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평촌 고구마」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211092
한자 平村-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설화
지역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북면 부평리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안경희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수록|간행 시기/일시 1997년 - 「평촌 고구마」 『마산의 문화유산』에 수록
관련 지명 달성 서공한원 기적비 -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북면 부평리 지도보기
성격 전설|역사적 사실
주요 등장 인물 서한원
모티프 유형 고구마 전래

[정의]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북면 부평리에 전승되는 구비 전설.

[채록/수집 상황]

『마산의 문화유산』[마산시, 1997]에 수록되어 있다.

[내용]

지금[1997년 기준]으로부터 200여 년 전에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북면 부평리에 서한원(徐漢元)이라는 사람이 살고 있었다. 당시 이 지방 주민들의 대부분이 전래의 전답은 있었으나 빈농이고 그나마도 수리 시설이 되어 있지 않았기 때문에 해마다 하늘의 재앙을 입었다. 그러니 주민들의 생계는 말이 아니게 궁핍하였다. 매년 춘궁기만 닥치면 주민 대다수가 초근목피로 모진 목숨을 이어가고 있었던 것이다. 서한원은 이를 고심하던 끝에 멀리 제주도에 가서 그 때만 해도 처음 보는 고구마 종자를 구해 와서 심었다. 하늘이 도왔을까. 이 지방의 토질은 고구마 재배에 천연적인 적지여서 그 해부터 재배는 성과를 거두게 되었다.

서한원은 이듬해부터 고구마 종자를 온 마을에 나누어 주어서 주민들이 모두 고구마를 심었으며 달고 맛이 좋은 이 고구마는 차츰 인근에 명성을 떨치게 되었다. 그리하여 주민들은 수입이 늘어나면서 궁색하던 살림의 형편이 풀리게 되고 이 고구마를 대용식으로 하여 해마다 닥치던 흉년의 기근마저 면하게 되었다.

이 모두가 서한원의 공덕이라 하여 마을 사람들은 이 공적을 영원히 기리기 위해 달성 서공한원 기적비를 세웠으며 이 공적비는 지금도 마을 한복판에 우뚝 서서 남아 있다.

[모티프 분석]

「평촌 고구마」 이야기는 달성 서공한원 기적비를 근간으로 하여 서한원이 고구마를 이 지역에 최초로 심게 된 사연을 주요 모티프로 하고 있다. 고구마로 인해 주민들의 살림살이도 나아지고, 춘궁기에는 구황 작물로서 주식인 쌀과 보리의 대용식으로 이용되었다는 것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