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선 후기 도봉구 지역을 포함한 양주 일대를 관할하는 양주 목사를 지낸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 자는 문숙(文叔), 호는 간재(艮齋)·소릉(少陵)·파릉(巴陵)·잠와(蠶窩). 삼당시인(三唐詩人)으로 불리는 고죽(孤竹) 최경창(崔慶昌)의 5세손으로, 증조할아버지는 최집(崔潗), 할아버지는 최진해(崔振海), 아버지는 현감을 지낸 최석유(崔碩儒)이다. 어머니는 광주 김씨(光州金氏)이다...
-
윤신달을 시조로 하는 서울특별시 도봉구의 세거 성씨. 파평윤씨(坡平尹氏)의 시조 윤신달(尹莘達)은 고려 태조의 후삼국 통일을 도와 개국공신 2등에 책록되고 영평현(鈴平縣) 개국백(開國伯)에 봉해졌다. 영평은 파평(坡平)의 이칭으로 이후 후손들이 파평을 본관으로 하였다. 윤신달은 그 출신이나 근원을 명확히 알 수 없는데, 전해지는 이야기에 따르면 파주의 파평산 서쪽 기슭에 있는 용연...
-
서울특별시 도봉구에 살았던 기업가. 김연수(金䄵洙)의 본관은 울산(蔚山)이다. 전라북도 고부군에서 아버지 김경중(金暻中)과 어머니 장흥 고씨 사이에서 다섯째 아들로 태어났다. 아버지는 김연수가 어릴 때 이미 전라도를 대표하는 거부(巨富)로 성장한 대지주였다. 형인 김성수(金性洙)는 1891년에 출생해 동아 일보사와 경성 방직을 설립하였고, 중추원 참의를 지냈다. 김연수는 15세에...
-
서울특별시 도봉구 지역에서 주로 남성들이 팔의 힘을 겨루는 놀이. 팔씨름은 도봉구 지역에서 즐기던 남성들의 승부 놀이로, 두 사람이 각기 한쪽 팔꿈치를 바닥에 대고 한 손은 마주 잡아 힘껏 버티어 상대편 손등이 먼저 바닥에 닿도록 팔심을 겨루는 민속놀이이다. 팔씨름의 정확한 연원은 알 수 없다. 그러나 팔씨름이 힘을 겨루는 가장 기본적인 것으로 볼 때, 상당히 오랜 시간 동안 향유...
-
서울특별시 도봉구 지역의 어린이들이 얼음판이나 넓은 터에서 팽이를 돌리고 노는 놀이. 팽이치기는 어린이들이 주로 겨울철에 얼음판 위나 넓고 평평한 땅에서, 원뿔 모양으로 깎아 만든 팽이를 채나 손 혹은 노끈 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돌리며 즐기는 민속놀이이다. 팽이치기의 연원은 정확히 확인되지 않는다. 명확하지는 않지만 720년(성덕왕 19)에 쓰인 『일본서기(日本書紀)』에, “일본의...
-
서울특별시 도봉구 지역의 어린이들이 얼음판이나 넓은 터에서 팽이를 돌리고 노는 놀이. 팽이치기는 어린이들이 주로 겨울철에 얼음판 위나 넓고 평평한 땅에서, 원뿔 모양으로 깎아 만든 팽이를 채나 손 혹은 노끈 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돌리며 즐기는 민속놀이이다. 팽이치기의 연원은 정확히 확인되지 않는다. 명확하지는 않지만 720년(성덕왕 19)에 쓰인 『일본서기(日本書紀)』에, “일본의...
-
서울특별시 도봉구 지역의 어린이들이 얼음판이나 넓은 터에서 팽이를 돌리고 노는 놀이. 팽이치기는 어린이들이 주로 겨울철에 얼음판 위나 넓고 평평한 땅에서, 원뿔 모양으로 깎아 만든 팽이를 채나 손 혹은 노끈 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돌리며 즐기는 민속놀이이다. 팽이치기의 연원은 정확히 확인되지 않는다. 명확하지는 않지만 720년(성덕왕 19)에 쓰인 『일본서기(日本書紀)』에, “일본의...
