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900475 |
---|---|
한자 | 李義 |
이칭/별칭 | 길안 도정(吉安都正) |
분야 |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
유형 | 인물/왕족·호족 |
지역 | 서울특별시 도봉구 |
시대 | 조선/조선 전기 |
집필자 | 김우택 |
묘소|단소 | 전주 이씨 영해군파 묘역 -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동 산81![]() |
---|---|
성격 | 왕족 |
성별 | 남 |
본관 | 전주(全州) |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동 전주 이씨 영해군파 묘역에 묘가 있는 조선 전기의 왕족.
이의(李義)는 조선 세종의 9남인 영해군(寧海君) 이당(李瑭)의 차남이다. 묘비에 따르면 여산 송씨(礪山宋氏) 송자강(宋自剛)의 딸과 청주 한씨(淸州韓氏) 한명회(韓明澮)의 딸을 배필로 맞이하였다고 한다. 이의와 한씨 사이에서 은계군(銀溪君) 이말숙(李末叔)이, 송씨와의 사이에서 시산군(詩山君) 이정숙(李正叔)이 태어났다. 그 외에도 청화 수(淸化守) 이창숙(李昌叔), 송계군(松溪君) 및 황진이와의 일화로 유명한 벽계 도정(碧溪都正)[일명 벽계수] 이종숙(李終叔), 그리고 옥계군(玉溪君)을 아들로 두었다.
이의의 활동상에 대해서는 남아 있는 기록을 찾기 어렵다. 중종 대의 실록 기사에서 신복의(辛服義)의 역모 사건과 관련하여 조사를 받았던 ‘길안 정(吉安正)’이 그가 아닌가 추정된다. 묘비에 따르면 이의는 ‘증 명선대부 길안 도정 행 창선대부 길안 정(贈明善大夫吉安都正行彰善大夫吉安正)’이라 되어 있어, 그의 추증 사실을 볼 수 있다. 손자인 이휘(李徽)의 묘갈명에 따르면 임진왜란 당시 이휘가 세운 공으로 3대가 추증되었다고 한다. 한편 아들 이말숙의 묘갈명에서 이말숙이 아직 어렸을 때 아버지와 사별했다고 한 것으로 보아, 이의는 비교적 이른 나이에 사망한 것으로 짐작된다.
이의의 묘소는 현재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동 산81번지 일원의 전주 이씨 영해군파 묘역에 위치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