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초안산 분묘군으로 본 조선 왕실 내시와 궁녀들의 삶과 죽음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900015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기획)
지역 서울특별시 도봉구 창동
시대 조선/조선
집필자 이민아

[조선 시대 서울 최고의 공동 묘지였던 초안산]

서울특별시 도봉구 창동과 노원구 월계동에 걸쳐 있는 나지막한 야산인 초안산에는 319,503㎡의 적지 않은 면적에 조선 시대 환관 묘역을 비롯하여 양반, 중인(中人), 궁녀(宮女), 서민 등 다양한 계층의 묘 1,000여 기가 남아 있으며, 무덤을 지키는 여러 석물이 흩어져 있다.

초안산에 조선 시대 묘가 밀집해 있는 이유가 뭘까? 도봉산 자락에 자리 잡은 서울특별시 도봉구는 하늘의 중심이자 옥황상제가 거처한다는 자미원(紫薇垣)의 기를 집중적으로 받는 명당이라고 한다. 특히 초안산은 마사토 지질로 배수가 잘되고 험하지 않은 야트막한 야산이며 산 왼쪽에 중랑천이, 오른쪽에 우이천이 흘러 풍수지리적인 조건을 충족하고 있다. 이러한 풍수지리적 이유 외에 다른 측면에서도 그 이유를 찾을 수 있다.

조선 시대에 서울 도성 안 시신은 반드시 광희문, 수구문, 시구문을 통해서만 나갈 수 있었다. 그런데 광희문 밖 약 3.93㎞[10리]에 위치한 산은 도봉산북한산뿐이었다. 두 산의 경우 풍수지리상으로 서울을 지키는 진산이므로, 묏자리로는 적합하지 않았다. 그러므로 이 두 산을 제외하면 초안산만이 묘를 쓸 수 있는 가장 적합한 장소가 된다. 이런 기준에 의해 초안산은 서울 동북쪽에 가장 적합한 묘지이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그 결과 사대부와 내시를 비롯한 궁궐 사람들이 초안산을 묘지로 사용함으로써 현재 1,000여 기가 넘는 묘가 산재하여 있다. 문화재청에서는 2002년 3월 9일 서울 초안산 분묘군을 사적 제440호로 지정하였다.

초안산으로 들어가는 진입로는 무려 40여 개나 있다. 대부분의 진입로가 자연적으로 만들어졌으나, 2000년대 이후 공원과 산책로가 많이 정비되었기 때문이다. 서울특별시 노원구 월계동에 2008년 만들어진 ‘비석골 근린공원’ 안에는 초안산 주변에 흩어져 있던 비석 30여 기를 모아 전시하고 있다. 서울특별시 노원구 월계동 쪽에서 초안산을 만날 수 있지만, 서울특별시 도봉구 창 2동의 오밀조밀한 주택가를 지나서도 초안산 자락에 닿을 수 있다.

초안산에 수많은 묘가 모두 내시와 궁녀의 무덤은 아니다. 현재 어느 정도 분묘가 남아 있는 묘를 중심으로 조사한 결과 조선 시대 사대부의 이름 모를 묘도 초안산에 남아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현재 그 존재를 확인할 수 있는 내시의 묘소는 ‘승극철 부부 묘’가 유일하다. 이것이 현재 초안산에서 유일하게 묘비를 갖춘 내시 묘이기 때문이다. 또한 초안산에서는 상궁 개성 박씨(開城朴氏)의 묘도 발견되었다. 이들을 통해 조선 시대 내시와 궁녀의 삶에 대해 일부나마 엿볼 수 있다.

[죽어서도 궁궐을 향한 내시 승극철 부부 묘]

승극철 부부 묘초안산 동남쪽 정상 부근 녹천정(鹿川亭) 아래에 위치하고 있다. 묘비의 전면에 ‘통훈대부 행내시부 상세 승공 극철 양위 지묘(通訓大夫行內侍府 尙洗承公克哲 兩位之墓)’라고 되어 있으며, 뒷면에 ‘숭정 기원 후 갑술 삼월 일 립(崇禎紀元後 甲戌三月日立)’이라고 되어 있어 승극철이 내시부 정6품 상세직(尙洗職)에 있었으며 통훈대부라는 정3품의 품계를 받았던 인물로, 이 묘소는 부인과 함께 쌍분으로 합장한 양위 지묘임을 알 수 있다.

승극철 집안의 족보인 『연양군파 가승록(延陽君波家乘錄)』에 의하면 승극철선조 대 상선(尙膳)으로 임진왜란선조를 호종한 공이 있는 연양군(延陽君) 김계한(金繼韓)의 맏손자이며, 아들은 박중창(朴重昌)이고, 손자는 오윤환(吳允桓)으로 되어 있다. 1990년 대 초반 승극철 부부 묘 일대가 개발되기 전까지 약 50기의 내시 묘가 있었다고 하나, 현재는 모두 화장되거나 어디론가 이장되어 흔적을 찾을 길이 없다.

