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삼가 우재 송선생께서 도봉서원에 제하신 운에 차하다」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901735
한자 -尤齋宋先生-道峯書院-韻-次-
이칭/별칭 「경차우재송선생 시렬 제도봉운 계축(敬次尤齋宋先生 時烈 題道峰韻 癸丑)」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유형 작품/문학 작품
지역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동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안정심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저자 생년 시기/일시 1651년 - 「삼가 우재 송선생께서 도봉서원에 제하신 운에 차하다」 저자 김창협 출생
저술|창작|발표 시기/일시 1673년연표보기 - 「삼가 우재 송선생께서 도봉서원에 제하신 운에 차하다」 창작
저자 몰년 시기/일시 1708년 - 「삼가 우재 송선생께서 도봉서원에 제하신 운에 차하다」 저자 김창협 사망
편찬|간행 시기/일시 1709년 - 「삼가 우재 송선생께서 도봉서원에 제하신 운에 차하다」가 수록된 『농암집(農巖集)』 간행
배경 지역 도봉서원 -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동지도보기
성격 한시|칠언 절구
작가 김창협(金昌協)[1651~1708]

[정의]

1673년 우암 송시열「제도봉서원」을 차운하여 농암 김창협이 지은 칠언 절구의 한시.

[개설]

도봉서원(道峯書院)은 1573년(선조 6년)에 조광조(趙光祖)를 기리기 위해서, 조광조가 자주 찾았던 도봉산 자락의 영국사(寧國寺) 터에 설립한 서원으로, 설립과 동시에 사액(賜額)되었다. 우암(尤庵) 송시열(宋時烈)의 경우 도봉 서원에 머물며 강학을 한 인연으로 1696년(숙종 22)에 병향되었는데, 1723년(경종 3)에 출향되었다가 1725년(영조 1)에 다시 배향되었다.

송시열은 1673년(현종 14) 영릉(寧陵)[효종릉(孝宗陵)]의 천릉도감 지문제술관(遷陵都監誌文製述官)이 되어 상경하여 도봉산 산행을 하였는데, 「제도봉서원(題道峯書院)」은 이 무렵 지은 시로 여겨진다. 송시열의 시는 『송자대전(宋子大全)』 권2에 나오는데 다음과 같다. “창애삭립동문개, 간수잔원기곡회, 요순군민당세지, 묘전공유후인래(蒼崖削立洞門開, 澗水潺湲幾曲廻, 堯舜君民當世志, 廟前空有後人來).” 농암(農巖) 김창협(金昌協)[1651~1708]의 「삼가 우재 송선생께서 도봉서원에 제하신 운에 차하다」송시열이 지은 「제도봉서원」의 운자인 ‘개(開)’, ‘회(廻)’, ‘내(來)’를 차운한 것이다.

[구성]

「삼가 우재 송 선생께서 도봉서원에 제하신 운에 차하다」는 4구의 칠언 절구이다. 1구와 2구는 실제 도봉산 계곡 옆에 위치한 도봉서원의 풍경을 묘사하고 있으며, 3구와 4구에서는 도봉서원의 옛 터인 영국사에서 공부에 전념하던 조광조를 임금이 불러서 정계로 나아가게 된 것에 대한 애석함을 표현하였다.

[내용]

空山肅肅廟門開(공산숙숙묘문개)[텅 빈 산에 엄숙한 사당문이 열렸는데]

碧石淸泉左右迴(벽석청천좌우회)[푸른 바위 맑은 개울 좌우에 감아 돈다]

可惜當年丘壑志(가석당년구학지)[애석할손 그 당시 님이 지닌 구학의 뜻]

君王不放此間來(군왕불방차간내)[여기 와서 지킴을 임금 아니 허여했지]

[특징]

운자는 ‘회(灰)’ 운의 ‘개(開)’[1구], ‘회(廻)’[2구], ‘내(來)’[4구]이다.

[의의와 평가]

『농암집(農巖集)』 「연보」에 따르면 김창협은 1674년(현종 15) 6월에 송시열을 모시고 신륵사(神勒寺)에서 강학을 하고, 그해 8월에는 수원에서 배알하였다고 한다. 「삼가 우재 송선생께서 도봉서원에 제하신 운에 차하다」는 한 해 전인 1673년에 지어진 시로, 당시 학자들 사이에서 추앙받던 송시열의 시를 차운하여 옛날 공부에 전념하던 조광조가 왕명으로 정계에 나갔던 일에 대한 애석함을 담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