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전통문화 이벤트 양주 별산대놀이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900014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기획)
지역 서울특별시 도봉구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홍승우

[정의]

양주 별산대놀이 는 서울과 중부 지방에 전승되어 온 산대놀이의 한 분파이다. 양주 별산대놀이는 조선 후기 공적으로 행해지던 산대놀이가 폐지되자, 민간 연희로 이어진 서울의 본산대(本山臺) 놀이를 받아들여 양주(楊洲)에서 토착화한 놀이이다. 양주 별산대놀이는 1964년 12월 7일 국가 무형 문화재 제2호로 지정되었다. 조선 시대의 양주 지역은 도봉구를 포함하였으므로, 도봉구 주민들도 양주 별산대놀이를 같이 즐겼을 것이다.

[개설]

산대(山臺)는 고려 시대부터 조선 시대까지 성행했던 가면극의 하나이다. 고대 중국의 나례(儺禮) 혹은 백제(百濟) 기악(伎樂)을 계승한 것으로 조선 시대에는 궁중 연극으로 행해졌다. 세종 때부터 중국 사신의 영접을 위해 산대도감(山臺都監)을 두고 관장하다가 인조 때 이후 공적인 산대를 폐지하자, 민간에 전파되어 동네의 가설무대에서 상연되기 시작하면서 민속극으로 변했다.

내용은 무속적인 고사나 넋두리를 처음과 끝에 넣고, 양반에 대한 조롱과 모욕 및 파계승에 대한 조소, 남녀의 삼각관계, 서민 생활의 어려움 등이 주류를 이루어 풍자적인 색채가 짙었다. 산대도감이 폐지되면서 서울의 연회자들이 민간에서 산대를 하는 것을 ‘본산대’라 하고, 이것이 지방에 전파되면서 ‘별산대’를 형성하게 되는데, 양주 별산대놀이는 양주에 정착되어 전승된 것이다. 본산대가 전해지지 않고 별산대로 양주에만 전승되고 있어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탈놀이라 할 수 있다.

[산대의 유래와 민간 유희화]

산대는 원래 임시로 설치한 거대한 산 모양의 가설무대를 말하는데, 산대놀이는 여기에서 실시된 유희이다. 『고려사(高麗史)』에 충선왕(忠宣王) 2년(1310)에 산대에 대한 언급이 있고, 상원(上元)[정월 보름]의 대규모 연등회에 산대 악인(樂人)이 참여했다는 기록이 있어, 산대는 이미 고려 초부터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조선 시대에 오면 중국 사신의 영접, 부묘(祔廟) 행차 후 환궁, 종묘 행차 후 환궁, 연말의 나례, 기타 국가적 경사와 연희에 실시하였다. 그 외에 왕과 왕비의 태반을 좋은 곳에 매장하는 안태(安胎), 왕과 왕비가 대비를 위해 경연을 베푸는 진풍정(進豊呈) 때에 행한다.

그런데 국가에서 시행하던 산대놀이는 여러 가지 문제가 생기면서 점차 폐지되어 갔다. 먼저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에 따르면 많은 인원을 차출하는데 따른 문제가 발생하였다. 성종이나 연산군 때에는 1천 명의 인원을 차출하였으며, 중종 때에는 3,600명의 인원을 차출하기도 하였는데, 농번기와 겹치는 문제, 지방의 군인들이 오랫동안 서울에 머무는 데에 따른 부작용 등이 나타났다. 다음으로 각종 사고가 빈발하였는데, 화재가 발생하거나 겨울철에 추위나 기아로 숨지는 경우, 산대가 넘어져 압사하는 사고가 발생하였다. 또 산대를 만들기 위해 과도한 벌목으로 산이 황폐화되었으며, 과도한 비용에 의해 재정이 크게 위협을 받기도 했다. 따라서 수시로 산대의 축소 문제가 제기되었다.

