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도봉구문화대전 > 도봉구향토문화백과 > 삶의 주체(성씨·인물) > 근현대 인물 > 독립 운동가
-
서울특별시 도봉구에 거주하였던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 김경윤(金景潤)[1928~1997]은 1928년 3월 14일 출생하였고, 본적은 평안북도 신의주이다. 주요 활동 지역은 중국 푸양[阜陽]이다. 1942년 산둥 성[山東省] 칭다오 학원[靑島學院] 상업 학교 3학년을 중퇴하고 베이징[北京]으로 탈출하였다. 1937년 중일 전쟁에 이어 1941년에 태평양 전쟁이 발발해 일제의 패망...
-
일제 강점기 서울특별시 도봉구 출신의 독립운동가. 김동호(金東鎬)[1919~1982]는 1919년 9월 18일 경기도 양주군 노해면 도봉리 401번지[현 서울특별시 도봉구]에서 태어났다. 1938년 봄 일본 오카야마[岡山] 시에 있는 제6고등학교 2학년에 재학 중 동기생 여운창(呂運昌) 등 8인과 함께 친목회를 조직하였다. 처음에는 상호 친목을 목적으로 하는 단체였다. 그러나 중일...
-
근현대 시기 서울특별시 도봉구 창동에 거주하며 활동했던 독립운동가이자 법조인, 정치가. 김병로(金炳魯)는 일제 강점기에는 항일 변호사로 독립운동 관련 사건들의 변론에 주력했고, 광복 후에는 초대와 2대 대법원장을 역임하며 사법권의 독립을 위해 진력했던 법조인이자 정치가이다. 본관은 울산. 호는 가인(街人). 1887년 12월 15일 전라북도 순창군 복흥면 하리에서 아버지 김상희(金...
-
일제 강점기 서울특별시 도봉구 창동에서 활동한 독립운동가이자 정치인. 호는 산초(山草). 부인은 1930년 문단에 데뷔한 이래 「함성」, 「창백한 안개」, 「벽오동 심은 뜻은」, 「민비」, 「낙화암」, 「이조의 여인들」 등을 발표한 소설가 장덕조(張德祚)이다. 슬하에 3남 3녀를 두었다. 1. 일제 강점기 박명환(朴明煥)[?~1970]의 활동은 크게 일제 강점기와 해방 후로 나뉜다...
-
일제 강점기 서울특별시 도봉구 창동에서 활동한 독립운동가이며 언론인이자 정치인. 본관은 신평(新平)[충청남도 당진시]. 호는 고하(古下). 어릴 때 이름은 옥윤(玉潤)이다. 조선 태종(太宗) 때 문신으로 전라남도 담양군에 은거한 송희경(宋希璟)의 19세손이다. 아버지는 송훈(宋壎)이고, 어머니는 남원 양씨이다. 9남매 가운데 다섯째로 태어났다. 형제로는 3명의 형과 1명의 누나,...
-
개항기 서울특별시 도봉구 출신의 의병. 1905년 을사조약이 체결되면서 한국이 식민지로 전락하게 될 위기에 처하게 되자, 각지에서 국가의 자주권을 회복하기 위해 의병이 일어났다. 의병 봉기는 1895년 명성 황후 시해와 단발령에 의해 일어난 을미 의병과 마찬가지로 최익현(崔益鉉), 기정진(奇正鎭), 허위(許蔿) 등 저명한 유생들에 의해서 촉발되었다. 하지만 이들 유생들은 국왕의 군...
-
일제 강점기 서울특별시 도봉구 쌍문동 출신의 독립운동가. 이석린(李錫麟)은 1914년 2월 경기도 양주군 노해면 쌍문리[현 서울특별시 도봉구 쌍문동]에서 태어났다. 1936년경 조선어 학회(朝鮮語學會)에 가입하여 기관지인 『한글』의 편집을 맡아 하였다. 조선어 학회는 1931년 조선 어문의 연구와 통일을 체계화·조직화하기 위해 기존의 조선어 연구회(朝鮮語硏究會)를 개칭하여 만든 단...
-
일제 강점기 서울특별시 도봉구 창동에서 활동한 공산주의 운동가. 아버지는 이각범(李珏範)이고, 어머니는 이씨이다. 이각범은 함경남도 삼수군 별동면사무소의 고원(雇員)과 삼수군청의 서기 등을 전전하다가 이재유가 20살인 1924년에 사망하였다. 어머니 이씨는 이재유가 3살 때 병사하였다. 이재유는 할아버지 이계남(李啓南)과 할머니 이씨와 같이 살았다. 1. 유년기-청소년기 이재유(李...
-
일제 강점기 현재의 서울특별시 도봉구 창동에 은거한 독립운동가이자 국학 연구자. 본관은 동래(東萊). 자는 경업(經業), 호는 위당(爲堂)·담원(薝園)·미소산인(薇蘇山人). 어릴 때 이름은 정경시였으며, 조선 명종 대 대제학 정유길(鄭惟吉)의 자손으로서 증조할아버지는 철종 대 영의정을 지낸 정원용(鄭元容)이다. 아버지는 장례원 부경(掌隷院副卿), 호조참판(戶曹參判)을 역임한 정은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