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 1동 천축사에 있는 조선 후기 불단. 천축사 목조불단은 문정 왕후(文定王后)[1501~1565]의 하사품으로 알려져 있으며, 화류 용상(樺榴龍床)이라고도 불린다. 2014년 9월 25일 서울특별시 유형 문화재 제366호로 지정되었다. 천축사 목조불단은 하대·중대·상대로 나누어진 큰 다리를 가진 탁자 모양으로, 높이 92.5㎝, 가로 312㎝, 폭 141㎝의...
불상
-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동 도봉사에 있다가 한국 불교 미술 박물관으로 옮긴 철불좌상. 도봉사 철불좌상(道峰寺鐵佛坐像)은 일제 강점기[1937년경]에 일본인이 소장하고 있었다. 광복 이후 서울특별시 종로구 청운동에 있는 자명사에 옮겨졌다가 자명사 철거 이후에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동 도봉사로 이전, 봉안되었다. 2002년 8월 16일 서울특별시 유형 문화재 제151호로 지정된 이후에...
-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동 만월암에 있는 조선 후기의 석불좌상. 만월암 석불좌상(滿月庵石佛坐像)은 만월암의 석굴 법당인 만월보전에 안치되어 있다. 삼존불 형식을 취하여 왼쪽에 관음보살상, 오른쪽에 지장보살상이 협시한 본존불이다. 사람의 키에 가까운 높이의 석조불이다. 머리에 중계주(中髻珠)와 정상계주(頂上髻珠)가 새겨져 있고, 둥근 얼굴에 자비로운 상호(相好)이다. 오른쪽 어깨에는...
-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동 천축사에 있는 조선 후기의 목조석가삼존불상. 천축사 목조석가삼존불상(天竺寺木造釋迦三尊佛像)은 미륵보살(彌勒菩薩)·석가모니불·제화갈라보살(提華褐羅菩薩) 삼존불을 나무로 조각하고 외부를 금으로 도금한 목조불 좌상이다. 조선 시대 16세기 후반~17세기 전반의 전형적인 불상 양식을 잘 보여 주고 있으며, 현재 천축사 대웅전에 봉안되어 있다. 최근 석가모니불 좌상...
불화
-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 1동 도봉사에 있는 개항기 불화. 「도봉사 치성광여래삼존도」는 치성광 여래의 좌우에 일광보살과 월광보살이 시립한 간략한 삼존 형식으로 1868년 관허당(寬虛堂) 의관(宜官)이 수화승으로 다른 두 명의 화승과 함께 조성한 불화이다. 화기에는 “취정산 〇〇사 내원암(取頂山〇〇寺內院庵)”에 봉안되었다고 하는데, 사찰의 이름은 알 수 없으나 취정산이 대구광역시 가창...
-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동 천축사에 소장되어 있는 개항기의 비로자나 삼신불화. 「천축사 비로나자 삼신불도(天竺寺毘盧舍那三神佛圖)」는 1891년 경선당(慶船堂) 응석(應釋), 환감(幻鑑), 혜조(慧照), 경림(璟林), 탄인(呑仁), 창오(昌悟) 등 여러 명의 화승이 공동으로 그린 그림이다. 이들 중 수화승은 편수(片手) 역할을 맡았던 응석이었으며, 「천축사 비로나자 삼신불도」 외에 천...
-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동 천축사에 소장되어 있는 조선 후기 비로자나 삼신 괘불 그림. 「천축사 비로자나 삼신 괘불도(天竺寺毘盧舍那三神掛佛圖)」는 비로자나불·석가모니불·노사나불 세 명의 여래를 한 폭에 그린 그림으로 법당에 봉안되었던 것이 아니라 사찰의 행사 때에 야외에 걸어둔 괘불이다. 하운당(河雲堂) 유경(有鏡)과 창엽(瑲曄), 총지, 봉조(奉祚), 총륜이 1858년 공동으로 제...
서화·서첩
-
조선 후기의 선비 화가 이인상이 도봉산을 유람하고 그린 진경 산수화. 「도봉계류도(道峯 溪流圖)」는 조선 후기의 화가 이인상(李麟祥)[1710~1760]이 지난 날 절친한 벗 이윤영(李胤永)[1714~1759]과 도봉산(道峰山)에 있던 민문흔(閔文欣)의 거처를 방문하고 진경을 그렸던 것을 회고하는 내용의 화제(畵題)를 특유의 서체로 기록한 작품이다. 이인상은 조선 후기의 대표적인...
