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원갑성 옹이 들려주는 근대사의 격변기 마을 사람들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2E030202
지역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북면 외감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정정헌

외감마을 709번지 달천 변에는 노신사 한 분이 살아가고 있다. 2008년 현재 74세로, 이 마을 원주원씨 입향조의 11세손인 원갑성 옹이다.

원갑성 옹은 지금의 북면초등학교를 졸업하고 인근 도시에 있는 진해중학교를 다니다 4학년 때 학제가 중학교와 고등학교로 나누어지면서 마산상고에 입학하였다. 그리고 모 대학교를 다니다 중퇴하였다. 옹의 나이가 말해 주듯 우리 한국 근대사의 중요한 시간을 온 몸으로 맞은 세대이기도 하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원갑성 옹

먼저 방문하게 된 연유를 말하자 이 마을의 유래는 초계전씨가 최초로 입향하여 터를 잡은 후 곧 원주원씨들이 들어와 살게 되었고, 다음으로는 경주이씨들이 들어왔는데 현재 마을의 3분의 1을 이들 경주이씨들이 차지하고 있다는 등의 마을 역사를 장황하게 들려준다.

또 예전에는 정월 대보름이면 오곡밥을 해서 골목길에 흩뿌리고, 개밥을 안 주는 풍습에서부터 집집마다 안택을 한다고 마을에 북소리가 끊이지 않았다는 정월 이야기를 시작으로 1년 열두 달 마을 풍습들을 정리해서 이야기하는 것도 잊지 않는다. 그 중에서도 섣달그믐날에 집안 구석구석에 30개 정도의 양초를 밝히고 시장에서 크고 좋은 해삼(海蔘)을 구입해서는 집 네 방위에 묻고는 소금을 한 움큼 넣어 덮는 풍습이 있었다고 한다. 그렇게 하면 1년 내내 집안에 잡귀·잡신들이 들어오지 못한다는 것이다.

원갑성 옹은 일제강점기의 마을 분위기와 한국전쟁 당시의 정황들을 비교적 소상하게 기억하고 있었다. 그에 의하면 징집영장을 받으면 관내 초등학교에서 혹독한 훈련을 받고 적응훈련을 마친 다음 부대로 배치되는데, 그때 기억으로 영장을 받은 집에서는 대대적인 환영행사가 열렸다고 한다. 집의 대문에는 높은 장대를 세우고 ‘환영 ○○○’라고 이름을 적은 깃발을 세우고 매일같이 인근의 친구들이 찾아와 잔치를 베풀면서 군가를 부르기도 했는데, 이는 군대에 끌려가면 다시 살아서 돌아오지 못하는 것으로 여겼기 때문이었단다.

또 외감마을에는 일제강점기에 일본으로 징용을 간 사람이 몇 명 있었는데, 그 중 한 사람은 일본서 죽고 일곱 여덟 명이 다시 돌아왔고 한다. 그들 중 대부분은 일본의 탄광이나 굴착작업 등에 투입되어 고된 일을 하다가 돈 한 푼 받지 못하고 빈손으로 돌아오게 되었다. 해방이 되자 살아 돌아온 사람들을 위하여 대대적으로 잔치를 벌이고 엄청난 환영행사를 한 기억도 생생하게 남아 있다고.

원갑성 옹은 또 한국전쟁 당시의 피란살이도 빠뜨리지 않는다. 당시 외감마을은 천주산에 있는 미군포기지 때문에 전투 지역이었으며, 피난가기 전에는 인민군들이 줄을 서서 마을 앞길을 왕래하는 것도 수시로 목격했다고 한다. 당시 원갑성 옹은 중학교 2학년으로 열여섯 살이었는데 (북면) 온천 도로를 기준으로 도로 위는 전투 지역이었기 때문에 폭격을 한다는 말이 나돌아 얼씬도 하지 않았으며, 도로 밑 길은 비교적 안전하다고 해서 피란도 모두 그 길로 갔다고 한다.

인근의 대산이나 김해, 동읍 등지가 주요한 피란처로, 원갑성 옹의 가족은 외가가 있는 동읍 갈전마을로 갔다고 한다.