결국 1623년(인조 1)에 모든 도감이 폐지되기에 이르렀고, 산대 및 나례는 약화되었다. 후에 간헐적으로 시행되기는 하였으나 계속해서 경비의 과다 지출과 시행의 타당성에 대한 논란이 조정에서 일어났고, 영조 때[1725~1776]에 이르러 완전히 폐지되었다. 이로 인해 산대에 동원되던 서울의 재인(才人)과 우인(優人)들이 본산대패라는 민간 예인 집단으로 바뀌어 각지를 다니면서 활동하게 되었다.

[양주 별산대놀이의 성립과 정착]

양주 별산대놀이 는 서울 지역의 본산대를 받아들여 18~19세기 중엽에 현지에서 재현된 것이다. 양주에서 본산대를 초청해서 연희한 시기는 임진왜란 직후인 1600년대 초부터이나, 대체로 18세기 후반 이후에 본격적으로 토착화하였다.

서울의 본산대가 다른 지방 공연을 이유로 약속을 자주 어기고 교섭에 어려움이 있자, 신명이 있는 사람이 주동이 되어 본산대를 본떠 연희를 자체적으로 꾸미게 되면서 양주의 별산대가 성립하게 되었다. 연희를 정착시킨 시기와 어느 지역의 본산대를 배워 왔는가에 대해서는 기록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다. 대체로 양주 별산대놀이의 정착 시기는 18세기 후반~19세기 중반에 걸쳐 있는데, 18세기 후반의 경우 정착보다는 산대놀이를 시작한 시기로 생각되며, 19세기 초반에 이르러 양주의 산대놀이가 확실히 정착했다고 여겨진다.

당시 서울의 본산대는 애오개[阿峴] 산대, 사직(社稷)골 딱딱이패, 녹번리(碌磻里) 산대, 노량진(鷺梁津) 산대, 구파발(舊把撥) 산대, 퇴계원(退溪院) 산대, 가믄돌[玄石里] 산대, 의정부(議政府) 산대, 송파(松坡) 산대 등이 있었다. 양주 별산대는 서울의 여러 별산대 중 애오개 산대, 사직골 딱딱이패, 구파발 산대 등의 영향을 받았다는 설들이 있다. 현재로서는 정확히 어느 놀이패의 영향을 받았는지는 알 수 없으나 대체로 애오개 산대패나 사직골 딱딱이패가 가장 큰 영향을 주었다고 생각되며, 이들의 영향을 받아 연희를 재구성하였다고 보인다.

서울 본산대의 영향을 받아 성립한 별산대 중 현재 전하는 것은 양주 별산대놀이가 유일하다. 양주 별산대가 전승되는 지역은 행정 구역상 경기도 양주시 유양동[과거 양주군 주내면 유양리]인데, 이곳은 조선 초기부터 목사가 거주하던 읍성 취락 지역으로 행정과 교통의 중심지였다. 읍치의 중심 지역으로 관의 영향력이 큰 곳이면서 교통이 발달하고 상권이 형성되어 매우 활기찬 곳으로, 전통적인 산대놀이의 향유층이었던 양반층과 민간 유희화 이후의 향유층 서민이 같이 어울리는 공간이라고 할 수 있다. 초기에 관의 하급 관리들이 별산대 정착에 주도적인 역할을 했으며, 고을의 상인들이나 신명 있는 한량들이 중요한 역할을 했다.

[양주 별산대놀이의 전승 과정]

양주에서 산대놀이가 전승될 수 있었던 것은 초기에 이을축(李乙丑)이란 인물이 중심이 되어 관아의 잡역(雜役)에 종사하던 하층민들이 적극적으로 전승에 참여했기 때문이다. 도중(都中)이라는 연희 집단이 조직적으로 전승에 참여했으며, 관에서도 적극적으로 지원하는 등 관아가 있는 읍치 지역이라는 지역적 특성 등이 두루 작용되었다.

