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900608 |
---|---|
한자 | 南宮悌 |
이칭/별칭 | 우중(友仲),연안공(延安公) |
분야 |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
유형 | 인물/문무 관인 |
지역 |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동 산86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황향주 |
출생 시기/일시 | 1543년![]() |
---|---|
활동 시기/일시 | 1568년 - 남궁제 무진 증광시 증광 진사 급제 |
특기 사항 시기/일시 | 1596년 - 남궁제 가자(加資)를 둘러싸고 조정에서 논쟁 발생 |
부임|활동지 | 남궁제 부임지 - 황해도 연백군 |
부임|활동지 | 남궁제 부임지 - 황해도 연백군 |
묘소|단소 | 남궁제 묘소 -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동 산86![]() |
성격 | 문신 |
성별 | 남 |
본관 | 함열(咸悅) |
대표 관직 | 연안 부사 |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동에 묘가 있는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함열(咸悅). 자는 우중(友仲). 할아버지는 이조 판서를 역임한 남궁찬(南宮璨)이고, 할머니는 신자승(申自繩)의 딸인 평산 신씨(平山申氏)이다. 아버지는 함경도 관찰사 남궁숙(南宮淑)이며, 어머니는 고흥 유씨(高興柳氏)이다. 부인은 풍천 임씨(豊川任氏)로, 사이에 4남을 두었다. 남궁제(南宮悌)[1543~?]는 함열 남궁씨 7파가 형성되는 과정에서 연안공파(延安公派)의 파조로 추숭되었다.
남궁제는 1568년(선조 1) 거행된 증광시에서 증광 진사 3등 33위와 증광 생원 3등 10위로 생원·진사 양시(兩試)에 합격하였다. 『선조실록(宣祖實錄)』과 『사류재집(四留齋集)』에 따르면, 과거 합격 후 백천 군수와 연안 부사를 역임한 것으로 확인된다. 임진왜란이 일어난 다음 해인 1593년(선조 26) 유성룡(柳成龍)이 감진관(監賑官)에 임명하여 호남에서 조운된 곡식을 이용해 한양의 기근 문제를 해결하였다. 남궁제는 지방관으로 재임하는 동안 백성을 잘 다스리고 국사(國事)를 성실히 처리한 점을 인정받아 1596년(선조 29) 당상(堂上)을 가자(加資) 받았다. 이 과정에서 둔전(屯田)을 이용하여 사욕을 채우고 역(役)을 공평히 하지 못한 과거 행적들이 문제가 되면서 그의 가자를 둘러싸고 조정 내에서 공방이 벌어지기도 하였다.
묘는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동 함열 남궁씨 제1 묘역 내에 아버지 남궁숙의 묘와 함께 조성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