...
-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 1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자연 속에서 배우고 성장하며 더불어 행복한 도봉 교육’라는 교육 지표 아래 기초가 튼튼한 학생, 자신을 사랑하는 학생, 꿈을 키우는 학생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참되고 튼튼한 어린이’이다. 1962년 12월 12일에 서울 창동 국민학교 분교로 개교하였고, 1963년 1월 1일에 행정 구역 변경으로 서울특별시로...
-
서울특별시 도봉구 방학동에 있는 생활 협동조합. 서울동북민우회 생협은 1992년부터 서울특별시 강북구, 노원구, 도봉구 지역을 중심으로 다양한 지역 여성 운동을 펼쳐오던 서울 동북 여성 민우회의 중요 활동인 생활 협동조합 운동을 분리·독립시켜 2005년 12월 13일 창립한 생협 법인이다. 서울동북민우회 생협은 현재 4,000여 명의 조합원이 생활재 협동 소비와 함께 다양한 활동을...
-
서울특별시 도봉구 방학 3동에 있는 한국 여성 민우회의 서울 동북 지역 지부. 한국 여성 민우회는 성 평등 민주 사회와 여성 대중 운동을 지향하는 여성 운동 단체로 1987년 창립되었다. 여성이라는 이유로 차별받지 않는 사회, 여성의 인권이 존중되는 사회, 여성이 사회 모든 영역에 동등하게 참여하는 사회, 자연과 인간이 조화로운 사회를 만들어 간다는 취지로 창립하였다. 민우회의 운...
-
서울특별시 도봉구 쌍문동에 있는 사립 초등학교. 기초 학력이 충실한 어린이, 도덕성이 투철한 어린이, 창조하고 개척하는 진취적인 어린이, 몸과 마음이 깨끗한 어린이, 각자 가지고 있는 소질을 계발할 수 있는 어린이, 교내의 학습을 실제 체험할 수 있는 어린이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착하고 부지런한 사람이 되자‘이다. 1964년 4월에 학교 법인 창인 학원에서 동북...
-
서울특별시 도봉구 쌍문동에 있는 사립 초등학교. 기초 학력이 충실한 어린이, 도덕성이 투철한 어린이, 창조하고 개척하는 진취적인 어린이, 몸과 마음이 깨끗한 어린이, 각자 가지고 있는 소질을 계발할 수 있는 어린이, 교내의 학습을 실제 체험할 수 있는 어린이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착하고 부지런한 사람이 되자‘이다. 1964년 4월에 학교 법인 창인 학원에서 동북...
-
서울특별시 도봉구 방학 1동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꿈과 실력으로 행복을 실현하는 사람, 창의적이고 바른 인성을 기르는 사람, 건강하고 스스로 진로 개척을 하는 사람, 미래 사회를 선도할 사람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자립, 자각, 자제, 자중’이다. 1983년 12월 26일에 도봉 상업 고등학교로 설립 인가[36학급]를 받았다. 그해 12월 31일에 학칙이 변경되...
-
서울특별시 도봉구 방학 1동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꿈과 실력으로 행복을 실현하는 사람, 창의적이고 바른 인성을 기르는 사람, 건강하고 스스로 진로 개척을 하는 사람, 미래 사회를 선도할 사람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자립, 자각, 자제, 자중’이다. 1983년 12월 26일에 도봉 상업 고등학교로 설립 인가[36학급]를 받았다. 그해 12월 31일에 학칙이 변경되...
-
서울특별시 도봉구 방학 2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미래를 꿈꾸고, 그 꿈을 위해 실력을 갖추는 행복한 어린이’이라는 교육 지표 아래 꿈을 설계하는 어린이, 실력을 키우는 어린이, 행복을 나누는 어린이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바르게 생각하고 즐겁게 공부하며 튼튼하게 자라자’이다. 1982년 10월 7일에 서울 방학 국민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개교식을 거행하였다...
-
서울특별시 도봉구 방학 2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미래를 꿈꾸고, 그 꿈을 위해 실력을 갖추는 행복한 어린이’이라는 교육 지표 아래 꿈을 설계하는 어린이, 실력을 키우는 어린이, 행복을 나누는 어린이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바르게 생각하고 즐겁게 공부하며 튼튼하게 자라자’이다. 1982년 10월 7일에 서울 방학 국민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개교식을 거행하였다...
-
서울특별시 도봉구 쌍문 1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성실한 마음을 지닌 훈훈한 어린이, 몸과 마음이 튼튼한 어린이, 스스로 학습하는 똑똑한 어린이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착한 마음, 튼튼한 몸, 알찬 공부’이다. 1980년 5월 20일에 서울 백운 국민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았다. 그해 8월 1일에 초대 김용대 교장이 취임하였으며, 같은 해 9월 30일에 개교식을...