-
서울특별시 도봉구에서 일상생활이나 작업할 때 입는 복식. 일상복이란 일상생활에서 또는 일상적으로 입는 옷을 가리키는데 도봉 지역의 복제도 한국의 전체적인 변화에 발맞추어 1960년대와 1970년대를 전후하여 크게 변화하였다. 전통 한복 중심의 복식이 남녀를 불문하고 양장 차림으로 변모하였다. 오늘날 한복을 입는 경우에도 개량된 경우가 많아 전통 복식으로 보기가 쉽지 않다. 한복은...
-
서울특별시 도봉구에서 일상생활이나 작업할 때 입는 복식. 일상복이란 일상생활에서 또는 일상적으로 입는 옷을 가리키는데 도봉 지역의 복제도 한국의 전체적인 변화에 발맞추어 1960년대와 1970년대를 전후하여 크게 변화하였다. 전통 한복 중심의 복식이 남녀를 불문하고 양장 차림으로 변모하였다. 오늘날 한복을 입는 경우에도 개량된 경우가 많아 전통 복식으로 보기가 쉽지 않다. 한복은...
-
서울특별시 도봉구에서 이루어지는 정규 학교 교육을 제외한 모든 형태의 조직적인 교육 활동. 평생교육이란 일종의 우산 개념(雨傘槪念)으로서, 가정 교육·학교 교육·사회 교육을 총체적으로 의미한다. 따라서 평생교육은 교육과 같은 의미라 할 수 있는데, 평생교육이라는 용어를 새로 사용하는 이유는 종래의 교육이 학교 본위로 이루어져 교육이란 단어가 흔히 학교 교육과 동의어로 이해되어 왔기...
-
서울특별시 도봉구 지역에서 일생을 거치면서 인생의 중요한 단계마다 지내는 의례. 평생의례는 사람이 세상에 태어나서 일생을 마칠 때까지 삶의 중요한 단계마다 치러야 하는 의식이다. 이는 ‘관례(冠禮)·혼례(婚禮)·상례(喪禮)·제례(祭禮)’가 주(主)를 이루기 때문에 ‘관혼상제(冠婚喪祭)’라고도 한다. 또한 일평생 삶의 중요한 단계마다 치러야 하기 때문에 일생 의례라고도 부르는데, 그...
-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동에 묘가 있는 조선 전기의 왕족. 본관은 전주(全州). 증조할아버지는 세종의 9남인 영해군(寧海君) 이당(李塘), 증조할머니는 신윤동(申允童)의 딸인 임천 군부인(林川君夫人) 평산 신씨(平山申氏)이다. 할아버지는 이당의 장남인 영춘군(永春君) 이인(李仁)으로, 유양(柳壤)의 딸인 광양 현부인(光陽縣夫人) 진주 유씨(晋州柳氏)와 혼인하여 완천군(完川君) 이희(...
-
서울특별시 도봉구 방학동에 있는 택시 운송 업체. 1964년 9월 1일 설립되어 운영되다가 1989년 지금의 회사 대표인 김택모 대표로 바뀌었다. 택시는 시·도별로 운송 사업 구간이 정해져 있기 때문에 서울시 택시는 서울특별시를 벗어난 다른 구역에서 영업을 하지 못한다. 다만, 서울특별시에서 손님을 태워 다른 구역으로 운행하거나 다른 구역에서 서울로 돌아오는 도중 서울행 손님을 태...
-
서울특별시 도봉구에 있는 넓은 벌판. 평야는 평지의 개념과 유사한 것으로, 낮고 평평한 넓은 땅을 가리키는 용어이다. 기복이 거의 없는 넓은 토지인 셈이다. 평야는 형성 원인에 따라 충적 평야와 침식 평야로 나뉘는데, 충적 평야는 대하천의 중하류에서 하천의 퇴적 작용에 의해 형성된 것이고, 침식 평야는 오랜 기간에 걸친 침식 작용에 의해 형성된 것이다. 우리나라의 내륙에 형성되어...