-
조선 후기 도봉서원을 소재로 심사정이 그린 것으로 추정되는 진경 산수화. 「도봉서원도(道峰書院圖)」는 도봉서원(道峯書院)을 제재로 그린 진경 산수화로, 화가는 확실치 않지만 선비 화가 심사정(沈師正)[1707~1769]의 작품으로 추측되고 있다. 도봉산(道峰山) 계곡에 위치한 도봉서원은 1573년에 조광조(趙光祖)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였으며, 서울의 관료는 물론이고...
-
조선 후기 겸재 정선이 도봉서원을 개성적인 화풍으로 그린 진경 산수화. 도봉서원(道峯書院)은 정암(靜庵) 조광조(趙光祖)와 우암(尤庵) 송시열(宋時烈)을 배향한 서원으로 도봉산(道峰山)의 우이동 계곡에 위치하고 있다. 「도봉서원도(道峰書院圖)」를 그린 정선(鄭敾)[1676~1759]의 본관은 광산(光山), 자는 원백(元伯), 호는 겸재(謙齋) 또는 난곡(蘭谷)이다. 몰락한 양반가에...
-
조선 후기 화가 이인문이 도봉산 계곡 안에 있는 원장의 풍경을 그린 진경 산수화. 「도봉원장(道峰苑莊)」은 18세기 후반 산수화가로서 이름이 높았던 이인문(李寅文)[1745~1821]이 그린 진경 산수화이다. 이인문의 본관은 해주(海州)이고, 자는 문욱(文郁), 호는 유춘(有春) 혹은 고송유수관도인(古松流水舘道人)이다. 도화서 화원으로 활약하였으며 벼슬은 첨사를 지냈다. 『동국문헌...
-
18세기 겸재 정선이 도봉산과 도선사의 가을 경치를 그린 진경산수화. 「도봉추색도(道峰秋色圖)」는 도봉산에 있는 도선사를 중심으로 주변의 가을 경치를 그린 작품이다. 그림의 오른쪽 위에는 화가 정선(鄭敾)[1676~1759]이 직접 쓴 ‘도봉 추색(道峰秋色)’이란 화제(畵題)가 희미하게 남아 있고 화풍의 특징도 정선 화풍을 잘 드러내고 있어서 정선의 작품임을 알 수 있다. 그림을...
-
조선 후기 화가 정황이 북한산과 도봉산의 일부를 배경으로 양주에서 송추로 넘어가는 길목의 경관을 재현한 진경 산수화. 정황(鄭榥)[1735~?]은 18세기 중엽에서 19세기 초에 활동하였던 화가로서 본관은 광주(光州), 호는 손암(巽庵)이다. 조선 후기의 대표적인 선비 화가 겸재(謙齋) 정선(鄭敾)[1676~1759]의 손자로 산수, 인물 등을 잘 그렸다고 전해지며, 가업(家業)을...
-
선비 화가 지우재 정수영의 작품으로 1796년에서 1797년 즈음 친구들과 도봉산을 포함한 여러 곳을 여행하면서 본 풍경을 직접 그리고, 이에 관해서 기록한 진경 산수화. 「한·임강명승도권(漢·臨江名勝圖卷)」은 정수영(鄭遂榮)[1743~1831]이 한강 일대와 경기도, 강원도, 황해도 등지를 친구들과 여행하면서 본 경치를 직접 그리고, 이에 대해서 기록한 두루마리 그림이다. 작품에...
-
조선 후기 선비 이재학과 서용보가 도봉산을 유람하며 시회를 가지고 이를 기념하기 위해 제작한 화첩. 『도봉첩(道峯帖)』은 선비인 이재학(李在學)[1745~1806], 서용보(徐龍輔)[1757~1824] 등이 도봉산(道峰山)을 유람하며 시회를 가지고 이를 기념하기 위해 제작한 화첩이다. 이재학은 관료로서 활약하다가 순조 즉위 후 곧 귀양을 가는 등 고초를 겪다가 1806년에 사망하였...
덕성여대 박물관 소장 유물
-
서울특별시 도봉구 쌍문동 덕성여자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조선 후기 비상용 약장. 각게수리는 귀중품을 보관하기 위하여 여닫이 문안에 여러 개의 서랍을 설치한 일종의 금고이다. 각게수리 양식은 중국의 백안주(百眼廚)라는 가구에서 영향을 받았고, 명칭은 일본어의 가케스즈리(がけすずり)에서 온 것이다. 부유한 가정의 안방과 사랑방에서 귀중품을 보관하기 위한 용도나 약장으로 사용되었...