-
서울특별시 도봉구 쌍문 1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성실한 마음을 지닌 훈훈한 어린이, 몸과 마음이 튼튼한 어린이, 스스로 학습하는 똑똑한 어린이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착한 마음, 튼튼한 몸, 알찬 공부’이다. 1980년 5월 20일에 서울 백운 국민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았다. 그해 8월 1일에 초대 김용대 교장이 취임하였으며, 같은 해 9월 30일에 개교식을...
-
서울특별시 도봉구 지역의 고용 지원 업무를 담당하는 고용 노동부 소속의 고용 센터. 서울북부고용센터는 구직자와 기업, 그리고 지역 주민에게 취업 지원, 실업 급여 지급, 기업 지원, 직업 능력 개발 등 일자리 복지 실현을 위한 공공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70년에 노동청 서울 북부 지방 사무실이 신설됨에 따라 1998~2001년에 5개 고용...
-
서울특별시 도봉구에 있는 교육 희망 네트워크 서울 북부 지역 지부. 서울북부 교육희망네트워크는 오늘날의 대한민국 교육이 자라나는 아이들에게 꿈과 희망을 키워주는 교육이 아닌 소수 기득권자를 위한 입시 경쟁 교육이라고 판단하고 학부모와 교사 및 시민들이 모여 ‘경쟁에서 협동으로’, ‘차별에서 지원으로’를 외치며 교육에서 희망을 찾기 위해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전국적 교육 시민 모임이...
-
서울특별시 도봉구 창 5동에 있는 개신교 교회. 서울북부교회는 교리는 침례교와 가깝지만 근본적으로는 독립적인 성격을 유지하고 있는 교회이다. 1979년 12월 김종만·김운목 목사를 비롯해 정달진 등의 신도들이 모여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용두동 80-15번지에 ‘동대문 교회’를 설립하였다. 1993년 서울특별시 도봉구 창동 9-1번지 대성 빌딩 4층으로 이전하면서 명칭을 ‘서울북부교회...
-
서울특별시 도봉구 방학 1동에 있는, 보훈 업무를 담당하는 특별 지방 행정 기관. 서울북부보훈지청은 국가와 민족을 위해 희생한 위국 선열의 공적을 기리고 민족정기를 선양하기 위하여, 보훈 가족에 대한 예우와 보상을 체계적으로 제공할 것을 목적으로 1961년 8월 5일에 군사 원호청 서울 지청 서울 북부 출장소로 창설되었다. 1962년 4월 16일에 군사 원호청이 원호처로 승격·개편...
-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동에 있는 서울 고등 검찰청 산하의 지방 검찰청. 서울북부지방검찰청은 사회의 정의를 수호하고 국민의 인권을 보장하는 기관으로서, 서울특별시 북부 지방의 안전을 위하고 검찰청의 도움이 필요한 주민들에게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1974년 9월 1일에 서울 지방 검찰청 성북 지청으로 개청하였다. 1981년 2월에 서울 지방 검찰청 북부 지청으로 명칭을 변경...
-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 2동에 있는 서울 북부 지역 관할 1심 법원. 서울북부지방법원은 재판의 삼심제(三審制) 원칙에 따라 설치된 고등 법원 아래에 있는 지방 법원 중 하나로, 220만 명의 서울특별시 북부 시민들에게 친절하고 수준 높은 사법 서비스를 펼침으로써 시민의 인권과 재산을 보장하고, 나아가 법치주의를 수호하는 업무를 위해 1974년 9월 1일에 서울 민사·형사 지방 법원...
-
서울특별시 도봉구 창동에 있는 서울북부지방법원 산하의 등기소. 서울북부지방법원 도봉등기소는 서울북부지방법원이 설립한 3개 등기소[북부 등기소, 동대문 등기소, 도봉등기소] 중 하나로, 서울특별시 도봉구 창동과 도봉동, 쌍문동 등 도봉구의 전 지역과 미아동, 번동, 우이동, 수유동의 강북구 전 지역을 관할 구역으로 하여 서울북부지방법원의 등기 사무를 처리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
-
서울특별시 도봉구 창 5동에 있는, 중소 상공인들의 경영 활동을 지원하고 지역 경제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한 경제 단체. 상공 회의소란 ‘관할 구역의 상공업계를 대표하여 그 권익을 대변하고, 회원에게 기술과 정보 등을 제공하여 회원의 경제적·사회적 지위를 높임으로써 상공업의 발전을 꾀함을 목적’으로 설립된 경제 단체이다. 서울상공회의소 도봉구상공회는 서울특별시 도봉구 관내 중소 상공...