조선 시대에 이장한 대표적인 무덤으로는 양주 사내리(沙乃里)[현 경기도 양주시 광적면 효촌리]로 이장한 연양군 파조(波祖)인 숭록대부 김계한의 묘와 그의 아들인 상선 김광택(金光澤)의 묘가 있다. 김광택의 묘비 명문에 따르면, 김계한→김광택→김선필→정중명→서경달→최봉좌→백희장→홍명부 등으로 이어지는 내시 가계가 선산인 초안산을 묘역으로 하고 있었다.

내관들은 양자(養子)로 대를 잇기 때문에 김계한의 족보에서 볼 수 있듯이 부자간에도 성이 다른 경우가 많았다. 김계한의 부인은 복천 오씨로 그의 5대 족산이 현재 양주시 광적면 효촌리에 있어 후손들이 효촌리 뒷산과 초안산에 묘소를 만들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이를 통해 김계한 이후, 즉 17세기 중엽 이후부터 초안산이 내시 가계의 선산으로 묘가 계속 만들어졌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이장 전 김계한 묘 위치는 승극철 묘 위쪽인 지금의 녹천정 자리에 있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승극철 가계는 선조 대 김계한을 시조로 하고 있으며, 역대를 거쳐 가장 번성하였던 내시 가계이다. 이들은 그들의 선산인 각심사(角心寺)가 있던 초안산에 모셔졌고, 대를 이어 이곳에 묻혔던 것으로 보인다. 이들 내시족의 한 계파가 수백 명에 달하는 것을 보면 조선 시대 가장 번창하였던 내시들은 이곳을 그들의 공동 묘역으로 삼았을 가능성이 크다. 현재 확인되는 비문의 주인 외에도 마모되어 지워졌거나 흩어져 분식되었을 묘비나 묘만으로도 수없이 많은 그들의 흔적을 찾을 수 있다.

초안산은 고려 시대 개경을 보좌하는 부도인 남경(南京)의 후보지로 거론될 만큼 명당의 자리이었으며, 『경국대전(經國大典)』에 “내시들의 묘는 도성에서 10리[약 3.93㎞] 밖에 두게 하라”는 것에도 잘 부합한다. 다시 말해 초안산은 도성에서 가까운 명당으로, 왕이 있는 서쪽의 도성을 바라보며 묻힐 수 있던 장소이었던 것이다.

승극철의 묘에서 주목되는 것은 ‘양위 지묘(兩位之墓)’라는 문구이다. 이는 부부가 함께 묻힌 것을 의미한다. 이로써 내시도 결혼을 하였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내시들은 권력의 정도에 따라 실제 부인을 비롯해 첩까지 두고 살았던 것으로 전하는데, 이럴 경우 합장하여 단독 또는 쌍분 묘로 만들어졌다. 현재 양위 지묘로 표기된 내시 묘비는 서울특별시 은평구 진관동 중골 마을에 있는 북한산 이사문공파(李似文公派) 내시 묘 45기 중 4기와 이말산(苡茉山)의 정여손(鄭呂孫) 묘, 서울특별시 강북구 우이동의 상세 김극윤(金克潤) 묘, 양주시 광적면 효촌리의 연양군 김계한 묘, 그리고 승극철 부부 묘 등 8기가 존재하며 그중 본인 자신의 이름을 넣은 묘비는 3기이다.

승극철의 생애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알기 어려우나,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에 그와 관련된 세 건의 기사가 주목된다. 1676년(숙종 2), 1682년(숙종 8), 1694년(숙종 12) 세 차례에 걸쳐 승극철에게 어린 말 1필을 내렸다는 기록이 그것이다. 문헌에 세 차례나 포상 기록이 나온다는 사실은 그가 업무 처리에 매우 능숙하였음을 예상할 수 있다.

그런데 승극철의 묘비는 숭정 기원 후 갑술년, 즉 1634년에 세워졌다고 되어 있으나 실제 기록에서는 17세기 후반에 활동한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승극철 묘비 기록의 오류이다. 할아버지 김계한의 묘표가 1637년에 세워졌고, 숙부 김광택의 묘표가 1685년에 세워졌다는 사실로도 승극철의 묘비의 건립 연대에 오류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같은 오류가 생긴 이유는 당시 내관들이 족보 없이 선조의 이름과 관직만 간단히 표기한 가계도인 가승(家承)만을 가지고 있었고, 족보에 비문이나 일대기를 수록한 행장(行狀)을 수록하지 않았으며, 거기에 연대 환산을 60갑자 간지(干支)로 표기하는 과정에서 계산 착오가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므로 승극철 부부 묘 건립 연대는 1634년이 아닌 그 60년 뒤인 1694년(숙종 20)이라고 할 수 있다.

