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남면 도하일운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200418
한자 南面道下一運
영어음역 Nam-myeon Dohailun
영어의미역 Nam-myeon Dohailun, Administrative Unit
분야 역사/전통 시대,지리/인문 지리
유형 제도/법령과 제도,지명/고지명
지역 경상남도 창원시
시대 조선/조선
집필자 최정용

[정의]

조선시대 경상남도 창원 지역에 편성되었던 행정 단위.

[개설]

조선시대 창원도호부의 고을 행정체계는 5개 면(面)으로 편성되었는데, 그 중 하나가 남면(南面)이었다. 그리고 면 아래의 행정구역으로 운을 두어, 남면(南面) 산하에는 모두 5개의 운이 소속되어 있었다. 운 아래의 행정구역으로는 리(里)를 두었다. 당시 도하일운(道下一運)은 남면 소속의 5개 운 중 하나였으며, 그 아래 4개의 리(里)를 두고 있었다.

한편 ‘도하(道下)’라는 지명의 명칭은 창원도호부에서 안민고개를 넘어 웅천현의 보평역으로 가는 역로의 남쪽을 지칭한 데서 유래하였다. 당시 도하일운은 부의 관문에서 남쪽으로 6㎞ 거리에 위치하고 있었으며, 여기에 소속된 4개의 리(里)는 구체적으로 두대리(斗大里), 해정리(海亭里), 내모삼리(內毛三里), 외모삼리(外毛三里)였다.

[관련기록]

『호구총수(戶口總數)』(1789), 『교남지(嶠南誌)』(1867~1873), 『영남읍지(嶺南邑誌)』(1895), 『창원읍지(昌原邑誌)』(1899) 등에 관련기록이 나타난다.

[내용]

『경상도읍지』(1832)보다 약 40년 뒤에 편찬된 『교남지』에는 남면 도하일운에 속한 고을들이 두대리(斗大里), 해정리(海亭里), 내모삼리(內毛三里), 외모삼리(外毛三里) 등 4개였던 것으로 기록하고 있다. 그러나 『경상도읍지』보다 약 60여 년 뒤에 편찬된 『영남읍지』에서는 남면 도하일운에 속한 고을들이 두대리(豆大里)·해정리(海丁里)·상동리(上洞里)·내동리(內洞里)·외모삼리(外毛三里) 등 5개로 기록되어 있다.

이 중 새롭게 등장한 상동리는 『호구총수』 이후 해정리에 통합되었던 당북리가 분리되면서 등장한 행정구역으로 추정되며 내동리는 내모삼리를 축약하여 부른 행정구역 명칭이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창원읍지』에서는 남면 도하일운에 속한 고을들이 두대리(頭大里), 당북리(堂北里), 내모삼리(內毛三里), 외모삼리(外毛三里) 등 4개로 기록하고 있다. 여기서 당북리는 상동리와 해정리가 통합되면서 붙여진 행정구역의 명칭인 것으로 보인다.

[변천]

남면의 도하일운도하이운 지역은 창원도호부가 1895년 창원군이 되고 1908년 다시 창원부가 되면서 하남면(下南面)이 되었다. 그 후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웅천군(熊川郡) 웅서면(熊西面)의 일부를 통합하여 웅남면(熊南面)이 되었다. 이 후 1980년 4월 1일 창원 지역 일원이 다시 창원시로 승격되었으며, 현재 두대리 지역은 창원시 두대동으로, 해정리는 삼동동(三東洞)덕정동(德亭洞)으로, 내모삼리 지역은 내동(內洞)으로, 외모삼리 지역은 삼동동외동(外洞)으로 각각 개편되어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