-
서울특별시 도봉구 방학동 전주 이씨 임영 대군파 오산군 묘역 내에 묘가 있는 조선 전기의 왕족. 이근(李瑾)은 전주 이씨 임영 대군파의 후손으로 세종의 증손이다. 이근의 할아버지인 임영 대군(臨瀛大君) 이구(李璆)는 세종의 넷째 아들로 슬하에 9남 2녀를 두었는데, 그 맏아들이 이근의 아버지 오산군(烏山君) 이주(李澍)[1437~1490]이다. 오산군에게는 아내가 두 명 있었는데...
-
서울특별시 도봉구 방학동에 묘소가 있는 연산군의 왕비. 본관은 거창(居昌). 신승선(愼承善)의 3남 1녀 중 막내이다. 할아버지는 황해도 관찰사를 지낸 신전(愼詮)이다. 아버지 신승선은 1468년(예종 즉위) 남이(南怡)의 옥사를 다스린 공으로 익대 공신(翊戴功臣) 3등, 1471년(성종 2)에는 성종 즉위에 공을 세워 좌리공신(佐理功臣) 3등에 녹훈된 바 있으며, 1472년 거창...
-
서울특별시 도봉구에 서식하는 포유류. 포유류는 생물 분류학상 포유동물강을 말한다. 이들은 암컷이 새끼에게 젖을 먹이며 따뜻한 피가 흐르고, 몸에 털이 나 있으며 돌출된 큰 귀와 입 안에 치아가 있는 공통점이 있다. 또한 포유류는 대부분이 야행성이며 몸을 숨기는 데 뛰어나고, 사람의 귀로 들을 수 있는 소리를 잘 내지 않기 때문에 많이 서식하고 있다 하더라도 사람의 눈에 띄는 경우는...
-
서울특별시 도봉구에서 서식하는 딱정벌레과의 곤충. 폭탄먼지벌레는 몸길이 11~18㎜이다. 몸통은 검은색이지만, 머리·가슴·다리는 노란색이다. 머리의 중앙과 앞가슴의 테두리와 딱지날개의 대부분은 검은색이다. 딱지날개에는 물결 모양의 노란색 무늬가 있다. 『조복성 곤충기』나 최기철의 『학생 동물 도보(學生動物圖譜)』[1947]란 책에서 방귀벌레라는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 그 후 여러...
-
서울특별시 도봉구 초안산에서 서식하는 멸종 위기 장지뱀과의 뱀. 도마뱀과 도마뱀붙이, 장지뱀 등 도마뱀류는 파충류 중에서 가장 잘 알려진 무리이다. 과거에는 도마뱀류를 전형적인 파충류로 생각하였기 때문에 박물학자들은 중생대의 거대한 파충류 화석이 발견되면 그것이 커다란 도마뱀일 것이라고 추측하였다. 그러나 실제로 도마뱀류는 골격의 특징이 있어서 공룡이나 다른 파충류와는 분명이 다르...
-
서울특별시 도봉구 지역에서 종이를 접어 만든 딱지로 상대방의 딱지를 치며 노는 놀이. 딱지치기는 도봉구 지역의 남자 어린이들이 일정한 크기의 종이로 만든 딱지를 땅바닥에 놓고 상대방의 딱지를 쳐서 뒤집거나 일정한 선 밖으로 나가게 하며 승부를 겨루는 민속놀이이다. 이를 때기치기, 표치기 등이라고도 한다. 딱지는 종이가 귀했던 조선 시대에는 책표지나 닥종이를 여러 겹 붙여서 딱지를...