-
서울특별시 도봉구 쌍문 1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인성과 창의력을 갖추고 꿈을 향해 노력하는 건강한 어린이’라는 교육 지표 아래 스스로 생각하고 탐구하는 창의적인 어린이, 배려와 친절을 실천하는 아름다운 어린이, 자기 관리를 통해 몸과 마음이 건강한 어린이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슬기로운 어린이, 부지런한 어린이, 튼튼한 어린이’이다 1981년 6월 10일에...
-
서울특별시 도봉구 쌍문 1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인성과 창의력을 갖추고 꿈을 향해 노력하는 건강한 어린이’라는 교육 지표 아래 스스로 생각하고 탐구하는 창의적인 어린이, 배려와 친절을 실천하는 아름다운 어린이, 자기 관리를 통해 몸과 마음이 건강한 어린이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슬기로운 어린이, 부지런한 어린이, 튼튼한 어린이’이다 1981년 6월 10일에...
-
서울특별시 도봉구 창 4동에 있는 인터넷 중독 예방 및 상담 기관. 서울시립 창동 아이윌센터는 인터넷 과다 사용으로 인해 고민하는 아동·청소년 및 성인들을 대상으로 인터넷 중독 유형 및 중독 수준에 따라 개인 상담 및 심리 검사를 실시하여 인터넷 과다 사용 문제에서 벗어나도록 돕는 것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서울시립 창동 아이윌센터에서는 청소년 및 성인들의 인터넷 과다 사용을 근본...
-
서울특별시 도봉구 방학 3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남에게 피해를 주지 않는 참된 어린이, 새롭게 생각하고 탐구하는 슬기로운 어린이, 몸과 마음이 튼튼한 어린이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참되고 슬기로우며 튼튼한 어린이’이다. 1986년 1월 29일에 서울 신방학 국민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았다. 같은 해 2월 22일에 서울 도봉 국민학교에서 아동 104명을 인수하여...
-
서울특별시 도봉구 방학 3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남에게 피해를 주지 않는 참된 어린이, 새롭게 생각하고 탐구하는 슬기로운 어린이, 몸과 마음이 튼튼한 어린이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참되고 슬기로우며 튼튼한 어린이’이다. 1986년 1월 29일에 서울 신방학 국민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았다. 같은 해 2월 22일에 서울 도봉 국민학교에서 아동 104명을 인수하여...
-
서울특별시 도봉구 창 3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비전을 가지고 꿈과 희망을 이루어 가는 어린이, 건강하고 명랑하며 정직한 어린이, 창의적이고 탐구적인 어린이, 교육 복지 특별 지원 사업을 통해 꿈을 이루어 가는 어린이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건강한 어린이, 명랑한 어린이, 정직한 어린이’이다. 1970년 12월 31일에 초대 박계환 교장이 취임하였고, 1971년...
-
서울특별시 도봉구 창 3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비전을 가지고 꿈과 희망을 이루어 가는 어린이, 건강하고 명랑하며 정직한 어린이, 창의적이고 탐구적인 어린이, 교육 복지 특별 지원 사업을 통해 꿈을 이루어 가는 어린이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건강한 어린이, 명랑한 어린이, 정직한 어린이’이다. 1970년 12월 31일에 초대 박계환 교장이 취임하였고, 1971년...
-
서울특별시 도봉구 방학 3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슬기롭게 스스로 공부하는 어린이, 바르게 생활하는 어린이, 심신이 건강한 어린이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슬기롭고 참되며 힘찬 어린이’이다. 1988년 1월 9일에 서울 신학 국민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았으며, 그해 1월 21일에 초대 김영만 교장이 취임하였다. 같은 해 5월 4일에 개교식을 거행하였고, 1989년...
-
서울특별시 도봉구 방학 3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슬기롭게 스스로 공부하는 어린이, 바르게 생활하는 어린이, 심신이 건강한 어린이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슬기롭고 참되며 힘찬 어린이’이다. 1988년 1월 9일에 서울 신학 국민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았으며, 그해 1월 21일에 초대 김영만 교장이 취임하였다. 같은 해 5월 4일에 개교식을 거행하였고, 1989년...
