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37년에 제작 발행된 일본 관광객 유치용 마산 홍보 혹은 마산을 방문한 일본인들에게 마산 도시를 안내하는 리플릿. 「관광의 마산[觀光の馬山]」이 발간된 1937년은 일본이 중국 대륙을 삼키기 위해 만주사변에 이어 중일 전쟁을 일으킨 해로 일본 제국주의 세력이 극성을 부리던 시기였다. 이 때 한국을 전쟁 수행을 위한 대륙 전진 병참 기지로 사용하기 위한 산업 구조와 군...
-
일제 강점기 일제가 외교부와 해군성 등의 주도 하에 마산만 지역에 대한 정세를 조사·보고한 극비 문서를 모은 문서철. 1899년 조선은 마산포를 비롯해 세 곳에 개항장을 설치하였다. 이를 전후하여 일본은 러시아와 개항장으로 지정된 마산 일대, 즉 마산포를 차지하기 위해 치열한 각축을 벌였다. 이곳은 러시아의 입장에서는 일본을 직접 겨냥할 수 있는 천혜의 요항이었던 반면, 일본의 입...
-
1606년(선조 39) 진해현(鎭海縣)에서 작성된 호적 대장의 일부. 17세기 초 진해현에서 작성된 호적 대장의 일부로 가로 74㎝, 세로 95㎝ 크기의 한지(韓紙) 1매이다. 1606년(선조 39)에 작성된 『진해현 호적 대장』의 일부이다. 가로 74㎝ 세로 95㎝ 크기의 한지(韓紙)에 작성되었으며 제말(諸沫) 등 당시 진해현의 인구와 호적 상황을 기재하고 있다. 가장자리 부분을...
-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소재 경남 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된 고문서. 호구단자는 고려·조선 시대에 관청에서 호구 장적(戶口 帳籍)을 만들 때 호주(戶主)가 자기 집안(戶)의 상황을 적어서 관청에 제출하는 문서를 말한다. 전통 시대에 있어 국가는 백성으로부터 조세(租稅)와 역역(力役)을 부과, 수취함으로써 체제를 유지할 수 있었다. 때문에 국가는 호를 단위로 하여 조세를...
-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소재 경남 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된 고문서. ‘호구단자’는 고려·조선 시대에 관청에서 호구 장적(戶口 帳籍)을 만들 때 호주(戶主)가 자기 집안(戶)의 상황을 적어서 관청에 제출하는 문서를 말한다. 전통 시대에 있어 국가는 백성으로부터 조세(租稅)와 역역(力役)을 부과, 수취함으로써 체제를 유지할 수 있었다. 때문에 국가는 호를 단위로 하여 조세...
-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소재 경남 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된 고문서. 「준호구」는 소송(訴訟)이나 성적(成籍), 과거 응시, 직역(職役)의 결정, 또는 도망 노비의 추쇄와 같은 각종 민원에 필요한 자료로 관청(官廳)에서 호구장적(戶口帳籍)에 의거하여 발급한 공공 문서이다. 때문에 「준호구」는 오늘날의 호적 등본이나 주민 등록 등본과 같은 성격의 것이라고 할 수...
-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소재 경남 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된 고문서. 「준호구」는 소송(訴訟)이나 성적(成籍), 과거 응시, 직역(職役)의 결정, 또는 도망 노비의 추쇄와 같은 각종 민원에 필요한 자료로 관청(官廳)에서 호구장적(戶口帳籍)에 의거하여 발급한 공공 문서이다. 때문에 「준호구」는 오늘날의 호적 등본이나 주민 등록 등본과 같은 성격의 것이라고 할 수...
-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소재 경남 대학교 박물관(慶南 大學校 博物館)에 소장된 고문서. 「호구단자」는 고려·조선 시대에 관청에서 호구 장적(戶口 帳籍)을 만들 때 호주(戶主)가 자기 집안(戶)의 상황을 적어서 관청에 제출하는 문서를 말한다. 전통 시대에 있어 국가는 백성으로부터 조세(租稅)와 역역(力役)을 부과, 수취함으로써 체제를 유지할 수 있었다. 때문...
-
경상남도 창원시 동읍 화양리 곡목마을 김해김씨 종중에서 소장하고 있는 조선 후기 정조가 내린 윤음. 김해김씨는 오래전부터 창원의 동읍 화양리 곡목마을에 세거해 왔다. 김해김씨의 후손 김기현은 『곡천집(谷川集)』 책판 66장과 조선 중기의 학자인 김상정의 시문집인 『곡천선생문집』 등 고서 71종의 유물을 소장하고 있는데, 그 중 하나가 「유영남부로사민윤음」이다....
