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901704 |
---|---|
한자 | 道峯書院記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
유형 | 작품/문학 작품 |
지역 | 서울특별시 도봉구 |
시대 | 조선/조선 전기 |
집필자 | 구본현 |
저자 생년 시기/일시 | 1536년 - 「도봉서원기」 저자 이이 출생 |
---|---|
저술|창작|발표 시기/일시 | 1579년 - 「도봉서원기」 창작 |
저자 몰년 시기/일시 | 1584년 - 「도봉서원기」 저자 이이 사망 |
편찬|간행 시기/일시 | 1814년 - 「도봉서원기」가 수록된 『율곡전서』 간행 |
배경 지역 | 도봉서원 -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동 |
성격 | 기문 |
작가 | 이이 |
[정의]
1579년 무렵 이이가 도봉서원이 건립된 경위에 대해 쓴 기문.
[개설]
「도봉서원기(道峯書院記)」는 율곡(栗谷) 이이(李珥)[1536~1584]가 도봉서원이 건립된 경위는 물론 서원(書院)의 규약과 건립 비용 등에 대해 비교적 자세히 언급하고 있는 기문(記文)이다. 「도봉서원기」는 이이의 시문집 『율곡전서(栗谷全書)』 권13에 수록되어 있다.
이이의 자는 숙헌(叔獻), 호는 율곡·석담(石潭)·우재(愚齋) 등이며, 본관은 덕수(德水)이다. 23세에 별시에서 「천도책(天道策)」으로 장원 급제하였고, 아홉 차례의 과거에 모두 장원하여 ‘구도 장원공(九度壯元公)’이라 일컬어졌다. 이조 판서 등의 벼슬을 지냈으며, 학덕으로 문묘에 배향되었다. 시호는 문성(文成)이다.
[구성]
도봉서원의 위치, 도봉서원이 건립된 자세한 내막, 정암(靜菴) 조광조(趙光祖)[1482~1519]가 우리나라 성리학사에서 차지하는 위상, 서원의 규약과 건립 비용의 충당 사실 등에 대해 차례로 언급하고 있다.
[내용]
서원을 건립하는 이유는 선현의 덕을 높이고 많은 선비들이 그 선현과 같이 되기를 희망하는 뜻을 흥기시키기 위해서이다. 정암 선생의 본관은 한산(漢山)인데, 한산은 본래 양주(楊州) 지역이었으나 지금은 도성으로 편입되었다. 양주읍 남쪽으로 12㎞[30리] 되는 곳에 도봉산(道峯山)이 있고 거기에 영국동(寧國洞)이 있는데, 옛날에 영국사(寧國寺)가 있다가 지금 절은 없어지고 동의 이름만 그대로 전해진다. 선생이 소시(少時)에 이곳을 좋아하여 자주 다녔고, 조정(朝廷)에 있을 때도 공무가 끝나는 틈을 타 이곳을 찾아 노닐었다. 1573년에 양주 목사 남언경(南彦經)이 시골 선비들의 중지를 모아 옛 절터에 사우를 건립하고, 이어 서원을 세워 이듬해 여름에 사우와 서원이 완공되었다.
사우는 북쪽에 위치하여 동재(東齋)와 서재(西齋)로 보조 건물을 삼았고, 서원은 남쪽에, 강당은 가운데에 설치하였다. 대강의 공사가 완공되었는데 남언경이 병으로 벼슬을 그만두어 후임으로 온 목사 이제민(李齊閔)[1528~1608] 등이 사업을 계승하여 1579년 봄에 비로소 모든 것이 갖추어지게 되었다. 서원의 유생 안창(安昶)[1549~?]이 많은 선비들의 소청(訴請)을 받아 나에게 기문을 청하였다.
우리나라가 본래 문헌(文獻)의 나라로 일컬어지고 있기는 하나 고려 이전에는 성리(性理)에 관한 담론은 전연 들을 수 없다가 그 말엽에 와서 포은(圃隱) 정몽주(鄭夢周)[1337~1392]가 비로소 이학(理學)의 시조로 일컬어지게 되었다. 그러나 그 언론과 풍지(風旨)는 상세히 알 수 없었는데, 조선조에 들어서 오직 우리 정암 선생만이 그 단서를 얻어 선비의 기풍(氣風)이 크게 다르게 되었다. 이 서원에 기거하는 후학이 진실로 세속의 풍습을 일체 제거하고 한결같이 거경(居敬)·궁리(窮理)·역행(力行)하는 것으로 쉬지 않고 공부한다면 선생의 은혜에 능히 보답하는 것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서원의 규약은 제생(諸生)들이 부제학(副提學) 허엽(許曄)[1517~1580]에게 품의하여 정하였다. 이 공사에 사문(斯文)의 선후배가 다 함께 비용을 도왔지만 허엽이 특히 앞장섰고, 그 밖에 우참찬(右參贊) 백인걸(白仁傑)[1497~1579]과 이조 참판(吏曹參判) 박소립(朴素立)[1514~1582]의 공 또한 다른 사람보다 각별하다 할 것이다.
[특징]
일반적인 누정 사찰 기문에서 볼 수 있듯이 「도봉 서원기」 또한 서원의 건립 경위, 건립에 기여한 이들에 대한 언급을 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도봉서원기」는 도봉서원이 건립된 경위는 물론 서원의 규약과 공사 비용 충당 등에 대해 언급하고 있어 도봉서원의 건립 과정 및 그에 기여한 이들의 면모를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