-
서울특별시 도봉구 창 3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바른 인성을 실천하는 도덕적인 어린이, 자기 주도적인 태도를 지닌 자율적인 어린이, 탐구하며 도전하는 창의적인 어린이, 건강하고 정서가 풍부한 심미적인 어린이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바르게, 슬기롭게, 굳세게’이다. 1984년 7월 30일에 서울 신화 국민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았다. 그해 8월 1일에 초대 오이근...
-
서울특별시 도봉구 창 3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바른 인성을 실천하는 도덕적인 어린이, 자기 주도적인 태도를 지닌 자율적인 어린이, 탐구하며 도전하는 창의적인 어린이, 건강하고 정서가 풍부한 심미적인 어린이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바르게, 슬기롭게, 굳세게’이다. 1984년 7월 30일에 서울 신화 국민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았다. 그해 8월 1일에 초대 오이근...
-
서울특별시 도봉구 쌍문 1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꿈을 가꾸는 어린이, 탐구하고 생각하는 어린이, 참되고 예절 바른 어린이, 힘차고 끈기 있는 어린이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슬기롭고 성실하며 튼튼한 어린이’이다. 1972년 8월 12일에 서울 쌍문 국민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았다. 1973년 9월 1에 초대 이재근 교장이 취임하였고, 1974년 4월 30일에 43...
-
서울특별시 도봉구 쌍문 1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꿈을 가꾸는 어린이, 탐구하고 생각하는 어린이, 참되고 예절 바른 어린이, 힘차고 끈기 있는 어린이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슬기롭고 성실하며 튼튼한 어린이’이다. 1972년 8월 12일에 서울 쌍문 국민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았다. 1973년 9월 1에 초대 이재근 교장이 취임하였고, 1974년 4월 30일에 43...
-
서울특별시 도봉구 방학동에 있는 연산군과 거창 군부인 신씨의 묘. 서울 연산군 묘는 조선 제10대 왕인 연산군(燕山君)[1476~1506]과 배위(配位) 거창 군부인(居昌郡夫人) 신씨(愼氏)[1476~1537]의 무덤이다. 대군(大君)의 신분으로 강등되어 왕릉이 아닌 ‘묘’의 격식을 갖추고 있다. 넓은 영역의 가장 상단에 연산군과 거창 군부인의 묘가 쌍분으로 조성되어 있다. 바로...
-
서울특별시 도봉구 방학동에 있는 연산군과 배위 거창 군부인 신씨 묘의 석망주와 장명등. 사적 제362호인 서울 연산군 묘는 조선 제10대 왕 연산군(燕山君)[1476~1506]과 배위(配位) 거창 군부인(居昌郡夫人) 신씨(愼氏)[1476~1537]의 묘로, 석망주(石望柱)는 능묘 봉분 앞단 좌우에 배치하는 팔각 기둥형의 석물이다. 서울 연산군 묘 석망주(燕山君墓石望柱)는 한 쌍을...
-
서울특별시 도봉구 방학동에 있는 서울 연산군 묘에 조성된 문석인. 사적 제362호인 서울 연산군 묘는 조선 제10대 왕 연산군(燕山君)[1476~1506]과 배위(配位) 거창 군부인(居昌郡夫人) 신씨(愼氏)[1476~1537]의 묘이다. 묘역에 조성된 문석인(文石人)은 모두 두 쌍이다. 연산군 묘가 왕릉이 아닌 대군(大君)의 격식으로 조성되었으므로, 문석인도 왕릉에 비하여 규모가...
-
서울특별시 도봉구 방학동에 있는 연산군과 배위 거창 군부인 신씨 묘의 석망주와 장명등. 사적 제362호인 서울 연산군 묘는 조선 제10대 왕 연산군(燕山君)[1476~1506]과 배위(配位) 거창 군부인(居昌郡夫人) 신씨(愼氏)[1476~1537]의 묘로, 석망주(石望柱)는 능묘 봉분 앞단 좌우에 배치하는 팔각 기둥형의 석물이다. 서울 연산군 묘 석망주(燕山君墓石望柱)는 한 쌍을...
-
서울특별시 도봉구 창 4동에 있었던 천막식 극장. 서울 열린극장 창동은 도봉구·노원구·강북구·중랑구 등 동북부 지역의 시민들이 유익한 양질의 공연을 보다 쉽게 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건립된 천막식 극장이다. 서울 시내에만 치우친 공연장의 지역적인 차별을 극복하고자 2004년 9월 10일에 건립되었다. 서울 열린극장 창동에서는 ‘시카고’, ‘그리스’ 등의 대형 뮤지컬 공연과 ‘...
