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차역고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200370
한자 差役庫
영어의미역 Chayeokgo Warehouse
이칭/별칭 차역창(差役倉)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제도/법령과 제도
지역 경상남도 창원시
시대 조선/조선
집필자 최정용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제정연도/일시 조선 전기
시행연도/일시 조선 전기
폐지연도/일시 조선 말기

[정의]

조선시대 경상남도 창원 지역에 설치되었던 차역들의 급료 보관 창고.

[개설]

『창원부읍지(昌原府邑誌)』에 의하면, 창원도호부 관내에는 약 10개의 창고가 설치 운영되었는데 차역고(差役庫)도 그 중의 하나이다. 차역고창원도호부의 관아 동쪽에 위치하고 있었다.

[제정경위 및 목적]

차역고차역창(差役倉)이라고도 하였다. 차역(差役)이란 관아에서 일을 시키는 노동자들을 가리킨다. 차역창은 창원도호부 관아에서 일을 시키는 차역들에게 지급할 급료를 보관하던 창고로 추측된다.

[관련기록]

『창원부읍지(昌原府邑誌)』, 『영남읍지(嶺南邑誌)』, 『창원읍지(昌原邑誌)』 등에 관련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창원부읍지』에 따르면 차역고에 보관된 물품은 벼가 667섬 4말 3되 8홉이었고, 쌀이 482섬 11말 5되 5홉이었다. 그리고 콩이 147섬 4말 2되 7홉, 메밀이 20섬 6말 1되 2홉, 보리가 367섬 3말 4되 1홉 5줌이었다.

[변천]

1895년에 발간된 『영남읍지』에 의하면, 1832년에 편찬된 『창원부읍지』의 내용과 비교하여 보관된 물품과 수량에서 변화가 있었다. 보관된 물품에서 벼는 867섬 8말 5되 9홉 1줌이었고, 쌀이 1,720섬 14말 3되 5홉 8줌이었다. 그리고 콩이 198섬 3말 6되 5홉 4줌이었고, 겉보리[皮牟]가 992섬 3말 3되 1홉 1줌이었다. 1899년에 편찬된 『창원읍지』에는 차역창이 지금은 폐지되었다고 나와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