양주에서 놀이가 성행할 때에는 각처에서 많은 구경꾼과 장사치가 모여, 상인에게 자릿세나 찬조금을 받아 비용에 충당하기도 하였다. 1918년 무렵에 당시 성행하던 양주 별산대는 퇴기인 박옥화(朴玉花)에 의해 전국 순회공연이 시도되었으나 실패하였다. 비록 순회공연이 성사되지 않았지만 기녀에게 산대놀이 춤이 전수된 계기가 되었으며, 당시 양주 별산대놀이의 대중적 인기를 살펴볼 수 있다. 한편 1920년 무렵의 기록에 의하면, 당시 서울 지역에서도 양주 별산대 공연이 있을 정도로 성행하였다.

1929년 겨울에 조대비(趙大妃)의 거처인 경복궁 자경전(慈慶殿)에서 탈춤 공연이 있었는데, 양주의 탈놀이로 보인다. 한편 1929년 9월 12일에 조선 박람회가 개장되었는데, 이때 양주읍의 탈 패 30여 명이 동대문 밖의 ‘붕어물’에서 여러 번 공연하여 흥행에 성공하였다. 그러나 이후 탈을 조선 총독부 박물관에 판매하면서 점차 약화되었다. 이때 조종순이 주도하였는데, 탈도 그의 손에 의해 팔렸으며, 당시 공연이 끝나고 탈 패는 해산하였다. 탈이 없어 탈놀이가 성사되지 않게 되자, 1930년대 초에 윤태균이 탈의 모양을 추정해 다시 만들었다. 곧 윤태균을 비롯해 이재한, 김성운, 이창유 등이 주동이 되어 다시 탈을 만들고 놀았으나 일제 강점기 말에 와서 크게 약화되었다.

한편 양주 별산대놀이는 해방 후에 명맥만을 유지하다가 6·25 전쟁으로 인해 탈이 소실되고 다수의 연희자가 사망하면서 큰 타격을 입게 된다. 1951년 11월에 김성대의 후원에 힘입어 김성태는 기억을 더듬어 탈을 복원하였다. 그리고 남은 소수의 인원으로 놀이를 복원하였다. 1964년 연희 장소였던 사직당 주변이 산사태로 소실되었다. 1964년 12월에 양주 별산대놀이는 국가 무형 문화재 제2호로 지정되었고, 사단법인 양주 별산대 놀이 보존회가 결성되면서 새로운 전기를 맞이하게 되었다. 특히 8명의 연희자가 기능 보유자로 지정을 받았다. 1985년 여름에 전수관이 건립되고, 체계적인 전수 교육과 놀이마당에서의 정기적인 공연이 이루어지면서 오늘날에 이르고 있다.

도봉구는 서울로 편입되기 전 양주에 속해 있었기 때문에, 양주 별산대놀이는 도봉구의 놀이 문화라고도 할 수 있다. 도봉산 축제와 같은 관내 행사에서 양주 별산대놀이가 공연되기도 하는 등 지역 전통문화로 양주 별산대놀이를 즐기고 있다.

[양주 별산대놀이의 내용]

양주 별산대놀이 의 각 판본에 따른 마당의 구성과 등장인물의 명칭에서 차이가 있다. 1920~1930년대 채록본에서는 10~11과장이라고 되어 있으나, 1958년 이후 본들에서는 8과장으로 대체로 정리된다. 현재 연희되고 있는 8과장 8경은 다음과 같다.

처음에 가면과 다른 도구를 가져다가 가면과 의상을 갖추고 동네 집합 장소로부터 공연장까지 행렬하는 길놀이로 시작한다. 그리고 놀이마당에서 탈고사를 지낸다.

제1과장은 ‘상좌춤 놀이’로, 15~16세 된 어린 중이 연희자와 관객들의 무사함을 기원하고 잡귀를 물리치는 사방신께 공연의 시작을 알리는 축귀(逐鬼) 의식무를 춘다.