-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소재 경남 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된 고문서. 「유학 노정진 등의 상서(幼學盧正鎭等書)」는 일종의 소지(所志)이다. 소지는 일상 생활 속에서 일어나는 일 중에서 관부의 결정과 도움을 필요로 하는 민원에 관한 다양한 종류의 문서를 일컫는 말이다. 소지는 달리 발괄(白活)이라고도 한다. 민원에 관한 일은 아주 오래 전부터 있었겠지만, 소지라...
-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소재 경남 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된 고문서. 「유학 성박 등의 상서(幼學成泊等上書)」는 일종의 소지(所志)이다. 소지는 일상 생활 속에서 일어나는 일 중에서 관부의 결정과 도움을 필요로 하는 민원에 관한 다양한 종류의 문서를 일컫는 말이다. 소지는 달리 발괄(白活)이라고도 한다. 민원에 관한 일은 아주 오래 전부터 있었겠지만, 소지라는...
-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소재 경남 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된 고문서. 「유학 안수오 등의 청원서(幼學安守旿等請願書)」는 일종의 소지(所志)이다. 소지는 일상 생활 속에서 일어나는 일 중에서 관부의 결정과 도움을 필요로 하는 민원에 관한 다양한 종류의 문서를 일컫는 말이다. 소지는 달리 발괄(白活)이라고도 한다. 민원에 관한 일은 아주 오래 전부터 있었겠지만,...
-
1908년 6월부터 9월까지 경상남도 창원항재판소에서 판결 선고를 받은 죄수의 죄명을 기록한 명부. 1899년 5월 1일 창원의 마산포 개항에 따라 5월 22일 창원항재판소가 설치되어 창원 지역의 재판 업무를 담당하였다. 「창원항재판소형명부」 역시 다른 지방 재판소 형명부와 마찬가지로 인쇄된 형명부 용지를 사용하였으며‚ 기재 형식도 동일하다. 「창원항재판소형명부」는 1908년(융희...
-
1899년부터 1906년 사이 창원감리서에서 보고한 공문과 외부의 훈령을 묶은 공문서철. 「창원항보첩」은 1899년(광무 3) 5월부터 1906년 1월 사이에 창원감리서(昌原監理署)에서 상급기관인 외부로 보낸 보고서와 외부에서 창원감리서에 내린 훈령을 편집한 공문서철(公文書綴)이다. 모두 5책으로 되어 있다. 국한문 혼용의 필사본 5책으로 묶여 있다. 책의 크기는 가로...
-
1906년부터 1908년 사이 창원감리서와 창원부에서 작성한 보고서와 의정부 훈령을 묶은 공문서철. 「창원항안」은 1906년(광무 10) 2월부터 1908년 1월 사이에 창원감리서(昌原監理署)와 창원부(昌原府)에서 상급기관인 의정부로 보낸 보고서와 의정부에서 창원감리서와 창원부에 내린 훈령을 함께 모은 국한문혼용체의 공문서철(公文書綴)이다. 국한문 혼용의 필사본 1책(1...
-
1932년에 마산 공립 보통 학교(馬山公立普通學校)에서 제작한 마산의 도시 지도. 「향토의 교통도[鄕土の交通圖]」가 제작된 1932년은 한국인들이 거주한 마산포[원마산]와 일본인들이 거주한 신마산이 도시 연담화(都市連擔化)[Conurbation: 중소 도시 시가지가 서로 붙어 거대 도시를 이룸]되던 시기다. 1920년대 벽두에 조선 회사령이 철폐되자 일본인들은 기업을 앞...
-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소재 경남 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된 고문서(古文書). 『화회문기(和會文記)』는 일제 강점기에 조선 초대 통감을 지낸 데라우치 마사다케(寺內正毅)가 재임 기간에 수집했던 자료로, 일본 야마구치 현립 대학(山口縣立大學) 도서관 데라우치 문고(寺內文庫)에 소장되어 있었다. 경남 대학교는 일본 야마구치 현립 대학으로부터 1996년 98종 13...
-
1910년대 일본에 의해 실시된 조선 토지 조사 사업 당시 작성된 토지 관련 문서철. 러일 전쟁에서의 승리하고 을사조약을 맺음으로써 한국에 대한 지배권을 확립한 일본은 한국을 식민지로 만들기 위하여 정치, 군사, 경제적 침략을 하였다. 특히 당시 국부(國富)의 가장 중요한 요소였던 토지는 재정 수입의 대부분을 차지하던 지세(地稅)의 근거가 되는 것이었으므로 침탈을 서둘렀...
-
조선 중기 경상남도 창원 출신 김명윤이 선무원종 1등공신에 책봉되어 발급 받은 문건. 조선왕조는 왕조를 지탱하고 견인하는 두 축으로 왕실과 공신을 상정하고, 이 양자의 관계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정책적으로 공신들에 대한 대우와 혜택의 부여 및 정기적인 공신 동맹 등의 모임을 통한 관계 유지와 관리에 소홀히 하지 않았다. 공신에는 정공신 내지 친공신과 원종공신으로 대별되는데, 원종공신...