음력 7월 14일에 식구 12명이 모두 피란길을 떠나서 그 해 8월 그믐께 마을로 다시 돌아왔다. 가기 전에 놋그릇과 같은 가재도구들은 모두 땅에 묻고 봄에 수확한 보리와 이불, 옷가지 등을 챙겨 지게에 지고 갔는데, 그 와중에도 집안의 족보를 빠뜨리지 않고 한 짐 짊어지고 가는 것을 당시는 어려서 이해가 되질 않았다고 한다.

더러 갈 데가 마땅치 않은 사람들은 개울가나 공터 등에 모여 생활하기도 했다고 한다. 또 개중에는 피란 중이라 먹고 살 것이 없어 몰고 간 소를 헐값에 팔아 겨우 목숨을 연명하는 경우도 있었다고. 소를 사는 사람들은 곳곳을 다니는 모양으로 대개 통영 쪽에서 온 소장수들이 많았다고 한다.

안전하다고 해서 피란생활을 접고 마을로 들어와 보니 불탄 집도 더러 보이고, 포를 맞고 쓰러져 가는 집도 있었으며 포가 집을 관통해서 큰 구멍이 생긴 집도 있었다고 한다. 집안 가재들이 어지럽게 흩어져 있는 등 인민군들이 탈취한 흔적이 역력했다고. 그런데 피란 갔다 온 그 해 가을은 거름 한 번 주지 않고 피 한 번 뽑지 않았지만 대풍년이 들어서, 이를 두고 하늘이 돌봤다고 이구동성으로 말을 했다고 한다.

원갑성 옹은 또 학도병 징집을 피해 몰래 숨어 다닌 이야기도 빠뜨리지 않았다. 학도병은 중학교 3학년부터 자격이 있었는데 원갑성 옹은 동료보다 키가 커서 군에 잡혀 가지 않으려고 매일 숨어 다녔다고 한다. 당시 진해중학교에 다녔는데 들리는 말로는 "M1 소총을 거꾸로 매서 총구가 땅에 닿지 않으면 군대에 끌려간다."는 말이 있어서 외가의 대청마루 밑에 판자를 뜯어내고 그 밑에 큰 구멍을 파서 하루 세 끼 밥을 받아먹고 밤이 되면 잠시 밖으로 나와 놀다가 다시 구멍으로 들어가는 생활을 꽤 했다고 한다. 마루 판자 구멍 속에서 집안 자형들과 함께 6,7명 정도가 그렇게 생활했다고.

원갑성 옹은 새마을운동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는 인물이었다. 1967년경 새마을운동이 한창일 무렵 원갑성 옹은 마을 새마을 지도자로 활동했는데 북면에서는 외감마을이 대표적으로 잘한 마을이라고 표창장을 받기도 하였다고.

그가 한 일은 자연석으로 쌓아져 있는 마을길을 뜯어 인도를 확장하는 일이었다고 한다. 길을 확장하는데 자기 땅이 조금이라도 들어가면 땅주인이 거부하는 바람에 이것을 설득하느라고 애를 먹기도 하였다고. 또 지붕 개량을 주도했는데 다른 마을들은 초가지붕을 뜯어내고 주로 값싼 슬레이트로 지붕을 했지만 외감마을은 대부분 기와를 얹었다고 한다. 원갑성 옹은 이것만 봐도 외감마을이 다른 마을보다는 잘살았던 것 같다고 어깨를 들썩인다.

마지막으로, 앞으로 어떤 일을 하고 싶으냐고 묻자 원갑성 옹은 "이제는 나이가 들어 힘든 일은 할 수 없지만 그래도 이웃의 늙고 병든 노인들을 위해 조금이라도 도움 되는 일을 하고 싶다."고 한다. 노옹(老翁)의 말이 공허하게 들리지 않고 마치 스스로에 대한 다짐처럼 느껴진다. 집을 나서는데 한국전쟁 때 군대에 끌려가 세상을 떠난 친동생의 사진을 보고 가는 것이 어떻겠느냐는 제안이, 지금까지 들려주었던 우리 근대사의 격동기를 살아 온 모습을 압축하여 보여 주는 것 같아 옹의 대문을 나서는 발걸음을 무겁게 했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원윤석 씨의 고택 정경

[정보제공자]

원갑성(남, 1936년생, 외감마을 거주)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