제2과장은 ‘옴중과 상좌’로, 옴중의 물건을 상좌가 빼앗아 가고 옴중을 놀리며 장난을 친다. 옴중이 상좌를 때려 내쫓고 타령 장단에 맞추어 깨끼춤을 추고 퇴장한다.

제3과장은 ‘목중과 옴중’으로, 옴중과 먹중이 재담을 주고받으며 연희를 한다. 이 과장은 특권 계층의 권력 남발을 풍자하는 내용으로 서민들의 자유정신을 나타낸다. 권력의 시녀인 옴중을 때려 퇴장시키고, 먹중은 타령 장단에 맞추어 깨끼춤을 추며 퇴장한다.

제4과장은 ‘연잎과 눈끔적이’로, 연잎은 하늘의 기운을 다스리는 도가 높은 고승으로서 생명체가 눈에 비치면 모두 죽기 때문에 부채로 얼굴을 가리고 나와 이 땅의 평화를 위해 춤춘다. 눈끔적이는 땅의 기운을 다스리며 연잎을 보필하는 사람으로서 춤을 출 때 잡귀가 침범하지 못하도록 한다.

제5과장은 ‘팔목중 놀이’로, 3경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경 ‘염불 놀이’는 당시 타락한 종교 문화를 빗대어 중 행세를 하는 완보와 먹중들이 등장하여 재담, 염불, 가사, 소리 등을 하는데, 타락한 파계승의 모습을 풍자하여 소리조로 덕담을 한다.

제2경 ‘침놀이’는 아버지역의 말뚝이가 아들, 손자, 증손자들과 함께 술과 음식을 함부로 먹고 죽게 되자 친구인 완보에게 살려달라고 하고, 이에 완보가 신주부를 불러 침을 놓자 모두 살아나서 춤을 추며 나가는 내용으로, 당시 사회의 어려운 먹거리 문화와 서민 생활의 애환을 담고 있다.

제3경은 ‘애사당 북놀이’로 왜장녀가 자신의 딸인 애사당을 돈 열 냥에 흥정해서 술상을 차려 오게 하는 내용에 이어서 ‘애사당 춤’ 그리고 목중과 완보가 북을 치며 재담하는 내용이다. 서민 생활의 애환과 사회의 타락상을 보여 준다.

제6과장은 ‘노장(老長) 놀이’로, 역시 3경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경은 ‘파계승 놀이’로 도를 거의 통달한 늙은 중이 속세에 내려와 미와 색[2인의 소무]에 빠져 파계를 하게 되는 내용으로, 대사 없이 동작으로만 진행되는 양주 별산대놀이의 모든 춤이 들어가 있는 대표적인 과장이다.

제2경 ‘신장수 놀이’는 신발 장수가 원숭이를 이용해 소무를 후리려 하나 원숭이가 소무를 희롱한 뒤 그냥 오자 화를 내며 원숭이를 때려 쫓아내는 내용이다.

제3경 ‘취발이 놀이’는 절간에 있는 한량 취발이가 속세에 내려와 소무 둘과 같이 있는 노장을 꾸짖으며 싸움을 한 후, 노장이 떠나면서 남겨 둔 소무 하나를 꼬드겨 살림을 차리고 아들을 낳는 내용이다. 양주 별산대놀이의 모든 춤과 시조, 타령 등이 총망라된 과장이다.

제7과장은 ‘샌님 놀이’, 곧 양반 놀이로 2경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1경 ‘의막사령(依幕使令)놀이’는 말뚝이가 양반집 샌님, 서방님, 도련님을 모시고 나와 친구 쇠뚝이와 함께 온갖 모욕을 주며 농락하는 내용으로, 당시 계급 사회에 대한 불만의 표출이다.

제2경 ‘포도부장 놀이’는 샌님이 젊은 소실인 소무를 데리고 사는데 젊고 힘센 포도부장이 등장하여 소무를 빼앗는 내용으로, 당시 타락한 권력의 한 부분을 풍자하고 있다.

