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도봉산을 통해 본 근현대 한국 미술사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900013
분야 문화·교육/문화·예술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기획)
지역 서울특별시 도봉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현숙

[개설]

도봉산(道峰山)은 서울의 북동쪽 끝인 도봉구와 경기도 의정부시 및 양주시에 걸쳐 있는 산이다. 우이령(牛耳嶺)을 경계로 북한산(北漢山)과 접하고 있어 북한산 국립 공원에 속한다. 산 전체가 하나의 커다란 화강암 덩어리로 이루어진 것 같은 암산으로 주봉인 자운봉(紫雲峰)에서 남쪽으로 만장봉(萬丈峰)선인봉(仙人峰)이, 서쪽으로 오봉(五峰)이 있고 도봉 계곡, 송추 계곡, 망월사 계곡 등 수려한 계곡이 곳곳에 포치되어 있다. 조선 시대에는 한양에서 멀지 않으면서도 인적이 드물고 산천이 수려하여 문인 처사들의 별장과 은거지가 많았고, 1920년대 이후에는 도심의 철거민들이나 지방에서 상경한 이주민들의 주거지로 변화하였다.

수도 서울의 복잡한 환경 속에 웅장한 암봉의 능선이 펼쳐진 도봉산이 있어 서울 시민들은 마음만 먹으면 쉽게 도봉산을 볼 수 있고 등반도 가능하다. 미술인들 중에도 이러한 특혜를 기꺼이 누린 사람들이 적지 않다. 그런데 도봉산북한산 국립 공원에 포함되어 있다는 사실에서 알 수 있듯이 도봉산북한산 자락과 연이어진 형상으로 포착되기가 십상이다. 따라서 북한산도봉산이 이어진 산등성이를 바라보고 살며 작업했던 미술가들에게 북한산, 도봉산을 명확하게 구획 짓는 것은 무의미하며 오히려 혼란을 야기할 우려가 크다. 이들이 바라본 산은 북한산도봉산이 연이은 산줄기였기 때문이다.

[도봉산을 바라보며 작업하였던 미술인들]

집값이 저렴하고 풍치가 좋은 서울의 동북 지역, 특히 수유리와 창동 지역에 거주하거나 작업을 했던 미술가들이 상당수에 달하는데, 그들 중 대표적인 미술가로는 한국화가 박생광(朴生光)[1904~1985]과 판화가 오윤(吳潤)[1946~1986]을 꼽을 수 있다. 박생광이 수유리로 이사한 해는 67세 때인 1971년이다. 이후 1973년에서 1977년까지 일본으로 건너가 활동하였던 기간을 제외하고는 1985년에 사망할 때까지 수유리 4·19 묘지 뒤쪽 국민 주택에 거주하며 작업하였다. 오윤은 부산에서 출생하였으나 9세에 가족이 서울로 이주하여, 처음에는 성북구 돈암동 신흥사 배밭골에서 살다가 고등학교 시절에 쌍문동으로 이주하였으며, 1975년경부터 수유동 가오리 작업실에서 작업하다가 1986년에 누나 집인 쌍문동에서 작고하였다. 어린 시절부터 도봉산북한산 줄기가 보이는 곳에서 거주하였던 셈이다.

박생광오윤은 1980년대 전반기에 최고 절정기에 값하는 작품을 수유리에서 산출하였다. 이 시기의 작품으로 박생광은 수묵화 일색의 동양 화단에 채색화 바람을 일으켰고, 오윤은 단색화 일색의 서양 화단에 민중 판화 운동을 개시하였다. 박생광오윤이 모두 민속적·민중적 작품 세계를 지향하였다는 점에서 서울 동북 지역의 문화적 정체성과 상통점을 발견할 수도 있다. 이 지역과 관련이 있는 조선 시대 인물로는 조광조(趙光祖), 유희경(劉希慶), 김시습(金時習), 박세당(朴世堂) 등이 있고, 근현대기에는 벽초(碧初) 홍명희(洪命熹), 정인보(鄭寅普), 송진우, 함석헌(咸錫憲), 문익환, 시인 김수영(金洙暎) 등을 들 수 있는데, 대체로 기백이 높고 개혁적이고 민중적인 성향이 짙은 인사들이다. 한국 근대화의 주인공들이 시골에서 이주한 노동자였고, 이주자들의 생활 무대를 대표하는 지역이 바로 서울 동북 지역인 것처럼 주류에의 함몰을 거부하고 민속과 민중 속에서 역동적인 미를 찾았던 박생광오윤이 서울 동북 지역에 살며, 작업을 했다는 점은 흥미로운 사실이다.