-
서울특별시 도봉구에서 서식하는 부전나비과의 나비. 푸른부전나비는 날개 편 길이가 15~22㎜이다. 알은 도넛 모양으로 너비 0.6㎜, 높이 0.3㎜ 정도이다. 풀색을 머금은 흰색이고, 겉면에 삼각형 그물 구조가 가득하다. 1령 애벌레는 옅은 황토색이고, 2령은 밝은 밤색이 뚜렷해지다가 3·4령 애벌레가 되면 풀색이 강해진다. 머리는 검고, 몸은 방추 모양이다. 옆에서 보면 제1마디...
-
서울특별시 도봉구에서 음양오행설을 바탕으로 땅에 관한 이치를 설명하는 이론. 풍수지리의 풍수는 장풍 득수(藏風得水)의 줄임말로 인간에게 해로운 것을 피하고 인간 생활에 필수적인 물을 구하기 위해 일찍부터 사용해온 터 잡기 방법이다. 풍수지리는 음양론과 오행론을 바탕으로 주역의 체계를 주요한 논리 구조로 삼는 전통적인 지리 과학으로 추길 피흉(趨吉避凶)을 목적으로 삼는다. 풍수는 살...
-
조맹을 시조로 하고 서울특별시 도봉구에 세장지가 있는 성씨. 풍양조씨(豊壤趙氏)는 조맹(趙孟)이 시조이고 경기도 양주를 관향으로 하는데, 풍양은 양주의 옛 이름이다. 4개의 파로 이루어져 있고, 그 가운데 회양공파(淮陽公派)에서 많은 고관(高官)이 나왔다. 안동 김씨(安東金氏)와 함께 조선 후기 세도 정치기에 정권을 담당한 대표적인 가문이다. 숙종 대에 대사헌·이조판서·예조판서·우...
-
서울특별시 도봉구 방학동에 있는 조선 시대 풍양조씨 문중의 묘역. 풍양조씨(豊壤趙氏)의 관향은 경기도 양주(陽州)로, 풍양은 현재의 경기도 양주를 부르는 옛 이름이다. 풍양조씨는 안동 김씨(安東金氏)와 함께 조선 후기 세도 정치기(勢道政治期)에 정권을 담당한 대표적인 가문이다. 풍양 조씨는 4개의 파(派)로 이루어져 있고, 그 가운데 회양공파(淮陽公派)에서 많은 고관(高官)이 나왔...
-
서울특별시 도봉구 방학동의 원당 공원에 있는 우물. 원당샘은 일명 ‘피양 우물’이라고 불리었으나, 6·25 전쟁 이후 물이 잘 나오지 않자 1979년에 주민들이 우물을 가꾸고 관리하면서 현재의 명칭인 원당천(元堂泉) 또는 원당샘으로 바뀌었다. 파평 윤씨들의 집성촌 이름이 원당 마을이었기 때문에 과거의 마을 이름을 본 따 원당샘으로 부르게 된 것이다. 원당샘은 서울특별시 도봉구의 서...
-
조선 후기 도봉산과 도봉 서원을 소재로 시로 읊은 문신이자 유학자. 이항복은 오성 부원군(鰲城府院君)에 봉해졌기 때문에 오성 대감으로 불리기도 하였으며, 절친한 사이였던 이덕형(李德馨)과의 사이에 있었던 일화들로 더 잘 알려져 있다.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자상(子常), 호(號)는 필운(弼雲)·백사(白沙)·동강(東崗)·청화진인(淸化眞人). 아버지는 참찬 이몽량(李夢亮)으로 중종...
-
서울특별시 도봉구 지역의 어린이들이 얼음판이나 넓은 터에서 팽이를 돌리고 노는 놀이. 팽이치기는 어린이들이 주로 겨울철에 얼음판 위나 넓고 평평한 땅에서, 원뿔 모양으로 깎아 만든 팽이를 채나 손 혹은 노끈 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돌리며 즐기는 민속놀이이다. 팽이치기의 연원은 정확히 확인되지 않는다. 명확하지는 않지만 720년(성덕왕 19)에 쓰인 『일본서기(日本書紀)』에, “일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