-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 1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슬기롭고 예의 바른 어린이, 꿈의 실현을 위해 자기 주도적으로 학습하는 어린이, 남을 배려할 줄 아는 인성이 바른 어린이, 맡은 바 일을 스스로 하는 어린이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지혜로운 어린이, 성실한 어린이, 건강한 어린이’이다. 2000년 3월 1일에 서울오봉초등학교[29개 학급, 1,217명]로 개교하였...
-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 1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슬기롭고 예의 바른 어린이, 꿈의 실현을 위해 자기 주도적으로 학습하는 어린이, 남을 배려할 줄 아는 인성이 바른 어린이, 맡은 바 일을 스스로 하는 어린이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지혜로운 어린이, 성실한 어린이, 건강한 어린이’이다. 2000년 3월 1일에 서울오봉초등학교[29개 학급, 1,217명]로 개교하였...
-
서울특별시 도봉구 창 4동에 있는 특수 목적 사립 고등학교. 건학 이념은 ‘기독교적 정신인 사랑과 섬기는 마음으로 끊임없이 배우고, 세상 모두를 스승으로 여기며, 시련에 굴하지 않는 강하고 담대한 인재 양성’이다. 올바른 국가관과 윤리관을 가진 학생, 민주적이며 창의적인 학생, 정직하고 근면하고 책임을 다하는 학생, 사회 및 국가의 발전에 헌신하고 국제 사회에서 활약할 수 있는 학...
-
서울특별시 도봉구 창 4동에 있는 특수 목적 사립 고등학교. 건학 이념은 ‘기독교적 정신인 사랑과 섬기는 마음으로 끊임없이 배우고, 세상 모두를 스승으로 여기며, 시련에 굴하지 않는 강하고 담대한 인재 양성’이다. 올바른 국가관과 윤리관을 가진 학생, 민주적이며 창의적인 학생, 정직하고 근면하고 책임을 다하는 학생, 사회 및 국가의 발전에 헌신하고 국제 사회에서 활약할 수 있는 학...
-
서울특별시 도봉구 창 4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튼튼한 어린이, 예의 바른 어린이, 슬기로운 어린이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나 스스로 우리 함께 늘 새롭게’이다. 1988년 9월 28일에 서울 월천 국민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았고, 그해 11월 30일에 교사 신축 공사를 준공하였다. 1989년 3월 1일에 초대 한택진 교장이 취임하였으며, 같은 해 5월 11일에...
-
서울특별시 도봉구 창 4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튼튼한 어린이, 예의 바른 어린이, 슬기로운 어린이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나 스스로 우리 함께 늘 새롭게’이다. 1988년 9월 28일에 서울 월천 국민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았고, 그해 11월 30일에 교사 신축 공사를 준공하였다. 1989년 3월 1일에 초대 한택진 교장이 취임하였으며, 같은 해 5월 11일에...
-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 1동에 있는 사립 특수 학교. 기본 생활 습관이 바른 학생, 스스로 할 수 있는 학생, 잔존 능력을 찾아 키워 가는 학생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예절, 건강, 사회 적응’이다. 1967년 12월 23일에 사회 복지 법인 인강원이 설립되었다. 초대 이사장은 구임회 박사였다. 1968년 11월 5일에 시설 인강원이 개원하였으며, 1971년 3월...
-
서울특별시 도봉구 창 4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기본이 바르고 더불어 사는 예절 바른 어린이[바른 인성 함양], 새롭게 생각하며 탐구하는 실력 있는 어린이[학력 신장], 스스로 계발하여 자랑거리가 있는 어린이[소질 적성 계발], 건강한 몸과 의지력이 강한 어린이[건강한 심신 단련]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새롭게 생각하고 바르게 생활하며 스스로 실천하자’이다. 1...
-
서울특별시 도봉구 창 4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기본이 바르고 더불어 사는 예절 바른 어린이[바른 인성 함양], 새롭게 생각하며 탐구하는 실력 있는 어린이[학력 신장], 스스로 계발하여 자랑거리가 있는 어린이[소질 적성 계발], 건강한 몸과 의지력이 강한 어린이[건강한 심신 단련]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새롭게 생각하고 바르게 생활하며 스스로 실천하자’이다. 1...
-
서울특별시 도봉구의 창동역과 쌍문역을 거쳐 서울의 동북부 지역과 남부 지역을 잇는 도시 철도. 서울 지하철 4호선은 서울특별시 노원구의 당고개역에서 도봉구의 창동역, 쌍문역을 거쳐 서초구의 남태령역을 잇고 있다. 서울 지하철 4호선에, 남태령~금정 구간의 과천선, 금정~오이도 구간의 안산선을 모두 아울러 수도권 지하철 4호선으로 부른다. 서울특별시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