박생광오윤북한산도봉산의 정기를 받으며 불세출의 걸작을 산출하였다고 하더라도 산을 소재로 삼거나 그림의 배경으로 구체화시키지는 않았다. 다만 박생광은 「청담수행상」[1981]을 그리면서 청담이 주지로 있던 삼각산 도선사의 석불전 7층 석탑을 그려 넣었고, 오윤은 수유동 가오리와 삼양동 일대의 막노동꾼들을 소재로 한 그림을 많이 그렸다. 도봉산을 소재로 한 그림을 많이 제작한 화가로는 박고석(朴古石)이 대표적이다. 박고석은 도봉산의 사계절을 즐겨 화폭에 담았는데, 유화뿐 아니라 스케치와 석판화를 포함, 수십 점의 도봉산 그림을 남겼다. 그 외에 천칠봉(千七峰), 전광웅, 김영교 등이 도봉산 풍경을 그렸는데, 작품 수는 각 1~2 점에 불과하다.

[도봉산을 소재로 그린 그림]

1. 고희동(高羲東)「춘산람취도(春山嵐翠圖)」[1954]

도봉산을 소재로 한 것이 확실하게 밝혀진 20세기의 그림 중에서 가장 연대가 오래된 것은 현재까지 확인 된 바에 의하면 1954년에 고희동이 그린 「춘산람취도」이다. 1954년 음력 4월 4일경 69세의 작가는 동문[동소문으로 추측됨] 밖에 산책을 나갔다가 봄날 신록으로 눈부신 북한산도봉산 연봉을 보았다. 파노라마처럼 펼쳐진 청량하고 환상적인 산의 자태에 감탄한 작가는 돌아와서 그 감동을 푸른 색조의 즉흥적 필치로 표현하였다. 노년의 원숙한 경지에서 득의를 얻은 작품이다.

2. 문학진(文學晋)의 「103위 순교 복자 성화(103位殉敎福者聖畵)」[1977]

천주교 박해로 순교한 성인 103위를 그린 성화이다. 도봉산의 험준한 산세가 배경으로 펼쳐진 가운데 천국을 기다리는 순교자들이 시대와 신분에 따라 각기 다른 모습으로 묘사되었다. 이 그림에서 주목되는 부분은 한국적 주체성을 살리기 위해서 김대건(金大建) 신부를 중앙에, 서양인 앵베르(Laurent Joseph Marie Imbert) 주교를 측면에 위치시킨 점과 함께 박해를 피해 심산유곡에 교우촌을 이루고 신앙생활을 했던 한국 천주교사의 상징 공간으로 도봉산이 선택되었다는 점이다.

3. 박고석의 「도봉산」[1970년대]

1950년대 중반경부터 북한산도봉산이 보이는 정릉에 터를 잡고 호젓한 산중 생활을 즐겼던 박고석은 1968년부터 본격적으로 산행을 시작하여 도봉산의 능선과 계곡을 몸으로 익혔다. 1970년부터 ‘산’ 시리즈 작품이 개막하게 되고 ‘산의 화가’라는 별칭을 얻게 된 것은 전문 산악인에 가까운 산행과 관련이 깊다. 박고석은 도봉산을 오르내리며 느낀 감흥을 빠른 필선과 경쾌한 터치로 작품에 담아냈다.

4. 천칠봉「도봉산록(道峯山麓)」

녹음이 우거진 도봉산의 웅대한 기품과 산록의 맑고 고요한 풍경을 세밀하게 재현한 그림으로 천칠봉 화풍의 전형을 볼 수 있다. 전경에는 계곡과 오솔길이, 중경에는 나무숲이, 원경에는 뾰족한 도봉산 봉우리들이 병풍처럼 펼쳐지고 오봉이 중앙 부분에 포치되었다. 근경의 중앙 지점에서 화면 앞으로 계곡이 흐르고 멀리 도봉산 봉우리들이 웅장하게 펼쳐지는 안정된 구성 및 포치는 1970년대 중반경 천칠봉 풍경화의 전형적인 유형이다.

[도봉산 그림의 민중성]

서울 외곽에 위치한 도봉산은 태산준령(泰山峻嶺)은 아니지만 웅대한 산세와 맑고 고요한 산록을 품고 있다. 박고석은 도봉산을 오르면서 체험한 숭고함과 도봉산의 기상을 경쾌한 필치로 표출하였다. 한편 조선 시대 이래로 개혁적·민중적 성향의 인사들이 도봉산 일대에 많이 거주하였다는 점에 주목한다면 박생광오윤을 동북 지역의 민중적이고 개혁적인 문화적 특성을 계승한 문화인으로 꼽는 것이 가능하다. 한국 천주교 순교자들을 그린 「103위 순교 복자 성화」의 공간 배경으로 도봉산이 채택된 것도 박해를 피하기 위해 성인들이 깊은 산속에서 숨어 지낸 사실을 암시하는 동시에 성인들의 순박한 민중성이 도봉산과 어울리기 때문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