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광여도』「경기도」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900180
한자 廣輿圖京畿圖
분야 지리/인문 지리,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문헌/문서
지역 서울특별시 도봉구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이현욱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소장처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 서울특별시 관악구 신림동 산56-1
성격 고지도
용도 전국 도 및 군현 지도

[정의]

현재의 서울특별시 도봉구 지역을 포함하는 양주목이 표시된 『광여도』경기도 지도.

[개설]

『광여도(廣輿圖)』는 19세기 초에 제작된 회화식 전국 군현 지도로 각 도별 지도 및 군현별 지도, 군사 요충지 지도가 수록되어 있다. 『광여도(廣輿圖)』「경기도(京畿圖)」는 서울과 경기도의 지도로 경기도 소관 군현과 주요 산천, 도로 등이 표시된 지도이다. 현재 규장각 한국학 연구원에 소장되어 있다.

[제작 발급 경위]

19세기에 이르러 국가가 기호식 지도를 정책 과정에 활용하기 시작하면서 기존의 회화식 지도는 그 비중이 감소하게 되었다. 더불어 국가의 통제력이 약화되면서 회화식 지도가 민간으로 유출된 것으로 보인다. 『광여도』는 이러한 당시 상황을 배경으로 『해동 지도(海東地圖)』와 같은 회화식 지도가 민간으로 흘러들면서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

[형태]

『광여도』는 총 7책의 회화식 전국 군현 지도집으로 규격은 36.8 ×28.6㎝이다.

[구성/내용]

각 책별 수록 내용을 살펴보면 1책 경기도, 2책 충청도, 3책 전라도, 4책 경상 좌도, 5책 경상 우도, 6책 평안도 및 황해도, 7책 강원도 및 함경도로 각 도 지도, 군현 지도와 군사 요충지의 지도를 수록하고 있다.

『광여도』「경기도」의 내용을 살펴보면 지도 가운데 붉은색 원으로 서울[京]을 표시하고 있다. 경기도 소관 군현은 노란색 사각형에 군현명을 기입하고 붉은색 테두리를 그렸다. 붉은색 사각형에는 찰방역(察訪驛)을 쓰고 있다. 산줄기는 검은색 선으로 봉우리 모양을 그리고 녹색으로 색칠하고 이름을 썼으며 하천은 옅은 푸른색으로 표시하였다. 그밖에 경기도에 위치한 왕릉, 서원, 봉수, 진(津) 등의 명칭을 기입하고 있다.

도봉구와 관련하여 양주목 부분을 살펴보면 도봉 서원(道峰書院)이 기록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양주목」 지도 역시 표현 방식이나 내용 구성은 「경기도」와 같다. 「양주목」 지도에는 관아, 사찰, 사창(社倉) 등은 건물도 그려서 표시하였고 소속 면은 붉은 테두리를 두른 노란색 사각형에 이름을 기입하였다. 역(驛)은 파란색 선을 두른 붉은색 사각형에 기입하였고 능묘는 작은 원을 그리고 이름을 썼다. 도봉구와 관련해서는 도봉 서원, 누원(樓院), 연산군(燕山君) 묘, 도봉산이 서울과 양주목 읍치 사이의 북한산 북동쪽, 삼각산 동쪽에 위치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의의와 평가]

『광여도』『해동 지도』 계열의 회화식 군현 지도로 평가받고 있다. 대략적인 지도의 형태나 수록 정보가 반영하는 시기 등에서 유사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해동 지도』와는 다른 요소들도 존재하고 있는데 외국에서 유입된 지도의 반영, 주요 도로 표기의 상세화 등 일부 진전된 측면이 보인다. 따라서 기존의 다른 회화식 지도들과 비교·대조하며 살펴보아야 할 것으로 평가된다.

[참고문헌]
  • 규장각 한국학 연구원(http://e-kyujanggak.snu.ac.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