-
서울특별시 도봉구 쌍문동 덕성여자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왕실 여성들이 입던 원삼. 원삼(圓衫)은 왕비 이하 내·외명부들의 예복으로 착용하였는데, 왕비와 빈들은 소례복(小禮服)으로, 대군부인 이하 상궁과 관직자 부인은 대례복(大禮服)으로 입었으며, 신분에 따라 그 색과 문양을 달리 하였다. 황후는 황색 길에 소매가 넓으며 흰색 한삼(汗衫)이 달려 있고 용문을 직금(織金)한 황...
-
서울특별시 도봉구 쌍문동 덕성여자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북산 김수철의 모란 그림. 김수철(金秀哲)은 출신이나 생애 등이 분명히 전해지지 않으며, 조선 말기에 활동한 화가이다. 호는 북산(北山), 자는 사익(士益), 본관은 분성(盆城)이다. 김수철은 「무릉춘색도(武陵春色圖)」[1862년]의 관지를 통해 1862년까지 활동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중인 신분의 화가로서 조선 말...
-
서울특별시 도봉구 쌍문동 덕성여자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흥선 대원군 이하응의 묵란도 병풍 그림. 이하응(李昰應)[1820~1898]은 조선 말기의 왕족이자 정치가이며 서화가이다. 자는 시백(詩伯), 호는 석파(石坡), 본관은 전주이다. 조선 왕조 제26대 고종(高宗)의 아버지이며, 흔히 대원군(大院君)이라 불렀고, 흥선 대원군(興宣大院君)은 봉작명이다. 정치적 야망으로 집권...
-
서울특별시 도봉구 쌍문동 덕성여자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김규진의 사군자 그림. 김규진(金圭鎭)[1864~1933]은 근대 서화가로, 본관은 남평(南平). 자는 용삼(容三), 호는 해강(海岡), 백운거사(白雲居士), 취옹(醉翁), 만이천봉주인(萬二千峯主人) 등 10여 개가 있다. 평안남도 중화에서 태어나 어릴 때부터 평양에서 유명한 명필이었던 외숙 이희수(李喜秀)에게 서예를...
-
서울특별시 도봉구 쌍문동 덕성여자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1793년에 종이로 제작된 사각 문서함. 한지 공예(韓紙工藝)의 역사는 조선 시대 이전의 유물이 남아 있지 않아 정확하게 알 수 없지만, 종이의 발명과 함께 시작되었을 것으로 추정하여 그 역사를 짐작해 볼 수 있다. 닥나무를 원료로 하는 한지의 역사는 대략 1000년~1500년이라고 할 수 있다. 조선 시대에는 대량 생...
-
서울특별시 도봉구 쌍문동 덕성여자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한자를 민화풍으로 그린 병풍 그림. 덕성여자대학교 박물관 소장 문자도 팔폭 병풍(德成女子大學校博物館所藏文字圖八幅屛風)은 민화 효제 문자도(孝悌文字圖)를 8폭 병풍(屛風)으로 제작한 「효제 문자도 팔폭 병풍」이다. 문자도(文字圖)는 조선 시대 통용어이던 한문(漢文)을 회화화(繪畵化), 도안화(圖 案化)하여 화제(畵題)로...
-
서울특별시 도봉구 쌍문동 덕성여자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15세경에 제작된 분청사기 주전자. 분청사기(粉靑沙器)는 ‘분장회청사기(紛粧灰靑沙器)’의 준말로, 명칭에서도 알 수 있듯이 사기에 백토를 분장한 후에 유약을 입혀 환원염에서 구워낸 것으로, 백토를 분장하는 방법에 따라 상감(象嵌), 인화(印花), 박지(剝地), 음각(陰刻), 철화(鐵畵), 귀얄, 분장의 일곱 종류로 구분...
-
서울특별시 도봉구 쌍문동 덕성여자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안중식이 1898년에 그린 산수 인물화. 안중식(安中植)[1861~1919]은 개항기 화가로, 본명은 종식(種植), 호는 심전(心田), 경묵도인(耕墨道人), 불불옹(不不翁) 등이다. 조석진(趙錫晋)과 더불어 장승업(張承業)에게서 그림을 배워 조선 말기로부터 근대로 이어지는 과정에서 전통 화단에서 큰 역할을 담당하였던 인...
-
서울특별시 도봉구 쌍문동 덕성여자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양주 별산대 놀이의 탈. 양주 별산대 놀이 탈은 중부 지방에서 ‘산대놀이’에 주로 사용되는 탈로서 경기도 양주 지역에 전해져 오는 ‘양주 별산대 놀이’에서 사용되던 탈이다. 양주 별산대 놀이는 경기도 양주시 주내면 유양리에 전승되고 있는 탈놀이로 국가 무형 문화재 제2호로 지정되어 있다. 양주 별산대는 국가적인 산대놀이...