승극철 부부 묘의 좌향은 일반적인 남향(南向)이나 동향(東向)과 달리 서향(西向)이다. 이는 좌향이 왕이 계신 궁궐 쪽을 향함으로써 죽어서도 내시로서의 본분을 다하겠다는 의미로, 시자(侍子)로서 충정(忠情)의 의미를 따른 것이다.

[초안산의 궁녀 묘]

초안산에는 내시 묘 말고도 궁녀의 무덤도 찾아볼 수 있다. 상궁 개성 박씨(開城朴氏) 묘가 그것이다. 상궁 개성 박씨 묘는 초안산 본산 내 초안산 아파트 뒤쪽 오른편에 위치하고 있다. 묘역 입구에는 근래에 조성한 밀양 박씨(密陽朴氏) 박인태(朴仁泰)의 묘가 조성되어 있어 개성 박씨의 묘역을 관리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상궁 개성 박씨는 후손이 끊어져 묘역이 방치되자 증조할아버지인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박근후(朴根厚) 계배(繼配)의 후손인 밀양 박씨가 연고(緣故)를 가지고 이 묘역을 차지한 것으로 보인다. 현재 묘역에는 상궁 개성 박씨의 묘와 증조할아버지 박근후의 묘가 함께 위치하고 있다. 상궁 묘역에는 봉분과 상석·향로석이 잘 보존되어 있는 반면, 주위에는 부러진 비신과 머릿돌이 방치되어 있다.

현감을 지낸 김국표(金國杓)가 지은 비문에 의하면 상궁 개성 박씨는 병술년[숙종 32, 1706] 11월 6일에 아버지 박수만(朴秀蔓)과 어머니 청주 김씨(淸州金氏) 사이에서 태어난 것으로 되어 있다. 증조할아버지는 학생(學生) 박근후이고, 할아버지는 통덕랑(通德郞)을 지낸 박세걸(朴世傑)이다. 그런데 박근후의 묘표에는 관직이 첨지중추부사로 되어 있어 차이를 보이고 있다.

상궁 개성 박씨는 병오년[영조 2, 1726]에 궁녀로 선발되어 궁궐에 들어갔고, 경신년[영조 16, 1740] 봄 상궁에 제수되었으며, 계미년[영조 39, 1763] 1월 30일에 향년 58세로 세상을 떠난 것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2월 6일 현 위치인 양주 남면 해등촌 각심사 손좌(巽坐)[남동방]의 언덕에 장사 지냈는데, 선영(先塋)을 따랐다고 되어 있다. 상궁 개성 박씨는 성품이 단정하고 지혜로웠으며, 충심(忠心)으로 웃전을 받들었고, 사랑으로 아랫사람을 대하였다고 한다.

상궁 개성 박씨 묘비는 현재 서울특별시 은평구 진관동 이말산의 상궁 옥구 임씨(沃溝林氏) 묘표[숙종 39년, 1713], 경기도 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상궁 안동 김씨(安東金氏) 묘표와 함께 비문이 남아 있는 단 3기의 궁녀 묘비로 조선 후기 궁녀사 연구에 자료로뿐 아니라 문화재로서의 가치도 매우 높다.

조선 시대 궁녀들은 일반인과 달리 집단을 이루며 살았는데, 궁궐과 가까운 곳에 기거해야만 하니까 주로 오늘날 서울특별시 종로구 효자동·창덕궁·봉익동·운니동·계동 지역 주변에 살았고, 은퇴 후에는 한양 사대문 밖 한적한 곳에 모여 살았다고 한다. 그들의 생활 수준은 『한성부 북부장 호적』[1663]에 의하면 양자뿐 아니라, 솔거 노비·외거 노비까지 거느리는 경우도 있었다.

궁녀들의 묘역은 주로 궁궐과 멀지 않은 명당자리로 알려진 곳에 분포해 있다. 그러나 궁녀 묘 유적 현황을 보면 내시 묘와 달리 현재까지 파악된 묘비는 9기에 불과하다. 이유는 아마도 궁녀들은 나이가 들거나 병이 들면 자연 비구니로 사찰에서 일생을 보내다 죽은 후 주로 화장이 행해졌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그렇지 않다면 상궁 개성 박씨 묘비와 같이 부모의 선영에 묻히는 경우가 있었던 것이다.

[현황]

현재 초안산에 산재한 묘는 봉분 지름이 200~500㎝로 천차만별이다. 현재 훼손이 심하여 묘의 흔적을 겨우 살필 수 있는 정도로 허물어지고 파괴된 묘도 다수 있다. 아마 내시 중에서도 권세를 누렸던 집안은 묘제를 갖추었지만 그렇지 못한 집안은 묘와 상석, 혹은 묘만을 만들었던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