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22B020101 |
---|---|
지역 |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동읍 석산리 |
시대 | 조선/조선 |
집필자 | 배상현 |
명산 백월산(白月山)을 배경으로 철새의 낙원 주남저수지를 뜰아래 두고 있는 석산마을은 창원의 명문인 상산김씨 집성촌이기도 하다.
마을의 중심에 자리하여‘랜드마크’가 되고 있는 도봉서원은 이들 김씨의 입향조인 김명윤(金命胤)[1565~1609]을 배향하고 있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석산마을 전경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도봉서원 원경
김명윤은 호가 동산(東山)으로 나라의 운명이 풍전등화(風前燈火)와 같이 위기에 처했던 시기를 살았다. 그는 일생의 대부분을 임진왜란이라는 전란 속에서 나라를 구하는 데 몸을 바쳤고, 백성을 구제하는 데 정렬을 쏟은 인물이었다. 훗날 그의 활동은 전란 후 선무원종 1등공신으로 평가되었고, 목민관으로 재임한 지역에서는 송덕(頌德)의 대상으로 기려지고 있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충현사
조선시대 서원은 책을 쌓아 놓고 공부하는 오늘날의 학교나 도서관과 같은 기능에만 머물지 않은 공간이었다. 중요한 선현이나 인물을 배향하고 그로부터 정신적 자양분을 제공받으며, 향촌(鄕村)의 공동체를 더욱 굳건히 하는 구심체 역할을 하는 곳이었다. 그렇다면 오늘의 도봉서원은 어떠한 내력을 가졌을까?
서원은 선현의 위패를 모시고 제사를 드리는 제향(祭享)의 기능이 기본이다. 도봉서원의 변천사는 바로 김명윤 선생의 배향과정의 역사이기도 하였다. 서원에는 그 내력을 알려주는 자료들이 전해오고 있다. 「상량문」과 「숙사재기(肅事齋記)」, 「통문(通文)」, 「도봉서당기(道峰書堂記)」 등이 그것들이다.
도봉서원의 역사는 1713년(숙종 39) 후손들이 김명윤의 불천위를 모시기 위한 별묘(別廟) 인 숙사재(肅事齋)를 건립하면서부터 시작되었다.
‘숙사(肅事)’란 말 그대로 제향을 엄숙히 거행한다는 의미이다. 뿐만 아니라 여기에서는 봄과 가을 시(詩)·서(書)의 강론을 겸하여 시행하였다.
이 후 1775년(영조 51) 선비들의 논의에 따라 숙사재는 도봉사(道峰祠)로 승격하였다.
이름을 ‘도봉(道峰)’이라 한 것은 근본을 잃지 말자는 스스로의 다짐을 담은 것으로, 효제충신(孝悌忠信)이 도의 근본으로 간주되었기 때문이었다. 그리고 1844년(헌종 10) 도봉사는 서원으로 승격되었다.
도봉사가 서원으로 승격된 데에는 지역 선비들의 역할이 컸다. 영남의 유림들이 모여 통문(通文)하고 지역의 선비들이 호응한 결과였다.
고령시소(高靈試所)에서 회중(會中)들이 보낸 통문에는 그 취지를 이렇게 설명하였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통문
“귀향에서 돌아가신 동산 김 선생은 시(詩)와 예(禮)를 숭상하는 집안에서 태어나 효성과 우애를 돈독히 실천하였고 ……(중략)…… 임진난을 만나 분기하여 충절을 다하고 선무일등훈(宣武一等勳)에 제수되었으며, 학문이 뛰어나고 정사가 맑아 목사를 지낸 여섯 곳에서는 선정비에 새겨졌습니다. 덕행(德行)으로 말하자면 남도의 모범이 되었으며, 공업(功業)으로 말하자면 나라의 병풍이었습니다.”
조선 후기 이 후 한국은 서원의 나라라 하여도 지나치지 않았다. 대원군의 서원철폐령과 일제에 강점기를 겪으면서 수많은 서원이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선현을 공경하지만 복구의 엄두를 내지 못한 것이 주된 이유였다. 1868년(고종 5) 서원철폐령은 도봉서원에도 심대한 타격을 주었다.
철폐령 이 후 단속이 심하여 별묘와 재실이 모두 폐허가 될 정도였다니 그 정도를 짐작할 수 있다. 하지만 후손들은 불천위에 대한 봉사와 서원의 복구를 위한 열과 성을 그치지 않았다. 선현의 위패만은 함부로 할 수가 없다고 하면서, 마룡에다 부엌과 창고를 갖춘 별묘를 임시로 세우기도 하였다. 그리고 16년이 지난 1887년(고종 24), 옛터에서 중건을 보게 되었다.
그러나 중건된 서원은 규모가 협소해 후손들은 제사를 모실 때마다 예가 아니라 하여 부끄럽고 송구하였단다. 이에 “별묘는 있으나 재실이 없으니 어찌 자손 된 자로 부끄럽지 않겠느냐” 하여, 또다시 중건하자는 움직임이 있었고, 이에 재목과 기와를 갖추어 1902년 건축에 들어가 이듬해 완공을 보게 되었다. 당시의 모습을 김상욱은 그의 문집에서 이렇게 묘사하고 있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물와문집(勿窩文集)』
“중간에 해당하는 2칸은 당(堂)이 되니 제사를 모시게 하고, 동쪽 2칸은 숙사실(肅事室)이라 하고 서쪽 2칸은 돈서헌(敦敍軒)이라 하여 노소가 모두 숙식하는 데 편안함을 제공하였다. 또 아래 3칸은 주방으로 사용하도록 하였는데, 담장을 두르고 소나무와 매화나무를 심으니 주변이 밝고 새로워지게 되었다.”
더하여 1927년 사우를 신축하고 고유제를 올렸는데, 이는 60여 년 전 철폐령 이후로 지내오던 제향 공간을 원래의 위치로 되돌리고 거듭 일신(一新)하였음을 의미하였다. 현재의 서원은 강당이 5칸인데 밖에는 ‘도봉서원(道峰書院)’, 안에는 ‘도봉서당(道峰書堂)’이라 편액하였다. 강당 서쪽의 묘우(廟宇)는 3칸으로 ‘충현사(忠顯祠)’라 편액하였다.
그 외 동재(東齋)인 숙사재가 3칸이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충현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