-
서울특별시 도봉구 쌍문동 덕성여자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조선 후기 옥테로 만든 안경. 안경이 처음 사용되었던 시기는 조선 시대로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에 “임진왜란 때 명나라의 심유경(沈惟敬)과 일본인 승려였던 현소(玄蘇)가 나이가 많음에도 안경을 낀 덕분에 글을 잘 읽어 많은 사람들이 놀랐다고 하고 선조가 이를 중신들에게 하사하였다.”라는 기록이 남아 있는 것으로...
-
서울특별시 도봉구 쌍문동 덕성여자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조선 후기의 이층 농. 농(籠)이란 의류 및 기타 기물(器物)들을 보관하는 나무 상자이다. 농은 고려 시대부터 사용되어 온 명칭이며, 농(籠)과 장(欌)의 차이점은 개판(蓋板)의 유무(有無)에 있다. 농에는 원래 개판이 없지만 후에는 농에도 개판 혹은 다리 부분인 마대(馬臺)를 붙이기도 하였는데, 이를 ‘개판농’, 혹은...
-
서울특별시 도봉구 쌍문동 덕성여자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왕실 의례 때 입는 붉은색의 예복. 조복(朝服)은 소매가 넓은 중단(中單)을 입고, 앞 3폭 뒤 4폭으로 된 상(裳)을 입은 후에 좌우 옆이 트여있는 의(衣)를 맨 위에 입는다. 백색 중단에 적색의와 적색상을 입고, 허리에 적색 폐슬과 후수(後綬), 패옥(佩玉)을 차고, 머리에는 금관을 썼으며, 손에는 홀(笏)을 들고...
-
서울특별시 도봉구 쌍문동 덕성여자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지장 기법을 사용하여 제작된 조선 후기의 함롱. 종이함은 색이 없는 종이를 붙여 만든 종이 상자의 일종이다. 주로 여성들의 소도구를 넣어서 정리해 두는 상자를 말하며, 사각형 형태를 한 함(函) 종류의 한지 공예품을 통틀어서 부른다. 조선 시대에는 대량 생산 체제가 되어 종이가 널리 파급되었고, 각 지방 관아에 예속된...
-
서울특별시 도봉구 쌍문동 덕성여자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조선 후기 지장 삼층장. 장(欌)은 각 층이 별도로 분리되지 않고 하나로 연결되어 내부가 각 층으로 구획되어 있다. 주로 의복을 넣어두는 용도로 쓰이며 여인들이 방을 치장하고 정리하는 안방 가구이다. 우리나라에 현존하는 가구의 대부분은 조선 시대 후기의 것이며, 고려 이전에 만들어진 것으로 가구다운 유물은 거의 찾아볼...
-
서울특별시 도봉구 쌍문동 덕성여자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종이를 붙여 만든 조선 후기의 이층 옷장. 조선 시대에는 종이가 대량 생산되어 각 지방 관아에 예속된 장인들이 각자의 소임에 따라 한지로 가구를 제작하여 보급하였다. 이러한 한지 공예 기법을 사용한 가구는 우리의 생활 감정, 풍토 등에 순응하여 쓰기에 편리한 양식으로 만들어졌으며, 특히 서민층에게 있어 매우 실용적인 것...
-
서울특별시 도봉구 쌍문동 덕성여자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1970년대에 제작된 통영 오광대 놀이 탈. 탈놀이는 예로부터 낙동강 서쪽 지방에서는 ‘오광대(五廣大) 놀이’, 낙동강 동쪽 지방에서는 ‘들놀음[野遊]’ 등으로 불렀다. 통영 오광대의 전파 경로는 밤마리 오광대→마산 오광대→통영 오광대로 이어진 것으로 전하며, 1900년경 창원에서 오광대를 놀던 이화선(李化善)이 통영으...
-
서울특별시 도봉구 쌍문동 덕성여자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운현궁에서 사용하던 조선 후기의 소반. 호족반(虎足盤)은 이름 그대로 호랑이의 긴 다리 형태를 보여 주는 소반인데, 호랑이의 힘 있고 잘생긴 다리를 닮았다 하여 이름이 붙여졌다. 한국의 소반 중에 호족반이 가장 흔하다. 호족반의 다리 생김도 천판(天板)의 모양에 따라 다양한 선과 형태로 제작되었는데, 단순한 다리로 구성...
옹기 민속 박물관 소장 유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