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900649 |
---|---|
한자 | 具志禎 |
이칭/별칭 | 지숙(志叔) |
분야 |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
유형 | 인물/문무 관인 |
지역 | 서울특별시 도봉구 방학동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양혜원 |
조선 후기 서울특별시 도봉구 출신의 문신이자 시인.
본관은 능성(綾城). 자는 지숙(志叔). 고조할아버지는 좌찬성 능안 부원군(綾安府院君) 구사맹(具思孟)으로, 딸이 인조의 어머니인 인헌 왕후(仁獻王后)이다. 증조할아버지는 구굉(具宏)이고, 할아버지는 구인기(具仁墍)이다. 아버지는 숙종 대 한성부 판윤 겸 총융사·지돈령부사 등을 지낸 구일(具鎰)로, 구지정(具志禎)[1647~1713]은 세 아들 중 둘째이다. 부인은 이지무(李枝茂)의 딸이다.
구지정은 1666년(현종 7) 식년 진사시 3등으로 급제하였다. 1689년(숙종 15) 기사환국(己巳換局)으로 아버지 구일은 탄핵을 받고 삭직되었고, 구지정 역시 나라를 원망하는 말을 많이 하고 상중에 음비(陰祕)한다는 등의 구실로 귀양을 갔다가 3년 뒤 복직하였다. 1697년(숙종 23) 영의정 남구만(南九萬)과 여러 재상이 추천한 인물들이 서용될 때 조상우(趙相愚)의 추천으로 음관(蔭官)을 받았고, 이후 공주 목사와 황주 목사 등을 역임하였다.
1695년(숙종 21) 아버지가 사망하자 양주의 선영[현 서울특별시 도봉구 방학동]에 장사지내고 1702년(숙종 28)에 묘표를 세웠다. 구일 묘표는 박세당(朴世堂)[1629~1703]이 글을 짓고 구지정이 글씨를 썼다. 구일 묘는 남양주시 금곡동 군장리 산93번지에 있으며, 일본 교토 대학교[京都大學校]에 탁본이 소장되어 있다.
구지정이 지은 몇 편의 시조가 『해동가요(海東歌謠)』와 『청구영언(靑丘永言)』에 실려 있다. 주로 안빈낙도(安貧樂道)를 노래하며 당시 정치의 부패상을 풍자하는 내용들인데, 대표적으로 「쥐 찬 소로기들아」가 많이 알려져 있다. 전문은 다음과 같다.
“쥐 찬 쇼로기들아 ㅣ브로롸 쟈랑 마라./ 청강(清江) 여왼 학(鶴)이 주리다 부를소냐./ 내 몸이 한가(閑暇)야마 못진들 엇리”
묘는 경기도 남양주시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