마지막 제8과장은 ‘신할아비와 미얄할미’이다. 신할아비가 등장해 산대놀이를 구경 나온 미얄할미를 구박하고 악담을 하며 이별을 제안하자, 미얄할미가 성질을 못 이겨 나가 죽는다. 이에 신할아비가 슬퍼하며 통곡한다. 그리고 노름으로 돈을 날리고 가출한 아들 도끼와 시집가서 남편이 가출하고 힘들게 살고 있는 딸을 불러 장사 지내는데, 딸이 무당이 되어 지노귀굿을 하여 미얄의 넋을 풀어 준다. 당시 서민 생활의 고통과 어려움이 대사와 연희에 그대로 나타나고 있다.

양주 별산대놀이 는 당시 사회의 신분적 불평등, 가부장제 아래 여성의 핍박, 불교의 폐단, 교육 기회의 불균등, 가난과 질병 등으로 고달픈 민중들의 삶을 보여 주면서 풍자하는 한편, 이상적인 세계에 대한 염원을 대동 놀이의 집단적 신명 풀이로 표현하고 있다.

[양주 별산대놀이의 놀이 공간과 시기]

양주 별산대놀이 의 공간은 원래 양주 불곡산(佛谷山) 아래의 사직골에 있는 사직단(社稷壇)이었다. 여기에는 사직당이라는 당집이 있어 마을 제사를 지내고 가면, 의상, 소도구 등을 보관하던 곳으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1964년에 백화암 산사태로 소실되어 흔적을 찾아보기 어려워졌고, 또한 사직단 앞의 공터가 밭으로 변하면서 놀이마당으로 사용되기 어렵게 되었다.

다음에 사용된 공간은 마을 뒷산 송림 속의 잔디밭이었다. 이곳은 옛 목사관(牧使館) 바로 뒤로, 어사대(御射臺)를 표시하는 비석이 있는 인근 지역의 솔밭이다. 마당의 양편에 서 있는 큰 소나무에 줄을 매고 줄타기도 하였다. 후에 사직당 동쪽 언덕 너머의 비스듬한 잔디밭, 현 놀이마당 뒤편의 방선(訪仙) 폭포 주변의 완만한 산비탈, 향교 외삼문 안마당, 전수관 동쪽 언덕의 솔밭, 마을 앞의 밤동산, 승학교(乘鶴橋) 건너의 놀이판 등이 사용된 흔적이 보인다.

현재의 놀이마당은 1985년에 전수관 앞뜰에 완공한 타원형의 노천 계단식 공간이다. 양주 별산대의 놀이 공간은 야외 공간이며, 관객과 연희자가 같이 호흡할 수 있는 열린 공간이라 할 수 있다.

양주 별산대놀이 가 연희되는 시기는 원래 4월 초파일과 5월 단오가 중심이다. 그리고 주요 세시 명절에 연희되었다. 연희 시기는 크게 정기 연희 시기와 비정기 연희 시기로 나뉜다. 일제 강점기에 조사된 바로는 정기적인 공연 시기는 음력으로 3월 3일, 4월 초파일, 5월 단오, 9월 9일이다. 비정기적인 공연은 국가의 경사, 관아의 나례, 기우제, 타 지방 초청 공연 등이 있다.

도봉구에서는 정기적인 공연은 없지만 도봉산 축제 등 구의 행사가 있을 때 양주 별산대놀이를 여는 경우가 있다. 2011년 10월 7일과 8일 도봉산 공영 주차장과 생태 공원 등에서 ‘자연과 함께, 문화와 함께, 주민과 함께’라는 슬로건 하에 제5회 도봉산 축제가 열렸다. 축제는 사물놀이를 시작으로 등산 대회와 사찰 음식전, 산사 음악회, 페이스페인팅 등 다양한 프로그램과 함께 남사당패 줄타기, 양주 별산대 탈춤과 가면극으로 꾸며진 우리 춤 우리 가락도 연행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