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206030
한자 益齋月落帖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유물/서화류
지역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경남대학로 7[월영동 449]
시대 고려/고려 후기
집필자 김원규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2010년 10월 14일연표보기 - 익재월락첩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509-18호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익재월락첩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재지정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6년 1월 24일 - 익재월락첩 일본 야마구치 현립 대학으로부터 기증 받아 보관
현 소장처 경남 대학교 -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경남대학로 7[월영동 449]지도보기
출토|발견지 일본 야마구치 현립 대학 - 山口県山口市 桜畠 3-2-1
성격 필사본
작가 이제현
소유자 한마 학원
관리자 경남 대학교 박물관
문화재 지정번호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정의]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에 있는 경남 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된 서첩(書帖).

[개설]

익재월락첩(益齋月落帖)은 일제 강점기에 조선 초대 통감을 지낸 데라우치 마사다케[寺內正毅]가 재임 기간에 수집했던 자료로 일본 야마구치 현립 대학[山口縣立大學] 도서관 데라우치 문고[寺內文庫]에 소장되어 있었다. 경남 대학교는 1996년 98종 136점의 조선 관계 자료를 야마구치 현립 대학으로부터 기증 받아 보관하고 있는데 익재월락첩도 그 중 1종이다. 2010년 10월 14일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509-18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경상남도 유형문화재로 재지정되었다.

[형태 및 구성]

익재월락첩의 크기는 44㎝×30㎝이며 46쪽이다. 보관 상태는 양호하다.

[의의와 평가]

익재월락첩은 고려 말기의 대학자인 익재(益齋) 이제현(李齋賢)[1287~1369]이 초서로 쓴 서첩으로 알려져 있으나, 진위에 관해서는 학자들마다 의견이 분분하여 명확하게 판명하기 어렵다. 표지의 표제 아래에 ‘이계진장(耳溪珍藏)’이라고 부기(附記)되어 있다. 이계는 조선 말기의 문신이자 대학자였던 홍양호(洪良浩)[1724~1802]의 호이다. 따라서 이 서첩은 홍양호의 집안에서 보관하고 있었을 가능성이 크다.

이제현은 고려 후기의 관료이자 대학자로 경주 이씨이며, 초명은 지공(之公), 자는 중사(仲思)이다. 호는 익재·역옹(櫟翁)이라고도 불렀다. 그는 충선왕이 왕위에서 물러난 후 원나라에 세운 만권당(萬卷堂)에 들어가 그곳을 출입하던 요수(姚燧)·염복(閻復)·원명선(元明善)·조맹부(趙孟頫) 등 한족(漢族) 출신 문인들과 자주 접촉하면서 학문과 식견을 넓혀갔고, 귀국 후에는 고려에 성리학을 도입·발전시키는데 큰 역할을 하였다. 때문에 이색(李穡)[1328~1396]은 이제현의 묘지명에 “도덕의 으뜸이요, 문학의 종장이다[道德之首 文章之宗]”라고 썼다. 현재 『익재난고(益齋亂藁)』 10권과 『역옹패설(櫟翁稗說)』 2권이 전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